• Title/Summary/Keyword: 골 재생

Search Result 27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나노 크기의 생체 재료를 이용한 골 재생 촉진용 지지체의 제작 및 특성 평가

  • Heo, Su-Jin;Jie, Wei;Kim, Dong-Hwa;Lee, Si-U;Kim, Seung-Eon;Sin, Jeong-Uk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46.1-46.1
    • /
    • 2009
  • 우리 몸의 뼈를 재료적인 측면으로 보면, 주로 나노 크기의 콜라겐과 아파타이트로 이루어 져 있는 복합체이다. 때문에 최근 생체 모사적인 측면에서 나노 크기의 생체 활성 재료를 이용하여 골 재생 촉진이 우수한 지지체를 제작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 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나노 크기의 재료는 일반적인 마이크로 크기의 생체 재료에 비해 표면적이 월등히 크기 때문에 생체 활성 (bioactivity)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를 골 재생용 지지체의 구성 재료로 사용하였을 경우 기계적 강도 또한 향상 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노 크기의 HA, CaSiO3 등 다양한 나노 생체 활성 입자들을 침전법 (precipitation method)을 통하여 제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골 재생 촉진을 위한 3차원 지지체를 제조 하였다. 또한 기존의 마이크로 크기의 생체 재료로 제작된 지지체와의 생물학적, 기계학적 비교 평가를 통하여 나노크기의 재료의 우수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나노 크기의 재료로 제작된 골 재생용 지지체의 경우 기존의 마이크로 크기의 재료로 제작된 지지체보다 골세포의 부착, 증식 및 분화능이 우수하였고, 지지체의 기계적 강도 또한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나노 크기의 생체 활성재료는 골 재생 촉진을 위한 지지체 제작에 응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Healing of mandibular through-and-through osseous defects by Guided Tissue Regeneration in ferrets

  • Baek, Seung-Ho;Kim, Syng-cuk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4 no.10 s.329
    • /
    • pp.742-751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관통된 뼈의 결손부위를 각기 다른 membrane(Gore-tex, Vicryl, Guidor)을 사용하여 보다 나은 골 재생을 얻을 수 있는 가를 평가하는 데 있다. 여섯 마리 흰 족제비의 12개 하악 소구치를 근관치료한 후, 치근단 절제술을 실시하여 $3mm\times5mm$ 크기의 관통된 뼈의 결손을 소구치의 근첨부에 형성하였다. 전부 12개의 결손부위가 형성되었고, 이를 3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으로 결손부위를 membrane barrier없이 점막골막피판으로 덮었다. 다른 각 군은 결손부위를 각 Gore-Tex, Vicryl, Guidor membrane을 사용하여 설측과 협측 모두 덮었다. 각 군을 치유기간 6주와 12주로 두 아군으로 분리하였다. 방사선학적 소견으로 6주군에서 대조군은 $65\%$, Gore-Tex군은 $90\%$, Vicryl군은 $95\%$, Guidor군은 $65\%$의 결손부위의 치유를 보였다. 12주 군에서 대조군은 $80\%$, Gore-Tex군은 $95\%$, Vicryl군은 $95\%$, Guidor군은 $90\%$의 치유를 보였다. 조직학적 소견으로 대조군에서는 완전한 골 재생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결손부위로 결합조직이 자라들어온 것이 관찰되었다. Gore-Tex 6 주군에서는 대부분 fibrillar bone이 관찰되었고, 12 주군에서는 부분적으로 lamellar bone이 형성되었다. Vicryl군에서는 거의 완전한 골의 재생이 관찰되었다. 6주군에서는 재생된 뼈는 fibrillar bone이고 부분적으로 lamellar bone을 관찰되었고, 12주 군에서는 주로 lamellar bone으로 구성되었다. Guidor군에서는 제한적인 골 재생과 함께 심한 염증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조직재생유도술은 일반적으로 골 재생을 증진시킴을 볼 수 있었고, Vicryl membrane이 가장 뛰어난 골 재생유도 가능성을 보였다.

