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골신장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32초

상악 골신장술과 하악 상행지시상분할술을 이용한 편측 상하악골 수직 증가술: 증례보고 (Unilateral bimaxillary vertical elongation by maxillary distraction osteogenesis and mandibula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a case report)

  • 정영언;양훈주;황순정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6호
    • /
    • pp.539-544
    • /
    • 2011
  • Maxillary canting and vertical shortening of the unilateral mandibular ramus height is common in cases of severe facial asymmetry. Normally, mandibular distraction osteogenesis (DO) with horizontal osteotomy at the ascending ramus is used for vertical lengthening of the mandibular ramus to correct facial asymmetry with an absolute shortened ascending ramus. In this case report, vertical lengthening of the ascending ramus was performed successfully with unilateral DO and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SSRO), where the posterior part of the distal segment can be distracted simultaneously in an inferior direction with maxillary DO, resulting in a lengthening of the medial pterygoid muscle. This case describes the acquired unilateral mandibular hypoplasia caused by a condylar fracture at an early age, which resulted in abnormal mandibular development that ultimately caused severe facial trismus. The treatment of this case included two-stage surgery consisting of bimaxillary distraction osteogenesis for gradual lengthening of the unilateral facial height followed by secondary orthognathic surgery to correct the transverse asymmetry. At the one year follow-up after SSRO, the vertical length was maintained without complications.

암의 다발성 뼈 전이의 방사성동위원소 치료 (The Radiopharmaceutical Therapy for Multiple Bone Metastases of Cancer)

  • 최상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4호
    • /
    • pp.207-215
    • /
    • 2014
  • 암의 다발성 뼈 전이는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신장암 등 다양한 암에서 흔히 관찰된다. 뼈 전이는 뼈에 발생한 이차적인 암으로 통증, 골절, 그리고 체중을 지지하는 뼈의 불안정성을 유발할 수 있어 신체활동과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뼈 전이 치료 시 병리조직소견, 환자의 전신 상태, 침범 부위, 그리고 환자의 신경학적 소견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진통제, 수술, 항암화학요법 그리고 방사선 치료 등을 시행하게 된다. 외부 방사선 치료는 전통적으로 국소 뼈 전이로 인한 통증의 치료에 이용되어왔지만 특히 유방암이나 전립선암의 다발성 골형성 뼈 전이의 경우 $^{89}Sr$, $^{186}Re$, $^{188}Re$, $^{153}Sm$ and $^{117m}Sn$ 등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치료가 시행되고 있는데, 약제 투여의 간편함, 낮은 부작용, 방사능 피폭위험에서의 안전성, 높은 치료 반응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 치료로 임상에서의 유용성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폐경후에 골밀도의 관련인자 분석 (The Associated Factors of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 강점덕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3권1호
    • /
    • pp.97-105
    • /
    • 2001
  • 본 연구는 2000년 7월 14일부터 8월 24일까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가톨릭병원 건강검진센타에서 골다공증 검사를 시행한 여성 36명을 대상으로 폐경후 여성의 골밀도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령의 증가에 따라 요추부의 평균골밀도는 감소되었고, 신장이 증가할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평균골밀도는 증가했으며, 독신(이혼, 사별, 별거), 활동적인 직업 , 요통이 없다, 육류의 항목에서 평균골밀도는 각각 증가했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골밀도의 표준편차인 T 값은 -2.5이하의 골다공증군이 41.7%로 가장 많았고, 골밀도 (BMD)는 평균 0.77g/c$m^2$로 나타났다. 가족중 골절시 연령이 증가할수록, 운동횟수, 운동시간이 증가할수록, 분만횟수가 증가할수록, 각각 골밀도는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자궁 절제술은 안했다가, 혈액형은 A형의 항목에서 골밀도는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폐경후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성이 있는 요인은 골밀도의 표준편차인 T 값이다(p<0.05). 본 연구는 폐경후 적성의 골밀도 관련요인에 대한 많은 변수를 고려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산재성 송아지 백혈병 (bovine leukosis)

