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골간근 파열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다른 수지의 중수수지 관절에서의 Stener 유사 병변 (Stener-Like Lesions in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 of the Fingers)

  • 이상림;정의엽;이지혜;전숙하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547-551
    • /
    • 2018
  • 저자들은 다른 수지의 중수수지 관절에서 발견된 Stener 유사 병변 3예와 제2 수지에서 이와 유사한 임상 소견을 나타냈던 제1 배측 골간근 파열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제5 수지에서 발생한 2예는 Stener 병변이었고 제2 수지의 1예는 파열된 측부 인대가 전위되었으나 파열되지 않은 시상대가 아래에 위치하여 있었으며, 이는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검사에서도 관찰되었다. 수술 전 초음파에서 제2 수지의 Stener 병변으로 판단되었던 1예는 제1 골간근의 파열이었다. MRI는 수지의 중수수지 관절의 측부 인대 파열의 진단에서 필수적인 감별 진단 검사라고 판단된다.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이열 봉합술 및 교량형 봉합술식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Double Rows & Suture Bridge Technique)

  • 신상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82-89
    • /
    • 2008
  • 이상적인 회전근 개 봉합술은 봉합 초기 높은 고정 강도로 봉합 부위 건-골간 간격 형성을 최소화시키며, 재활 과정 중 발생하는 반복적인 부하에도 견디는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어 궁극적으로 건-골 조직의 생물학적 치유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현재 사용되는 회전근 개 봉합술 중 교량형 봉합술식은 회전근 개 부착 부위를 해부학적으로 복원할 수 있으며, 건-골간 압력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방사형의 봉합 형태를 통하여 회전근 개 전체에 균등하게 압력을 분포함으로 부하를 분산시키며 생물학적 치유를 향상시킨다. 또한 건-골간 간격 형성을 최소화하며 전단 및 회전 응력에 저항력을 주어 정상과 동일한 해부학적 복원력으로 빠른 재활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비록 교량형 봉합술식이 다른 술식에 비해 우수한 생역학적 특성을 나타내도 임상적으로 더 좋은 결과를 초래한다는 증거는 없으며, 이열 봉합술과는 비슷한 재파열율이 보고되고 있다. 회전근 개봉합술의 선택은 회전근 개 파열 크기, 파열 양상 및 건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개 이상 건이 이환된 회전근 개 파열에서 일차 복원술 (Primary Repair in Tears Affecting Two or More Rotator Cuff Tendons)

  • 김진영;강기서;태석기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2호
    • /
    • pp.160-166
    • /
    • 2007
  • 목적: 다발성 회전근 개 파열에서 일차 복원술의 결과와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에서 2003년 사이에 두 개 이상 건이 이환된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하여 일차 복원술을 시행한 후 2년 이상 추시된 19예(평균 연령 64.8세)를 대상으로 UCLA score의 변화를 조사하고, 외상, 능동적 운동, 견봉-상완골간 간격, 파열의 크기, 면적 등과 UCLA score사이의 상관 관계를 Pearson 선형 상관계수(PLCC)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UCLA score는 평균 9.4에서 26.1로 전 예에서 뚜렷이 증가하였으나 Ellman 기준상 53%에서 우수, 47%는 불량의 결과를 보였다. 외상, 능동적 거상, 견봉-상완골 간격 및 파열의 크기는 UCLA score와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파열 면적은 UCLA score와 역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LCC=-0.696) MRI상 극하근의 Goutallier등급 III단계 이상 변성이 있는 경우는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다발성 회전근 개 파열에서 일차 복원술의 결과는 53%에서 만족스러웠다. 큰 파열 면적, 극하근의 심한 변성은 불량 예후인자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