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골반저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7초

골반저 근육운동이 복압성 요실금 여성의 배뇨증상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on Urinary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 최인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6-56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on reducing the symptoms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nd improving attitude toward exercise and quality of life. Method: The research adopted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55 persons who were survey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23 pers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among the total sample were measured for the peak pressure and the duration of PMC and trained correct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using peritron in the first week. Then,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was implemented for 6 weeks. The data was analyzed by $\chi^2$-test and t-test with the SPSS 10.0 program. Results: 1) The degree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frequency of urination, nocturia, urgency, noctural incontinence, the frequency and quantity of incontinence, outer clothing change and incomplete emptying decreased significantly m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2) Attitude toward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and the qualify of life were improved significantly m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3) The peak pressure and duration of PMC increased significantly more in the posttes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is judged that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in order to care for stress urinary incontinence.

  • PDF

저에너지 외상에 의한 비전위 치골지 골절에서 발생한 대량출혈 (Massive Hemorrhage Caused by a Non-Displaced Pubic Ramus Fracture from Low-Energy Trauma)

  • 나화엽;신근영;최세헌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557-561
    • /
    • 2019
  • 대부분의 저에너지 외상에 의한 골반환 골절은 합병증 없이 보존적 치료만으로 호전이 되어 혈관손상 등의 합병증에 대한 초기평가를 간과하기 쉽다. 본 증례보고에서는 평소 aspirin을 복용하던 81세 여자환자가 낙상으로 비전위성 치골지 골절이 발생하면서 corona mortis가 손상되어 나타난 대량출혈을 보고하는 바이다. 고령의 골반환 골절 환자에서는 골절의 전위 여부와 관계없이 혈관 손상이 지연되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면밀한 이학적 검사 및 감시가 필요하다.

골반저 기능부전과 치료적 운동 (Dysfunction of Pelvic Floor and Therapeutic Exercise)

  • 권혜정;황성수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7-26
    • /
    • 1999
  • The pelvic floor is a muscular structure, pierced by urologic, genital, and distal intestinal tract. Also pelvic floor is not a frozen but a functional unit. The pelvic floor dysfunction has 1) laxity of soft tissue and muscle 2)rupture of pelvic floor, 3)increased the te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information about the pelvic floor dysfunction and pelvic exercise. This investigate the pelvic floor structure and function, pelvic floor dysfunction, pelvic floor exercise, and recent research trends. The pelvic floor exercise is one of important exercise in physical therapy, this exercise program will be improved patients with pelvic floor dysfunction.

  • PDF

이족 로봇의 저전력 보행 궤적 생성 및 구현 (Low-Power Walking Trajectory Generation of Biped Robot and Its Realization)

  • 박상수;김병수;오재준;최윤호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43-44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이족 로봇 보행 중 전력 소비가 적고 안정한 저전력 보행 궤적 생성 방법을 재안하고, 생성된 보행 궤적의 구현을 위해 25 자유도를 갖는 이족 로봇을 설계 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에서는 발목 사용 보행의 장점을 이용하고 보행 중 무릎을 크게 굽히는 동작을 줄이기 위해 기존 보행 방법과는 달리 우선 가장 안정한 VPCG 궤적을 생성 하고 생성된 궤적에 따른 발목과 골반의 보행 궤적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족 로봇이 보행 중 항상 무릎을 굽히지 않으므로 전체 보행 중 전력 소비를 최소화 한다. 한편 제작된 이족 로봇은 발목 사용 시 지면과 잘 접지되는 발 구조와 골반을 유연하게 동작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이족 로봇의 실제 보행 실험 및 소비 전력 측정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이 발목을 사용하지 않는 기존 방법에 비해 더 안정하고 전력 소비가 더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년 직장여성의 성기능에 미치는 골반저근운동의 효과: 예비연구 (Effects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on Sexual Function in Employed Middle-aged Women: A Pilot Study)

  • 박형숙;김은경;김민영;양영옥;박경연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66-473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on sexual function and to present basic information on promoting sexual function for employed middle-aged women.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05 from a sample of 25 conveniently selected middle-aged working women from B city. For personal reasons, 10 dropped out, leaving 15 women who were treated with the exercise for 6 weeks. Outcome measures on sexual function were assessed by a self-report questionnaire based on the Female Sexual Function Index(Rosen et al, 2000 and translated by Kim, 2004). Cronbach ${\alpha}'s $ for the two studies were .82 and .96 respectively and for this study, .81. Descriptive statistics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mean score for sexual function was 21.42(range 2-36).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otal sexual function, and 4 sub-scales of sexual function, sexual arousal, vaginal lubrication, orgasm, and coital pain. No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exual desire or sexual satisfaction were found. Conclusion: The small sample means findings must be interpreted with caution, but do suggest that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could be an effective exercise for improvement of sexual function.