  • PDF

임프란트치료와 골유도재생술

  • Kim, Byeong-Ok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9 no.10 s.389
    • /
    • pp.819-824
    • /
    • 2001
  • 충분한 골양이 존재해야 한다는 것은 임프란트를 식립하는데 있어서 중요힌 선결조건이므로, 임프란트를 식립하기 전이나 식립하는 도중에 치조제의 높이와 고경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조직유도재생술 (Guided Tissue Regeneration, GTR)의 생물학적 원리에 기초를 둔 골유도재생술(Guided Bone Regeneration, GBR)이 필요하다. 이 장에서는 임프란트치료시 골유도재생술을 이용하여 임프란트 주위의 골결손부에 대한 치료로서 현재 이용되고 있는 이식재의 종류와 그 임상적 응용, 그리고 결손부 주위에서 골 생성을 향상시크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Periodontal Regeneration Using the Mixture of Human Tooth-ash and Plaster of Paris in Dogs (성견에서 치아회분말과 연석고를 이용한 치주조직재생술)

  • Gu, Ha-Ra;Jang, Hyun-Seon;Kim, Su-Wan;Park, Joo-Cheol;Kim, Byung-Oc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1
    • /
    • pp.15-26
    • /
    • 2006
  • 흡수성 차페막을 이용한 조직 유도 재생술시 차폐막의 견고성으로 미루어 보아 재생을 위한 공간의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조직 유도 재생술과 함께 골이식술을 시행함으로써 공간 확보와 함께 적절한 혈병의 유지를 도모할 수 있고 이식된 골은 선생골 형성을 위한 핵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최근에 사람의 치아회분말과 연석고를 혼합한 골이식재가 여러 연구를 통해 좋은 골이식재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성견 하악 소구치 2급 치근이개부위에 외과적으로 형성하여 흡수성 차폐막과 치아회분말-연석고 혼합 이식재를 이용한 조직유도재생 술을 시행하여 치주 조직 재생의 양상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하고자 한다. 생후 12개월에서 16개윌 된 체중 15 Kg 내외의 성견 4마리를 이용하였다. 실험 재료로 생체흡수성 차폐막 (Biogide(R), Swiss) 를 사용하였고, 골이식재로 치아회분말-연석고를 혼합매식 하였다. 양측 상악 소구치 부위에 변연 치조골하방에 4 mm ${\times}$ 4 mm ${\times}$ 4 mm, (깊이 ${\times}$ 근원심 ${\times}$ 협설폭경) 깊이로 골내낭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골내낭의 기저부위 치근 표면에 1/4 round bur로 notch를 형성하여 참고점으로 하였다. 무작위로 선택된 한 쪽의 결손부를 대조군으로 오직 생체 흡수성 차폐막을 사용하였고, 실험군으로 치아회분말-연석고와 생체 흡수성 차폐막을 결손부로부터 2 mm 이상 덮을 수 있도록 다듬어 결손부 위에 위치시킨 후 협측 판막을 덮고 봉합하였다. 4주 후 2마리 ,8주 후 2마리를 희생시키고 통상의 방법으로 고정, 탈회, 포매의 과정을 거쳐 광학 현미경으로 검경하였다. 그 결과, 1. 4주 대조군에서 Bio-gide(R)는 완전한 흡수를 보였고, 치근이개부내에는 큰 공간이 존재하였다. 2. 4주 실험군에서 역시 Bio-gide(R)는 완전한 흡수를 보였고, 골 결손부내에 더 많은 신생골 관찰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진 기존골과 신생골간에 명확한 차이가 있어서 쉽게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골이식재 주변으로 파골세포가 다수 관찰되며 이로 미루어 보아 활발한 골흡수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3. 8주 대조군에서 결손부내에서는 기존골에 인접하여 신생골 형성이 부분적으로 일어났으나 연조직 침입이 관찰되었다. 4. 8주 실험군은 신생골이 기존골과 매우 유사한 형태로 관찰되었고, 신생골 형성 부위에 신생 혈관 증식이 관찰되었다. 또한 골내낭 기저부위에서는 백악질과, 치주인대가 재생됨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치아회분말-연석고 혼합매식은 골재생을 위한 골전도성이 있는 재료로 사료되며, 이를 이용히여 치주조직재생술시 흡수성 차폐막과 병행하여 사용한다면 더 많은 골재생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uided Bone Regeneration using Fibrin Glue in Dehiscence or Fenestration Defects Occurred by Maxillary Anterior Implants: Case Report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식립에 의한 열개 및 천공형 골결손 발생 시 조직 접착제를 이용한 골유도 재생술: 증례보고)