  • 임금기;장현철;강문일
    • 한국수의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의병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초록집
    • /
    • pp.150-150
    • /
    • 2002
  • 40두 규모의 농장에서 사육된 홀스타인 종, 4개월령의 수컷 송아지에서 거세 후 고열, 식욕부진, 기침 등의 증상과 함께 전신 체표 림프절의 종대가 관찰되어 백혈병으로 잠정진단 하고 도태를 권유하였으나 축주가 치료를 원해 항생제와 해열제 및 기타 대증요법을 실시한 후 치료반응이 없어 폐사하여 부검을 실시하였다. 혈액 검사상 이상핵과 다형핵을 가진 다수의 림프구 및 백혈구, 호중구, 림프구 및 단핵구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또한 백혈병 바이러스에 대한 분리 및 PCR 검사는 음성이었다. 부검 소견으로 체표 림프절, 슬관절 부위 및 비장과 간의 종대가 관찰되었으며 비장 중심에 12x11 cm의 종괴와 폐의 전엽부 유착 및 폐문, 종격동 림프절의 심한 종대가 관찰되었다. 견갑전 림프절을 비롯하여 대퇴골 전, 서혜, 폐문, 이하림프절 등 전신 림프절의 종대 및 소성의 연한 황색의 매끄러운 절단면을 보였다. 전지 관절의 종대와 관절강 내부는 증가된 농성 활액을 보였으며 고관절 강 내에 농성 활액의 증가와 공기 노출 후 젤리양 응고를 보였다. 심장은 장액성 위축과 함께 섬외막성 점상출혈이 나타났다. 병리조직학적 소견으로 비장은 지주 주변에 미성숙형의 세포들의 침윤이 보이며 유사분열상이 다수 관찰되었고 백색 수질에도 유사분열상의 증가와 함께 림프아구성 세포들이 다수 나타났다. 이들 주요한 비정상 세포들은 다형성의 큰 핵을 가진 다양한 림프아구의 형태를 지녔으며 핵내 공포가 인정되었다. 비장의 종괴 주변에는 증식된 섬유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미세농양 형성되어 있고, 일부 석회화가 진행된 부위도 있었다. 간소엽성 중심성 울혈과 가벼운 간세포내 지방침윤, 혈관 내 림프아구 형태의 세포와 소수의 호중구가 관찰되었다. 간삼조 주변에는 가볍거나 중등도의 단핵세포의 침윤이 미만성으로 관찰되었다. 폐에서는 중등도의 기관지 폐렴과 함께 일부는 무기폐가 관찰되었으며 폐포강과 세기관지내에는 염증성 삼출물이 다량 들어 있었다. 다병소성 미세농양과 함께 괴사가 있었고 실질의 섬유화가 진행되어 있었다. 또한 중등도의 간질성 신장염과 림프절은 지주 주변에 간극 내 비정상 림프구 세포의 형태는 비장의 그것과 유사하였으며 적수와 백수의 구이 힘들며 림프소절이 증가되어 있었다. 한 시야에서 유사분열상이 6-8 개로 그 지수가 매우 높으며 이와 더불어 큰 림프구가 전반에 걸쳐 침윤되어 있었다. 주변부 동(sinus)에는 많은 물질들이 침윤되어 있으며 렴프소절내 미만성의 성상현상이 관찰되었다. 회장은 파이어판내 심한 림프구 소실이 나타났다. 이상의 소견을 바탕으로 본 증례는 산재성 송아지 백혈병으로 진단되었다

  • PDF

소아 복막 투석 환자에서의 결막과 각막의 석회 침착 1례 (A Case of Conjunctival and Corneal Calcification in a Child on Peritoneal Dialysis)

  • 이연주;임진아;이주훈;박영서;김명준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2권2호
    • /
    • pp.239-244
    • /
    • 2008
  • 말기 신부전으로 투석을 받는 환자의 결막과 각막에 골 외 석회 침착이 발생할 수 있다. 결막과 각막의 석회 침착은 대부분 장기간 혈액 투석을 받은 성인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신대체 요법의 기간, 높은 혈청 Ca$\times$P 등과 연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31개월째 복막 투석을 받고 있는 10세 여아에서 발생한 심한 결막과 각막의 석회 침착이 각막 주변부 상피세포 제거와 EDTA 투여로 호전된 경험을 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간(肝)디스토마 정자완성(精子完成)의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 연구(硏究) (AN ELECTRON MICROSCOPY OF SPERMIOGENESES IN Clonorchis sinnensis)

