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골밀도 변화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3초

DEXA를 이용한 골밀도 측정시 검사자의 ROI 변화에 따른 골밀도 측정값의 오차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Bone Mineral Density Measurement Error in Accordance with Change in ROI by Utiliz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 이윤홍;이인자;양형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5권1호
    • /
    • pp.1-7
    • /
    • 2012
  • 현재 골다공증 진단은 주로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을 사용 하고 있다. DEXA에 의한 골밀도 측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는 크게 검사자, 골밀도 측정기, 피검자에 의해 발생하며 그 중 검사자의 관심영역(ROI, Region of interest)설정에 의한 골밀도 측정값의 오차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2011년 3월~6월에 골다공증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본 병원을 내원한 환자 40대, 50대, 60대, 70대 각각 50명씩을 선별하여 대퇴골과 요추에서 골밀도 측정을 각각 두 번씩 측정하였다. 평상시에 하던 ROI 설정으로 측정(검사방법 A)하고, ROI를 최대한 넓게 변형하여 측정(검사방법 B), 두 번 측정하여 검사방법 A와 B측정값의 차이를 비교하여 검사자의 ROI변형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T-score의 최대 측정오차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대퇴부의 대퇴경(Femur neck)에서 T-score가 표준편차 0.1만큼 B측정값이 골밀도가 높게 측정되었고, 전자부(Greater trocanter)와 전자간부(Inter trocanter), Ward's area에서도 각각 표준편차 0.2만큼 B측정값이 높게 측정되었다. 요추부에서 A측정값과 B측정값의 오차 정도는 L-1에서 T-score가 표준편차 0.1만큼 B측정값이 낮게 측정되었고, L-2와 L-3는 변화가 없었으며 L-4에서는 표준편차 0.2만큼 B측정값이 낮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200명 환자의 골밀도 측정에서 대퇴부에서는 ROI를 크게 변화시켰을 때 실제보다 골밀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요추부에서는 실제보다 골밀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자의 ROI 설정변화에 따라 환자는 골다공증이 될 수도 있고 골조송증이 될 수도 있다. 이것은 환자의 골다공증 약제의 보험수가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기 때문에 검사자는 항상 일정한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의사의 진료와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검사를 해야 할 것이다.

혈색소 농도에 따른 대학생의 골밀도 분석 (Analysis of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Hemoglobin in University Students)

  • 윤준;김대중;성현호;조윤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96-303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혈색소와 골밀도를 평가하고, 혈색소와 골밀도 정량 분석 결과를 보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골밀도에 미치는 혈색소의 영향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30세의 건강한 대학생 52명을 직접 실험을 진행하였다. 골다공증은 전통적 노화 여성의 질병으로 간주되었지만, 점차 남성의 건강 문제로 되고 있다. 골다공증의 진단은 골밀도의 정량적 평가로 계산된다. 검사실에서 실시하는 혈액과 소변 검사는 주로 뼈의 신진 대사의 장애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낮은 BMD 또는 취약성 골절에 사용된다.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골밀도의 차이는 없었다. 평균 적혈구수, 혈색소 및 적혈구 용적은 남성에게서 상당히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1). 요추 척추, 골격근양, 기초대사량 사이의 상관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수준에서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p<0.01). 다중회귀분석결과 혈색소는 골밀도에 51.7% 통계적 영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골밀도와 혈색소에서 유의한 관계를 이해하는데 유용하며, 혈색소 수준은 골밀도 수준을 예측하는데 강력한 인자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낮은 Hb 값이 낮은 뼈 질량을 가진 피험자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여, 낮은 Hb 값이 골밀도를 감소시키는 뼈 회전율 변화의 위험 요소로서의 규칙을 가짐을 의미한다고 사료된다.

로얄 아카데미 발레댄스 프로그램 수행이 여자 대학생의 신체조성, 체력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llet Program Training of Royal Academy of Dance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ollege Women)

  • 김종원;이미란;이경희;김현준;최문기;김도연;김태운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093-1103
    • /
    • 2009
  • 본 연구는 운동을 하지 않은 20대 초반 여대생을 대상으로 발레운동이 신체조성, 체력 및 골밀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RAD 발레 프로그램을 12주간 수행한 결과 신체조성에서는 TBF, LBM, %fat가, 체력에서는 AMS, sit-ups, SLJ, 1,200 m R &, W가, 골밀도에서는 GT, WT가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고, 신체부위별 골밀도 분포현황에서 골감소증이 실험군에서 변화가 없었으나, 대조군에서는 GT와 WT에서 3명의 증가를 보였다. 신체조성, 체력 및 골밀도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체중, TBF, LBM, %fat, BMI, AMS가 높은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부위별 골밀도의 상관 관계에서는 요추 골밀도, 대퇴경부, 전체 골밀도에서 높은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RAD 발레프로그램이 신체조성, 체력 및 골밀도에 대한 예방 및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골밀도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로 나이, 체질량지수, 흡연, 운동, 영양소섭취량 이외에도 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전적 소인이 있으므로 이러한 소인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점차 젊은층으로 확대되는 골감소증 현상에 주목하여,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를 이용한 소아들의 골밀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Bone Mineral Density of Lumbar Spine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in Children)

