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골주사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3초

하악두(下顎頭)의 부분절제(部分切除)된 연골(軟骨) 및 골(骨)의 치유과정(治癒課程)에서 비교원성(非膠原性) 단백질(蛋白質) 분포(分布)에 관(關)한 연구(硏究);주사전자현미경적(走査電子顯微鏡的) 및 면역조직화학적(免疫組織化學的) 연구(硏究) (DISTRIBUTION OF NONCOLLAGENOUS PROTEIN DURING REPAIR OF PARTIALLY RESECTED CONDYLAR CARTILAGE AND BONE;SEM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 김명환;이상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3호
    • /
    • pp.411-427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healing process and the distribution of fibronectin in injured condylar cartilage and bone by using LM and SEM. In order to perform this study, 40 male rat, weighing about 250g were selected. Under general anesthesia with Pentobarbital sodium, condylar cartilage and neck bone were resected. Then, the wound was irrigated with saline and closed with 5-0 chromic catgut and 4-0 silk by layer-to-layer suturing. The experimental rats were sacrificed by perfusion with 3% paraformaldehyde at 1st and 4th week after operation. The condylar process and surrounding tissues were cut, demineralized, dehydrated and embedded in paraffin. The histological observation of the specimens in LM level was performed after H-E stain and Azan stain. For localization of fibronectin, immunostaining was achieved by the avidin-biotin complex method. To study the change on condylar surface, the specimens were dehydrated, dried, gold coated and were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Hitachi S-23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cartilage group and the bone group were repaired with epiphyseal cartilage layer on the cut surface as the normal control group. 2. The cut surface was repaired more quickly in the cartilage group than in the bone group. 3. Chondrocytes, diferentiated during healing, were stained strongly to anti-fibronectin, and fibronectin was supposed to participatein chondrocyte differentiation and cartilagenous matrix formation. 4. Fibronectin was distributed more in the new bone than in the old bone, and the osteoblasts surrounding it were also stained strongly. Fibronectin was supposed to participate in new bone matrix formation. 5. Fibronectin is supposed to be associated with the differentiation, migration and adhesion of chondrocyte and osteoblast and to participate in endochondral bone formation.

  • PDF

Monosodium Glutamate가 초생추 대퇴골 근위골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투과 및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Ultrastructural Studies of Effect of Monosodium Glutamate on the Epiphyseal Plate of Femur in Young Chicken)

  • 양홍현;이흥식;이인세;김진상
    • Applied Microscopy
    • /
    • 제20권1호
    • /
    • pp.90-104
    • /
    • 199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proximal epiphyseal plate of the femur in young chickens that had been treated with monosodium glutamate(MSG). Eighty 1-day old broiler chickens(Hubbard strain)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daily administration of MSG(3mg/g of body weight in 0.75% saline) per orally for 1, 3, 6, 9, 12, 15, 18 and 21 days, and were sacrificed with exanguination. The control group received an equal volume of 0.75% saline. For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prehypertrophic cartilage zone of epiphyseal plate was cleaved, fixed with 2% glutaraldehyde(containing 0.2% ruthenium red), postfixed with 1 % osmium tetroxide, embedded in Epon 812, and stain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Fo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calcified zone of epiphyseal plate was cleaved and coated with gold palladium.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the sacculation decreased from 12 day to 21 day MSG administrated groups, and the vesiculation decreased in 18 and 21 day MSG administrated groups in rough endoplasmic reticulum of chondrocytes in prehypertrophic cartilage zone. The ruthenium red binding particles in pericellular rim, territorial matrix and interterritorial matrix increased from 9 day to 21 day MSG administrated groups, but the crystalloid materials decreased. 2. 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the trabecular formation and calcospherites of calcification zone decreased in 18 and 21 day MSG administrated groups. The resorption cavities widened from 15 day to 21 day MSG administrated groups.

  • PDF

초기 족관절 골관절염 환자에서의 히알루론산 관절강 내 주사 요법 (Efficacy of Intra-articular Hyaluronic Acid Injection in Early Stage Ankle Osteoarthritis)

  • 이두형;김태훈;한승환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7-31
    • /
    • 2011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acy of an intra-articular injection of sodium hyaluronate in the treatment of early stage osteoarthritis of the ankle. Materials and Methods: Early stage ankle osteoarthritis (Takakura stage I and II) patients who received hyaluronic acid injection therap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underwent intra-articular injections of 2 mL of sodium hyaluronate for 3 consecutive weeks. Clinical evaluation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ing were performed at every three months after treatment. Results: Total 27 patients were involved and mean age was 55 year old (range 33 to 77 years). There were 13 male and 14 female patients. Mean follow up duration was 13 month and. Pre-intra-articular VAS score was $8.9{\pm}0.7$ and three month follow up score was $3.8{\pm}2.8$. VAS score of last follow up was $3.2{\pm}3.4$. The effect of hyaluronic acid continued about one year when analyzed the VAS score change of the patients followed for more than one year. Patients' satisfaction was "very satisfied" in nine, "satisfied" in 12, "fair" in one, and "not satisfied" in five patients. Overall satisfaction rate was 82%. There were no ankle osteoarthritis stage changes in serial follow up radiograph. Conclusion: Symptomatic relief of signs and symptoms of osteoarthritis of the ankle was achieved by injection of an intra-articular hyaluronate injection. Efficacy of Hyaluronate acid injection persisted more than 1 year in our study. Intra-articular hyaluronate injection to ankle osteoarthritis is safe and effective as knee joint and should be considered as a valid conservative treatment for ankle osteoarthritis.