  • 백경기;이은호
    • Applied Microscopy
    • /
    • 제1권1호
    • /
    • pp.35-42
    • /
    • 1969
  • 가토간장에서 채취(採取)한 간(肝)디스토마 성충(成蟲)의 정소(精巢)와 수정낭(受精囊)을 1.25% glutaraldehyde와 1% 사산화(四酸化) 오스뮴산(酸)으로 냉실(冷室)에서 이중고정(二重固定)하였다. 고정(固定)된 시료(試料)는 양식(樣式)에 따라 탈수(脫水)한 후(後) Epon-812로 포매(包埋)하여 MT-2형(型) Porter Blum microtome으로서 초박절편(超薄切片)을 만들어 수사화연(水酸化鉛)과 초산(醋酸)우라닐로서 이중염색(二重染色)한후 Hitachi HS-7형(型)과 HU-11E형(型)의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하였다. 관찰결과 간(肝)디스토마의 정세포(精細胞)는 타원형으로 난형(卵形)의 인(仁)을 포함(包含)한 큰 핵(核)을 갖고 있으며 핵(核)을 둘러싼 비교적소량(比較的小量)의 세포질(細胞質)에는 낭형(囊形)의 조면소포체(粗面小胞體)가 희소(稀少)하게 있으며 유리(遊離)리보좀 및 즐(櫛)을 가진 미토콘드리아, 중심체(中心體), 층판상(層板狀)의 골지체가 있다. 정자(精子)는 긴 원주형(圓柱形)의 핵(核)과 선단(先端)에 첨체(尖體)를 포함(包含)한 두부(頭部)와 중종편(中終片), 미부(尾部)의 말단부(末端部)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져서 결국(結局) 편모(鞭毛)로 끝난다. 두부(頭部)의 선단부(先端部) 가까이 핵환(核環)이 있으므로 이를 기시점(起始點)으로 직경(直徑) $250{\AA}$ 정도의 $8{\sim}10$개(個)의 미세소관(微細小管)이 축사(軸絲)의 배면(背面) 원형질막(原形質膜) 직내면(直內面)의 외형질(外形質)에 평행(平行)하게 중종편(中終片)까지 신장(伸長)되어 있다. 미토콘드리아는 융합(融合)되어 두부(頭部)의 후반부(後半部) 핵(核)의 복측(腹側)에 평행(平行)하게 축사(軸絲)를 감싸는 원추형(圓錐形)으로 종단면(縱斷面)에서 반점상(班點狀)의 횡문(橫紋)이 관찰(觀察)되었다. 중심체(中心體)에서 기원(起原)된 축사(軸絲)는 중심부(中心部)에 중심섬유(中心纖維)와 중심초 및 이중(二重)의 미세소관(微細小管)이 9개(個) 둘러싸고 있는 구조(構造)를 하고 있다.

  • PDF

구순구개열 환자에서 골신장술을 이용한 전상악골의 재건 (Premaxillary Reconstruction by Distraction Osteogenesis for Cleft Lip/Palate)

  • 김기호;정영수;최진환;이상휘;유형석;손병화;이충국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3-70
    • /
    • 2006
  • Patients with cleft lip and palate usually present midfacial depression and anterior cross-bite. This dentofacial deformity has been believed due to the undergrowth of maxilla and/or the collapse of premaxilla. But, in the case that the collapsed premaxilla exists only, the reconstruction of the premaxilla has to be required for the correction of that deformity. These cases show the surgical treatment of midfacial depression and anterior cross-bite in the cleft lip and palate. After the careful diagnosis for the collapse of premaxilla, the reconstruction using distraction osteogenesis was done successfully. As a result, the anterior overbite / overjet, and facial esthetics were improved remarkably, and the occlusion was also recovered to normal state. In conclusion, the premaxillary reconstruction by distraction osteogenesis in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is a good treatment method based on the pathophysiology.