  • 유철우;신손문;박용훈;김선용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369-379
    • /
    • 1993
  •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를 이용하여 골밀도에 영향을 줄 인자가 없는 소아 80명을 대상으로 제2-4요추에서 골밀도를 측정하여 연령군과 Tanner stage의 변화에 따른 골밀도의 변화를 연구하고 골밀도와 연령, 체중, 신장, 골 연령, 성별, 혈청칼슘, 무기인, 부갑상선호르몬과 Alkaline phosphatase 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골밀도는 연령(r=0.696), 체중(r=0.693), 신장(r=0.717), 골연령(r=0.690) 및 Tanner stage(r=0.636) 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r>0.6) 골대사의 지표인 혈청 칼슘, 무기인, 부갑상선 호르몬 ALP나 성별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특히 남, 여 그리고 전체 환아 각각의 경우에서 연령, 체중, 신장과 골밀도의 직선적 상관관계(남아 : 연령 y=0.4223+0.0289x, 체중 y=0.3879+0.0087x, 신장 y=0.1362+0.0042x 여아 : 연령 y=0.3731+0.0494x, 체중 y=0.3206+0.014x, 신장 y=0.0782+0.0070x 전체 : 연령 y=0.4113+0.0354x, 체중 y=0.3690+0.0107x, 신장 y=0.0628+0.0051x)가 있었다. 연구대상 소아를 4개의 연령군(1군 : 2개월-1세미만, 2군 : 1세이상-5세이하, 3군 : 6세이상-10세이하, 4군 : 11세 이상-15세이하)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연령군에 따른 골밀도($g/cm^2$)의 증가는 1군(BMD : $0.335{\pm}0.175$)과 2군(BMD : $0.627{\pm}0.200$) 그리고 3군(BMD : $0.714{\pm}0.1896$)과 4군(BMD : $0.873{\pm}0.163$)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5), 2군과 3군사이에서는 유의한 골밀도의 증가를 관찰할 수 없었으며 남녀간 골밀도의 차이는 없었다(p<0.05). 또한 Tanner stage의 발달에 따라서는 골밀도($g/cm^2$)는 Tanner stage 1에서는 $0.547{\pm}0.234$, Tanner stage 2에서는 $0.783{\pm}0.136$, Tanner stage 3에서는 $0.998{\pm}0.080$으로서 모든 단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DEXA로 측정한 골밀도는 연령, 체중과 신장 등의 증가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고 이들은 성장 속도가 빠른 연령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성적 성숙도의 발달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 PDF

신생아 골밀도에 관한 연구 - 재태 연령과 출생 체중에 따른 골밀도의 차이 - (A Study on the Bone Density in Newborn Infants - Difference of the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the Gestational Age and the Birth Weight -)

  • 이은실;신손문;문한구;박용훈;최광해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2호
    • /
    • pp.383-392
    • /
    • 1997
  • 미숙아를 포함한 신생아에서의 재태 연령에 따른 골밀도의 차이를 관찰하여 향후 대사성 골질환의 진단을 기초 자료로 삼기 위하여, 1995년 3월 1일부터 1997년 2월 28일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출생한 신생아 중 자궁내 성장 발육 이상 소견이 없고, 생후 1주일이내에 골밀도 측정이 가능하였던 53명을 대상으로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X-R 26, Norland, U.S.A.)을 사용하여 생후 1주일내의 요추에서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밀도는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재태 연령군별 골밀도는 재태 연령 28-30주군의 $0.149{\pm}0.009g/cm^2$에서부터 39-41주군의 $0.229{\pm}0.034g/cm^2$까지 재태 연령의 증가에 따라 함께 증가를 보여 33-34주군과 35 - 36주군 사이를 제외한 재태 연령군별 골밀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5), 재태 연령이 28주 3일에서 41주 3일로 증가함에 따라 골밀도는 직선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Y=7.5{\times}10^{-3}X-0.082$, r=0.7018, p<0.001). 2. 출생체중별 골밀도는 1,000-1,499그람군의 골밀도는 $0.158{\pm}0.020g/cm^2$을 나타내었고, 3,500-4,000그람군의 골밀도는 $0.251{\pm}0.021g/cm^2$를 나타내어 출생 체중군별 골밀도는 1,000-1,499그람군과 1,500-1,999그람군 사이를 제외한 모든 체중군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0.05). 출생체중이 1,250그람으로부터 3,880그람까지 증가하는데 따라 골밀도는 유의하게 증가하며 직선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Y=3.9{\times}10^{-5}X+0.093$, r=0.7296, p<0.001). 재태연령이 증가할수록, 출생체중이 증가할수록 골밀도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이는 향후 미숙아를 포함하는 신생아에 대한 골밀도 변화를 관찰하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숙지황과 가시오가피 복합추출물(OPB)이 난소절제 흰쥐의 골밀도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rbal Formulation (OPB), Rehmannia Glutinosa Libosch and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Extracts on Bone Density and Bone Biochemical Marker in Ovariectomized Rats)