  • Chee, Young-Deok;Seon, Hwa-Gyeong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28 no.3
    • /
    • pp.277-290
    • /
    • 2012
  • Dental implants are universal restorative method on edentulous site in oral cavity and generally recognized by patients as well as clinicians. Rapid bone resorption of labial portion of maxillary anterior area is performed due to dental trauma, chronic periodontitis, and so on. Accordingly, Implants on maxillary anterior alveolar ridge with narrow labiopalatal width would lead to bony defects of dehiscence or fenestration. In this case, guided bone regeneration procedure is used to augment maxillary anterior alveolar ridge. It can have mechanical and biological advantages to mix tissue adhesive with bone graft materials in guided bone regeneration procedure. In these cases, when the dehiscence or fenestration defects was occurred by dental implants on maxillary anterior alveolar ridge with narrow labiopalatal width, guided bone regeneration procedures were performed with various combination of particle bone graft materials(allograft, xenograft, and alloplast) mixed with fibrin glue, excepting autogerous bone. We reported that all of 4 cases showed favorable alveolar ridge augmentations.

Reconstruction of Bone Defects Caused by Tumor Resection Using Recycled Autograft Augmented with VFG (재생 자가골과 생비골 이식술을 이용한 종양절제 후 골 결손의 재건)

  • Chung, Yang-Guk;Kang, Yong-Koo;Bark, Won-Jong;Rhee, Seung-Koo;Lee, An-Hi;Park, Jeong-Mi;Park, Bo-Youn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15 no.2
    • /
    • pp.93-103
    • /
    • 2009
  • Purpose: We evaluated the outcomes of surgical reconstructions using recycled autograft augmented with VFG for bone defects caused by tumor resections. Materials and Methods: Ten patients with a malignant or locally aggressive bone tumor who were managed with recycled autograft augmented with VFG and followed up minimum 1 year were evaluated for bone union, functional result and complications.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on bone union and functional outcomes were also analyzed. Results: Bone unions were obtained at 13 of 20 junctions. Average union time was 3.7 months at metaphyseal junctions and 8 months at diaphyseal junctions (P<0.05). At diaphyseal junctions, younger aged group and intramedullary location group showed earlier bone union (P<0.05). The mean functional score was 81%. There were 3 nonunions, 4 delayed unions and 2 recycled bone resorption combined with fractures. Conclusion: To obtain excellent results, proper microvascular technique, sufficient length of VFG bridging both junctions, stable internal fixation and protection of reconstructed bone until union are necessary.