  • PDF

한국여성의 복압성요실금에 대한 골반저근육훈련운동과 바이오피드백요법의 효과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and Biofeedback Treatment for Stress Incontinence in Korean Women)

  • 최영희;성명숙;홍재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4-47
    • /
    • 1999
  • This study evaluated the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and Biofeedback treatment for Genuine Stress Incontinence I assigned 60 participants to 2 groups : 30 to the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group and 30 to the biofeedback group. Treatment protocol lasted for 6 weeks. Peak pressure, and duration time of pelvic muscle contraction were evaluated by a perineometer. Lower urinary symptoms, sexual matter and life style scores were achieved by using Jackson's scale. The treatment efficacy of the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is compared with the biofeedback group and the main results of the comparison are as follows : 1. Pelvic muscle contraction 1) The peak pressure in the biofeedback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00). 2. The frequency and quantity of incontinence 1) The frequency of incontinence in the biofeedback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00). 2) The quantity of incontinence in the biofeedback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00). 3. The lower urinary symptoms Daily frequency(P=0.000), nocturia(P=0.000), urgency(P=0.000), bladder pain(P=0.000), unexplained incontinence(P=0.048), wearing protection(P=0.022), changing outer clothing(P=0.005), hesitancy(P=0.008), intermittent stream(P=0.000), abnormal strength of stream(P=0.004), retention(P=0.000), incomplete emptying(P=0.000), and inability to stop mid stream(P=0.006) of the lower urinary symptoms in the biofeedbatk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4. The sexual matters The dry vagina (P=0.004) and pain during sexual Intercourse (P=0.002) in the biofeedback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5. The life style The fluid intake restriction(P=0.007), affected daily task(P=0.003), avoidance of places & situation(P=0.003), interference in Physical activity (P=0.002), interference in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P=0.01), and feeling about the rest of life with urinary symptom(P=0.000) in the biofeedback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nclusion, the biofeedback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in genuine stress incontinence.

  • PDF

골반저근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후 요실금이 있는 여성의 골반저근력과 하부요로증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Program on Pelvic Floor Muscle Strength and Lower Urinary Tract Symptom of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after Stroke)

  • 최세종;이용우;송창호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03-210
    • /
    • 201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PFME) in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UI) after ischemic stroke. Methods : Thirty wom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randomly Experimental Group(15 subject) and Control Group(15 subject) in a single blinded, randomised study.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for the 6-weeks PFME program and had a structured training program for 60 minutes, 3 days per week and they were encouraged to PFME at home seven days for a period of 6weeks. They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 of urinary symptoms and perineometry. Results :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elvic floor muscle strength and lower urinary tract symptom was also demonstrated within the Treatment Group(p<.05),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PFME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in women with UI after stroke measured by pelvic floor muscle strength and lower urinary tract symptom.

초기 자궁내막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결과와 예후인자 (The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n the Early Stages of Endometrial Cancer)

  • 이경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3호
    • /
    • pp.149-159
    • /
    • 2008
  • 목 적: 본 연구는 자궁내막암 병기 $1{\sim}2$ 환자에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결과와 예후인자를 분석하여 향후 치료원칙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얻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병원에서 자궁내막암으로 진단받고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병기 $1{\sim}2$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전체 환자는 35명이었으며 17명은 자궁절제술과 양측 난소제거술을 시행하였고 18명은 완전한 수술적 병기의 수술을 시행하였다. 골반강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는 17명, 질강내근접치료를 받은 환자는 12명, 골반강 방사선치료와 질강내근접치료를 받은 환자는 6명이었다. 결 과: 추적기간의 중앙값은 54개월이었다.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91.4%, 무병생존율은 81.7%이었다. 저위험군, 중간위험군, 고위험군의 위험군에 따른 5년 생존율은 각각 100%, 100%, 55.6%이었으며 무병생존율은 각각 100%, 70.0%, 45.7%이었다. 국소재발된 환자는 없었으며 5명(14%)에서 원격전이가 발생하였으며 호발부위는 폐, 뼈, 간, 부신, 전복강의 순이었다. 원격전이에 대한 단변량 통계분석에 따르면 위험군, 조직학적 세포형태와 조직학적 등급이 유의성이 있었으며, 다변량 통계분석에 따르면 조직학적 세포형태로서 유두형, 장액형, 그리고 투명세포암은 자궁내막양암과 샘암편평암에 비하여 원격전이율이 높고 생존율이 낮았다. 골반강 방사선치료에 의한 후유증은 장염이 30%에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직장염이었으나 대부분 등급 $1{\sim}2$로 등급 $3{\sim}4$의 후유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 론: 수술 후 골반강 방사선치료 혹은 질강내근접치료를 시행한 자궁내막암 병기 $1{\sim}2$환자들의 경우 저위험군과 중간위험군은 국소제어율과 생존율이 높았으나, 고위험군은 골반강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 국소제어율은 높으나 원격전이율이 높고 생존율이 낮았다. 따라서 고위험군은 방사선치료와 동시에 항암화학요법이 요구된다. 중간 위험군의 더 효율적인 치료를 위하여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골반강 방사선치료와 강내근접치료를 비교하는 전향적 무작위연구가 필요하다.