  • PDF

$Synthes^{(R)}$상악골 신장기를 이용한 성인 구개구순열 환자의 치험례 (An Adult Cleft Lip and Plate Patient Using a Maxillary Distractor by $Synthes^{(R)}$ : Report of a case)

  • 김준영;이부규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1-32
    • /
    • 2009
  • Generally, an adult cleft lip or/and palate patient shows some amount of maxillary deficiency due to limitation of bony growth caused by heavy scars resulted from previous operations such as a cheiloplasty and/or a palatoplasty at an early child age. To solve the problem, advancement of the maxilla is usually required during orthognathic surgery. However, severe tensional force resulted from heavy scars on the palate and/or the lip, as well as the bony defect at the cleft area limited sufficient advancement of the maxillary segment and finally caused relapse of the reposed maxilla. Therefore, distraction osteogenesis of the maxilla was introduced for the successful maxillary advancement inthose kinds of patients. As both hard and soft tissues can be simultaneously and gradually extended with this technique, tensional force caused by heavy scars opposed to forward movement of the maxilla can be reduced to an extent not to develop severe relapse of the advanced maxilla. Since distraction osteogenesis of the maxilla was applied as one of standard protocols for the treatment of the patients with severe maxillary hypoplasia dueto cleft lip and/or palate, the devices for the distraction was improved to control the vectors of distraction with better and more stable. We have treated a 23-year-old male cleft patient with a severe maxillary hypoplasia using a newly developed a maxillary distraction device and a RP model for a pre-operative simulation surgery. As a result, we could successfully move the maxilla as we designed pre-operatively and also reduce much of operation time. Therefore, we report of the case to share our experience with colleagues.

  • PDF

한국산 잉어과 어류인 돌마자(Microphysogobio yaluensis)의 정세포변형과 성숙한 정자의 미세해부학적 구조 (Anatomical Ultrastructure of Spermiogenesis and Spermatozoa of Micorphysogobio yaluensis (Pisces: Cyprinidae))

  • 김정기;김구환;황기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2
    • /
    • 2008
  • 돌마자 M. yaluensis 정자의 변형과정과 성숙한 정자의 미세해부학적 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돌마자 정자형성과정에서 발생되는 편모는 핵의 한쪽 측면에서 발생하여 계속 신장되고 있어 잉어과 정자변형과정과 공통된 type 2로 분류할 수 있으며 성숙한 돌마자 정자의 두부 측면에 위치한 편모구조는 정자변형과정에서 핵의 회전이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두 중심립의 각도만큼 편모와 두부의 각도가 만들어지며 잉어과 어류 정자에서 두부와 편모는 두 중심립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있었다. 정자변형과정 중에 중심립 주변에서 관찰되는 골지체는 편모의 확장과 핵와 안으로 이동하는 데 필요한 물질을 제공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정자변형과정 후기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돌마자 정자의 세포질에서 나타나는 vesicles 구조는 중편보다 편모에서 많이 분포하며, 정자 편모의 vesicles은 기부에 주로 분포해 있으며 말단부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중편세포질에 분포하는 미토콘드리아는 비대칭적으로 분포해 있으며, 미토콘드리아의 비대칭적 분포는 잉어류에서는 일부 종을 제외한 공통적인 특징인 것으로 사료된다.

하악 치성점액종 환자에서 유리장골이식으로 재건된 하악골의 골신장술 후 임플란트식립 : 증례보고 (DISTRACTION OSTEOGENESIS FOLLOWED BY IMPLANT INSTALLATION ON THE RECONSTRUCTED MANDIBLE WITH A FREE ILIAC BONE GRAFT IN A ODONTOGENIC MANDIBULAR MYXOMA PATIENT : CASE REPORT)

  • 임헌준;김문섭;이대정;이종복;민승기;편준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1권5호
    • /
    • pp.419-424
    • /
    • 2009
  • Odontogenic myxoma, a rare tumour that occurs in the jaws, locally invasive, destructive tumors that do not metastasize to lymph nodes. Large odontogenic myxoma on mandible is treated by mandibulectomy, defected mandible is reconstructed by bone graft. Reconstructed mandible is difficult to reconstruct dentition using implant because of deficiency of bone amount. So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 bone graft. But a poor aspect of soft tissue lead to unsatisfactory result. Because of distraction osteogenesis is possible to reconstruction of an amount of bone and soft tissue, that is advantage to reconstruction of alveolar bone on reconstructed mandible. We report with review of literatures the 25 years old male patient who had odontogenic myxoma in left mandible, was undergone mandibulectomy and successfully implant installation and prosthetic restoration after distraction osteogenesis(Track $Plus^{(R)}$, KLS Martin, Germany) on the reconstructed mandible with a free iliac bone graft, and we have conservative and successful res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