  • PDF

골조직 재생 촉진을 위한 Novel Perfusion Bioreactor

  • Lee, Si-U;Heo, Su-Jin;Jang, Ji-Yeon;Jeong, Jae-Yeong;Kim, Seung-Eon;Sin, Jeong-Uk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46.2-46.2
    • /
    • 2009
  • In vitro 상에서 골조직을 원활하게 재생하기 위해서는 3차원 지지체를 이용한 세포 배양과 세포 배양 시 세포의 형태와 기능을 유지/향상시키기 위한 인체 내 미세 환경 재현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뼈 성분과 유사한 생체 활성 물질인 hydroxyapatite (HA)와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 $\varepsilon$-caprolactone (PCL)를 복합재료로 이용하여 내부 연결성이 우수한 골조직 재생용 3차원 지지체를 제작하였으며, 골 재생 능력 향상을 위하여 인체내 골조직의 기계적 미세 환경을 체외에서 구현한 새로운 형태의 perfusion bioreactor system을 개발/적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perfusion bioreactor system의 생물학적 평가를 위해 MG63 (osteoblast like cell, 한국 세포주 은행)과 New Zealand White Rabbit에서 분리한 중간엽 줄기세포를 골조직 재생용 3차원 지지체에 파종하였다. 48시간 동안 안정화 후 perfusion bioreactor system을 이용하여 기계적 자극을 파종된 세포에 인가하였으며, 배양 기간 동안 세포의 증식 확인 및 형태학적 관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perfusion bioreactor system을 이용하여 기계적 자극을 인가한 실험군에서 세포의 증식 및 활성도가 대조군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perfusion bioreactor를 이용한 세포 배양은 세포의 활성 향상 및 골조직 재생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차후 perfusion bioreactor를 이용한 다양한 패턴의 자극이 골재생 능력 및 중간엽 줄기세포의 골 분화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mplant placement after guided bone regeneration (GBR) in severe defected mandibular alveolar ridge: case report (심하게 결손된 하악 치조골에서 골유도재생술(GBR) 후 임플란트의 식립: 증례보고)

  • Chee, Young-Deok;Yu, Tae-Hoon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30 no.2
    • /
    • pp.184-191
    • /
    • 2014
  • In the mandibular posterior molar area, ridge deficiency is an unfortunate obstacle in the field of implant dentistry. Many techniques are available to rebuild the deficient ridge. Selection and necessity of these techniques a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 morbidity and often require a second surgical site. With the advent of guided bone regeneration (GBR), one may now graft the deficient ridge with decreased morbidity and without a second surgical site. In this case, guided bone regeneration procedures were performed with a combination of allograft, xenograft, and alloplast, excepting autogerous bone at severe defected mandibular alveolar ridge and then placed to the implant successfully. We report that implant placement were good in two cases.

Effect of platelet-rich plasma on bone regeneration in ovariectomized osteoporotic rats (골다공증 유발 쥐에서 혈소판 농축 혈장이 골 재생에 미치는 영향)

  • Cho, Jong-Moon;Kang, Jeong-Kyung;Suh, Kyu-Won;Ryu, Jae-Jun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48 no.1
    • /
    • pp.16-27
    • /
    • 2010
  • Purpose: The aim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 of platelet-rich plasma (PRP) on early bone regeneration of rats both in normal condition and in osteoporosis induced by ovariectomy. Material and methods: Total 40 Sprague-Dawley female ra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 8-mm-diameter calvarial critical-sized defect (CSD) was made by drilling with trephine at the center of calvaria in cranium of every rat. Every CSD was augmented with an osteoconductive synthetic alloplastic substitute ($MBCP^{TM}$) and PRP as follows. Group A; 10 non-ovariectomized rats grafted with only $MBCP^{TM}$. Group B; 10 non-ovariectomized rats grafted with $MBCP^{TM}$ and PRP. Group C; 10 ovariectomized rats grafted with only $MBCP^{TM}$. Group D; 10 ovariectomized rats grafted with $MBCP^{TM}$ and PRP. At 4 weeks after graft, every rat was sacrificed.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was performed by measuring calcified area of new bone formation within the CSD. Results: Comparing four groups,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In non-ovariectomized groups, PRP showed a positive effect somewhat but not significant (P > .05). 2. In ovariectomized groups, PRP showed a positive effect significantly (P < .05). 3. In PRP untreated groups, ovariectomy diminished bone regeneration significantly (P < .05). 4. In PRP treated groups, ovariectomy diminished bone regeneration somewhat but not significant (P > .05).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PRP in combination with an osteoconductive synthetic alloplastic substitute has an effect on bone regeneration more significantly in ovariectomized osteoporotic rats than in normal r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