비강 및 부비동에 발생한 반전성 유두종 1례 (A Case of the Inverted Papilloma of the Nose and Paranasal Sinuses)

  • 권혁진;박호선;윤병용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5.2-15
    • /
    • 1982
  • 비강 및 부비동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양성상피종양인 반전성 유두종은 비교적 드물며 1854년 Ward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된 이래 여러 학자들에 의해 본증이 논의되어 왔으나 한국에서는 그 보고례가 매우 드물었다. 병리조직학적으로 양성인 이 종양은 비강이나 골 및 주위조직의 파괴성 병변이 빈번하고 수술 후 재발이 잘되고 드물게 악성으로 변하는 성질을 나타내므로 임상적으로 악성으로 알려져 왔다. 일단 반전성 유두종으로 확진되게 되면 가능한 한 광범위한 절제가 필요하며 술 후에도 계속적이 추적조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최근 저자들은 비폐색, 종류감을 주소로하여 내원한 48세된 남자환자에서 우측비강, 상악동에서 발생하여 국소적으로 악성화 변화를 일으킨 반전성 유두종 1례를 비내 및 Caldwell_LUC식 방법으로 절제후 Bleomycin 정맥주사, 5_FU 국소분무요법 및 방사선요법($Co^{60}$)을 병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왕벚나무 화외밀선의 당액 분비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Ultrasturctural Study on Nectar Secretion from Extrafloral Nectary of Prunus yedoensis Matsumura)

  • 정병갑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2호
    • /
    • pp.143-153
    • /
    • 1992
  • 한국산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Matsumura) 화외밀선의 미세구조 및 당액 분비기작을 규명하기 위하여 광학현미경, 주사형 및 투과형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밀선은 secretory layer와 subsecretory layer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엽병의 유관속은 subsecretory layer에 있는 유관속과 연결되어 있었다. Secretory cell에서는 cristae가 잘 발달되지 않은 다수의 mitochonidria가 관찰되었으나 소포체는 소수 나타났고 골지체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색소체는 thylakoid가 거의 발달되지 않았으며, 소수가 관찰되었고 $0.2-0.3\;\mu\textrm{m}$ 크기의 소포를 특징적으로 갖고 있었다. subsecretory cell에서는 원형질 연락사가 잘 발달해 있었고 다수의 Calcium oxalate 결정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당투과에 간접적으로 관여하는 것 같다. 당액 전구물질은 사부에서 subsecretory layer를 거쳐 secretory layer까지 이동하는 것을 원형질 연락사를 통한 symplastic transport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되며 secretory layer에서 당액으로 재합성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것 같다. Secertory cell의 맨 바깥쪽 세포벽은 cuticle 에 의하여 덮여 있었으며 secretory cell에서 당액은 원형질막, 세포벽, cuticle을 차례로 통과하는 누출상 분비(eccrine secretion)에 의하여 분비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인산과 칼슘 이온을 함유한 수용액중에서의 타이타늄 표면처리 (A Study of Surface Treatments of Titanium in Aqueous solutions Containing Phosphate and Calcium Ions)

  • 신미정;김도균;김교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8권9호
    • /
    • pp.865-870
    • /
    • 1998
  • 생체내에서 매식되는 타이타늄의 표면에 골의 형성과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 칼슘이온과 인산이온을 함유하는 용액에서 타이타늄의 표면처리를 행하였다. 표면처리방법으로는 pH 5.8, 7.0, 8.0의 인산칼슘 완충용액에 10분간 침적시킨 후 유사체액에 30일간 침적시켰다. 침적시킨 후의 타이타늄 표면에 형성된 피막의 특성을 주사전자현미경, X-ray 회절장치, Fourier 변환강도계등으로 확인하고 유사체액에만 침적한 시편의 표면특성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인산완충용액에서의 침적에 의해 타니타늄 표면에 인산칼슘 형성이 촉진됨을 알 수 있었다. 형성된 층은 입자형의 미세구조를 지닌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나 $\beta$-TCP의 인산칼슘 층으로 확인되었다. 형성된 층의두께는 pH 8.0, 7.0 그리고 pH 5.8의 인산완충액에서의 침적 순으로 증가하였고, 그 밀도는 pH 7.0, pH8.0그리고 pH5.8의 인산완충액에서의 침적 순으로 증가하였다.