  • 김정근;김세원;이병의;황현환;권종석;고선일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1호
    • /
    • pp.35-43
    • /
    • 2007
  • 본 연구는 숙지황과 가시오가피 복합추출물 (OPB)이 난소절제 흰쥐의 골밀도 및 골대사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3주된 20마리의 Sprague-Dawley 암컷 흰쥐를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었고, OPB의 골밀도 및 골대사 변화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난소절제 후 3일 후부터 OPB를 100 mg/kg씩 8주 동안 경구투여 하였다. pQCT 방식으로 골밀도, 골함유량, 골강도를 측정하였고, 혈청 중 CTx (C-telopeptide of type I collagen)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난소절제 후 대조군의 골밀도는 $-29.8{\pm}3.0%$로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감소는 OPB의 투여에 의해 $-21.4{\pm}2.3%$로 억제되었다. 골강도의 변화에서는 anti-fracture 값과 anti-twisting 값이 대조군에 비해 OPB 처리군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혈청 중 골흡수 지표인 CTx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OPB 처리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숙지황과 가시오가피의 복합 추출물인 OPB가 난소를 절제한 흰쥐에서 골 소실을 억제하므로 임상에서 난소절제 후 또는 폐경 후 골다공증의 개선제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DXA측정기 종류에 따른 요추부와 대퇴경부 골밀도 값의 측정오차 비교 (Comparison Measurement Error of T-score Between Lumbar and Femoral Neck According to Kind of DXA)

  • 한범희;정홍량;임청환;이혜남;정천수;이상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50-257
    • /
    • 2010
  • 본 연구는 골밀도측정기 Norland와 Osteocore, Lunar 세 기종을 이용하여 각각 100명씩 총 300명을 대상으로 신체특징 중 연령, 신장, 체중으로 구분하여 측정오차를 비교분석하였으며, 요추부와 대퇴경부를 각각 정상(T-score$\geqq$-1.0), 골감소증(-1.0>T-score>-2.5), 골다공증(T-score>-2.5)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그룹에서 측정오차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령과 신장에서 Norland측정기가 측정오차의 변화가 가장 적었으며, 체중에서는 Lunar측정기가 측정오차의 변화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요추부를 기준으로 골밀도 측정오차를 비교한 결과 Lunar, Norland, Osteocore 세 기종 모두 골감소증에서 측정오차의 변화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퇴경부를 기준으로 골밀도 측정오차를 비교한 결과 Lunar, Norland, Osteocore 세 기종 모두 골다공증에서 측정 오차의 변화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에 있어서 기종 마다 측정오차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공통 Phantom을 사용하여 각 회사의 측정치를 환산 비교하고, 소프트웨어의 교체에 따른 상호보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원위 요골 골밀도의 측정 자세 및 요추 골밀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The Position for Measuring BMD of the Distal Radius and The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tal Radius and Lumba)

  • 한만석;전민철;서선열;김종진;김용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3권1호
    • /
    • pp.19-24
    • /
    • 2010
  • 본 연구는 원위요골의 회전에 따른 골밀도의 변화를 알아보고 원위요골 골밀도와 요추 골밀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골밀도 측정시 정확한 측정 자세를 알아보고자 자체 제작한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수술, 기형이나 외상력이 없는 20, 30대 남성 11명을 대상으로 전완부를 DR(digital diagnostic IR-1100-150 ; Philips)로 촬영하였고 남성 21명을 DXA(QDR 4500W ; HOLOGIC, USA)로 골밀도 측정을 시행하였다. 실험은 두 가지로 수행하였다. 첫째,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11명을 대상으로 전완부를 DR로 중립위(0도)를 기준으로 내회전 및 외회전 각각 3, 6, 9도에서 촬영하였고 둘째, 요추 및 전완부(Forearm)의 골밀도를 21명을 대상으로 DXA 장비를 이용해 중립위(0도)를 기준으로 내회전 및 외회전 각각 5, 10도에서 측정하였고 통계프로그램 SPSS 12.0v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DR로 촬영한 11명의 원위요골 회전각은 내회전인 경우가 82%(n = 9)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내회전 각도는 7도였다. 외회전 6도와 중립위(0도)에서도 1명(9%)씩 나타났다. 전체평균 회전각은 내회전 5.1도였다. DXA로 측정한 21명의 원위요골 회전각은 내회전인 경우가 43%(n = 9)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내회전 각도는 7.2도였다. 외회전은 24%(n = 5)이고 평균 외회전 각은 6도이며 중립위(0도)은 33%(n = 7)로 나타났다. 전체평균 회전각은 내회전 4.1도였다. 요추와 원위요골의 상관 계수는 r = 0.30, p = 0.18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요추의 골밀도가 원위요골의 골밀도를 대변하지 못하기 때문에 원위요골 골밀도의 평가는 원위요골에서 측정해야 한다. 전완부 골밀도 측정시 중립위는 원위요골이 외회전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최저 골밀도의 회전각에서 일정하게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중립위 보다 내회전이 필요하며 내회전 각은 약 5도가 추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