토모치료기 CatcherTM Couch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Study of the CatcherTM Couch's Usefulness)

  • 엄기천;이충환;전수동;송흥권;백금문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65-74
    • /
    • 2019
  • 목 적: 최근 Radixact® X9에서는 치료테이블의 처짐을 방지하는 CatcherTM가 추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선량전달을 위한 토모테라피의 메가볼트 전산화단층촬영(MVCT) 영상유도방사선치료 시 Tomo-HDA®의 General Couch와 Radixact® X9의 CatcerTM Couch의 치료테이블 처짐 정도를 팬텀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비교하고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팬텀연구를 위해 란도팬텀을 이용하였으며, 치료부위에 따른 변화를 위해 두경부와 골반부에 중심점을 설정하였다. 또한, 무게에 따른 변화를 위해 자체 제작한 저용융점납합금을 이용하였다. 납합금의 무게를 점차 증가시켜(A: 15kg, A+B: 30kg, A+B+C: 45kg) MVCT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수직오차 및 회전(Pitch)오차를 측정하였다. 환자연구를 위해 본원에서 토모테라피를 이용하여 방사선치료를 받은 120명의 환자를 선정하였다. Tomo-HDA®과 Radixact® X9에서 각각 60명씩 치료를 받았으며, 치료부위는 두경부와 골반부로 30명씩 분류하여 선정하였다. 환자연구 방법으로는 치료 첫 날 획득한 MVCT 영상의 척추를 기준으로 수직오차 및 회전(Pitch) 오차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결 과: 팬텀연구 결과 Tomo-HDA®의 General Couch에서는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두경부와 골반부 모두 수직 및 회전(Pitch)오차가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두경부에서 최대 7.52mm, 0.38°, 골반부에서 최대 11.94mm, 0.92° 발생하였다. Radixact® X9의 CatcherTM Couch에서는 0.02~0.1mm, 0~0.04°의 오차범위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자연구 결과 Radixact® X9의 CatcherTM Couch에서 두경부 4.79mm, 0.33°, 골반부 7.66mm, 0.22° 더 낮게 측정되었다. 결 론: 팬텀연구 결과 Tomo-HDA®의 General Couch에서는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수직오차 및 회전(Pitch) 오차가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특히 두경부보다는 골반부에서 더 많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목적인 Radixact® X9의 CatcherTM Couch에서는 무게와 부위라는 변수상관 없이 일정한 오차가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CatcherTM Couch는 Couch 처짐이라는 Mechanical error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두경부보다는 골반부에서 더 유용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방사선치료 시 Radixact® X9의 CatcherTM Couch를 사용한다면 토모테라피의 특성상 보정할 수 없는 회전(Pitch)오차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병기 IB 자궁경부암에서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EGF)의 발현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s a High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in Stage IB Carcinoma of the Cervix)

  • 이익재;박경란;이종영;이강규;송지선;이광길;차동수;최현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335-344
    • /
    • 2001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자궁경부암에서 VEGF의 발현과 기존의 예후인자들인 종양의 크기, 골반내 림프절 전이, 자궁경부 심부침윤, 림프계 침윤, 혈관계 침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생존율을 분석하여 VEGF의 예후 예측인자로서의 임상적 의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환자들은 1986년 1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기독병원에서 자궁경부암으로 진단 받고 자궁근치 절제술과 양측 골반 림프절 절제술을 받은 FIGO 병기 IB인 환자 118명으로, 88명은 수술 후 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가 시행되었다. VEGF 발현은 수술을 시행한 파라핀 조직을 가지고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평가하였다. 분석은 염색의 강도에 따라 0, +, ++, +++로 판정하였으며 0에서 ++까지를 저발현(low expression), + + +를 고발현(high expression)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 대상 환자 118명중 VEGF 고발현을 보이는 환자는 35명$(29.7\%)$이었으며 VEGF 발현은 자궁경부 심부침윤(p=0.01)과 골반내 림프절 전이(p=0.03)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5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VEGF 발현이 낮을 때 각각 $85.6\%,\;79.7\%$이었고, 고발현일때는 $98.5\%,\;100\%$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3, <0.001). 다변량분석에서 생존율에 의미 있는 예후인자는 VEGF 발현(p=0.03)과 골반내 림프절전이(p=0.03)였고 무병생존율에 의미 있는 예후인자는 VEGF 발현(p<0.001), 그리고 종양의 크기(p=0.01)였다. 전 118예 중 12예에서 재발을 보였는데(골반내 재발 7예, 원격전이 5예) 이 중 11예가 VEGF 고발현을 보인 환자이었고 단 1예에서 VEGF 저발현을 보여, VEGF 발현이 높은 환자에서 골반내 재발(p=0.001)과 원격전이(p<0.001)가 의미 있게 높았다. 결론 :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한 VEGF 발현의 정도는 조기 자궁경부암에서 기존의 치료 후 재발의 위험도가 높은 환자들을 찾아내는데 가장 의미 있는 예후 인자의 하나로 생각되며 나아가서 향후 VEGF 항체 등의 새로운 혈관억제요법의 임상연구를 시도하는데 있어서도 적합한 대상 환자들을 찾아내는데 유용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