  • PDF

전신골격주사(全身骨格走査)를 이용(利用)한 골전이(骨轉移)의 조기발견(早期發見) (Early Detection of Bone Metastasis in Malignancy With whole Body Bone Scan)

  • 김명덕;정순일;최강원;김병국;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3권1_2호
    • /
    • pp.45-53
    • /
    • 1979
  • Bone scans with $^{99m}Tc$-MDP (methylene diphosphonate) was analysed in 112 patients with various type of biopsy proven malignant tumor who visi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1979 to August 197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f the 112 cases, bone scans were positive in 61 cases (54.1%), while only 27 cases (24.1%) were positive in roentgenogram. 2. Of the 61 cases with positive bone scan, bone metastases were found in 25 cases by roentgenogram. Of the 51 cases with negative bone scan, bone metastasis was found in only 1 case by roentgenogram. 3. In comparison of bone scan and roentgenogram by number of regions, 137 regions were positive in bone scan or roentgenogram. Of these, 46 regions (33.5%) were both bone scan and roentgenogram positive, 89 regions (65.0%) were bone scan positive roentgenogram negative, and 2 regions were bone scan negative roentgenogram positive. 4. Bone scan and roentgenographic finding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resence of bone pain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elevated level of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id phosphatase, Ca, and P. From above result, we found that bone scan was more sensitive than roentgenogram in early detection of bone metastasis in malignant tumors.

  • PDF

상지에서의 증식치료 (Prolotherapy for the Upper Extremity)

  • 신근만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7-121
    • /
    • 2008
  • 증식치료는 정상세포나 조직을 성장시키기 위해 성장인자 또는 성장인자 생성 자극제를 주사하는 것이다. 비록 수십 년 동안 논쟁이 되어 오고 있지만 갈수록 더 많은 의사들이 증식치료를 시술하고 있다. 증식치료라는 단어는 1950년 대에 Hacket에 의해 기술되었는데 인대나 근건에 있는 정상조직의 증식을 의미 하였다. 인대 염좌 등의 불완전한 치료는 만성 통증뿐만 아니라 관절불안 등을 초래하고 골관절염의 진행을 촉진할 수 있다. 증식치료는 통상적인 치료에 불응하는 이러한 근골격계 질환에 사용된다. 사용되는 증식제나 수기는 의사마다 수련과정 또는 선호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는 증식제는 10~25%의 포도당이다. 고해상도 초음파기기의 발전에 따라 인대나 근건 등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됨에 따라 이를 증식치료에 접목하여 수기의 정밀도를 높이고 주입되는 약의 확산을 확인 할 수 있게 되었고 그 치료 결과를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압박성 신경병증 (Compression Neuropathy)

  • 김병성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8-133
    • /
    • 2008
  • 신경 압박의 원인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것도 있고, 신체 내부 병리가 발생하여 신경 주행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주관절 이하부에서 압박성 신경병증으로 정중 신경, 척골 신경, 요골신경병증이 있다. 정중 신경은 굴곡 지대부위에서 수근관 증후군이 대표적이며, 모든 신경 포착 증후군 가운데 가장 흔하다. 그 외 주관절 부위에서 스트러더스 인대, 상완 이두근 건막, 회내근, 천수지 굴근 기시부 그리고 비정상 근육들에 의한 회내근 증후군과 전 골간 신경 증후군이 있다. 척골 신경은 스트러더스 궁, 내측 상과 후방의 주관, 척수근 굴근 두 기시부 사이의 건막 등에서 눌리는 주관 증후군과, 수근부에서 결절종, 유구골 갈고리 골절 그리고 혈관성으로 오는 척골 관 증후군이 있다. 요골 신경의 심부 분지가 회외근속을 지나면서 만들어지는 부위에서 눌리는 경우 요골 관 증후군이라고 한다. 치료는 초기에는 소염제나 야간부목, 스테로이드 주사와 같은 보존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으며, 이에 호전되지 않을 경우 전기적 검사나 영상 검사에서 이상이 나타나면 수술적 감압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 PDF

고주파 미세자극에 의한 뼈의 생성에 관한 모델링 (Resonance May Elucidate New Bone Formation Induced by Low amplitude and High frequency Mechanical Stimuli)

  • 윤영준;김문환;배철수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권3호
    • /
    • pp.27-32
    • /
    • 2008
  • 뼈가 왜 고주파 미세자극(low amplitude and high frequency)에 반응하는가를 진동의 공명현상(resonance)을 이용하여 접근해 보았다. 예를 들면 30Hz, $5{\mu}{\epsilon}$ 정도의 진동이 뼈 내 골수 간질액 (bone fluid)의 흐름을 주관하는 미세관(canaliculus) 내벽에 작용할 경우 빔 형태의 구조물들로 연결되어 있는 골세포돌기 세포막 (osteocytic process membrane)은 공명현상에 의해서 $1,000{\mu}{\epsilon}$ 이상으로 증폭된다. 이 결과는 사전조사 형태에 속하며, 향후 (1) 세포실험을 통하여 세포내 신호전달체계변화를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으로, 그리고 (2) 세포내 골격계에 해당하는 액틴필라멘트의 변화를 공초점 주사 레이져 현미경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등의 영상기기의 사용으로 관찰하려고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