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곤충눈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Recent Advances on Imaging Systems Inspired by Insect's Eye

  • Song, Y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128.1-128.1
    • /
    • 2014
  • 잠자리, 벌 등 곤충과 새우, 가재 등 갑각류를 포함하는 절지동물류에서 발견되는 겹눈(compound eye)구조는 볼록한 형태이기 때문에 일반 단일렌즈(single lens)형 눈에 비해 매우 넓은 시야각을 가지며, 깊은 심도를 갖는 특징이 있다. 기존 카메라가 갖기 어려운 겹눈의 독특한 장점으로 인해, 곤충의 눈을 모방하는 연구는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겹눈구조는 일반적으로 수백에서 수만개의 홑눈(ommatidium)이 모여 다발을 이루고 있으며, 각 홑눈은 겉에서부터 마이크로렌즈 형태의 각막, 수정추, 감간(rhabdom)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겹눈구조를 모방하기 위해서는 인공홑눈을 제작하고 이를 반구형으로 배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실리콘 반도체를 기반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는 딱딱하고 편평하여 굴곡진 형태로 배열이 어렵기 때문에 곤충눈을 모방한 형태의 구조물은 몇몇 연구그룹에서 개발된 사례가 있으나, 이미징이 가능한 곤충눈 시스템의 개발은 보고된 바가 없었다. 본 발표에서는 최근에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플렉서블 전자소자에 기반한 곤충눈을 모방한 이미징 시스템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 PDF

뽕나무 눈 마름병 발생 생태에 관한 연구

  • 김영택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15 no.2
    • /
    • pp.68.1-68
    • /
    • 1973
  • 1. 추기 적엽방법에서는 염병 따기가 눈 마름병 발생이 적었다. 2. 추기 벌채는 강벌채 일수록 눈 마름병 발생이많다. 3. 눈 마름병균의 뽕나무 가지 침입시기는 수원지방의 경우 8월중순부터 9월하순경이였다. 4. 추기 조상벌채후 11월이후 재벌채 하면 눈 마름병을 억제 할수 있다.

  • PDF

시야계의 양안 불일치와 입체시

  • Kim, Yong-Geu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4 no.1
    • /
    • pp.101-107
    • /
    • 1999
  • 동물계의 몇 곤충을 제외한 대부분 두 개의 눈을 가지고 시 생활을 하게 된다. 이런 두 개의 눈은 진화 과정에서 생존을 위해 필요 충분한 요인인 것이다. 눈의 시야계의 역할을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항에 대해서 생존을 위한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게 하고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빠르게 수용하기 위한 것이며, 외부 환경의 3차원 세계의 정보를 지각하기 위한 것이다. 사람이 볼 수 있는 수평각은 $210^{\circ}$로 다른 동물에 비해 가장 작은 값을 갖으나, 두 눈을 동시에 한 사물을 관찰 할 수 있는 3 차원적 지각 각도는 $130^{\circ}$로 다른 동물에 비해 가 장 큰 값을 갖고 있다. 이런 현상은 사람에게 3차원 영상의 수용이 가장 진화된 것으로 이와 관련된 입체시와 양안 불일치의 형성 원리를 설명 할려고 한다. 양안 불일치는 양 눈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이런 단서는 두 눈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세계를 보기 때문 외부 세계에 대해서 두 개의 약간 서로 다른 시점을 가진다 라는 사실에 기인한다.

  • PDF

Spherical arrangement of biomimetic polymer photonic structures (자연모사를 통한 미세 고분자 포토닉 구조의 구면배열에 관한 연구)

  • Jeong, Ki-Hun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7.05a
    • /
    • pp.403-404
    • /
    • 2007
  • Compound eyes in nature present intriguing topics in physiological optics due to their unique optical scheme for imaging. For example, a bee's eye has thousands of integrated photonic units called ommatidia spherically arranged along a curvilinear surface so that each unit points in a different direction. The omni-directionally arranged ommatidium collects incident light with a narrow range of angular acceptance and independently contributes to the capability of wide field-of-view (FOV) detection. Artificial implementation of compound eyes has attracted a great deal of research interest because the wide FOV exhibits a huge potential for medical, industrial, and military applications. So far, imaging with a FOV over $90^{\circ}$ has been achieved only with fisheye lenses which rely on bulky and expensive multiple lenses and require stringent alignment. In this talk, we will discuss about the spherical 3D arrangement of the photonic structures of biologically inspired artificial compound eyes in a small form-factor to have and the functional and anatomical similiarity with natural compound eyes.

  • PDF

Eight Species of Olethreutinae (Lepidoptera, Tortricidae) New to Korea (애기잎말이나방아과(나비목 : 잎말이나방과)의 한국 미기록 8종)

  • 변봉규;박규택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32 no.2
    • /
    • pp.200-207
    • /
    • 1993
  • Eight species of Olethreutinae; Statherotmantis pictana (Kuznetsov), Olethreutes electana (Kennel), Pammene orientana Kuznetsov, P. griseana Walsingham, Epinotia pentagonana (Kennel), E. exquistiana (Christoph), Spilonota semirufana (Christoph), and Kennelia xylinana (Kennel)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 PDF

The Effects of Light and Dark Adaptation upon the Compound Eye of Nilaparvata lugens (벼멸구 겹눈의 명적응과 암적응 효과)

  • Young Nam Youn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34 no.4
    • /
    • pp.334-343
    • /
    • 1995
  • The eyes of Nilaparvata lugens were examined for ultrastructural changes in the light and dark adapted states. Inspection of light microscope sections taken at similar levels of compound eyes from insects kept in light or darkness for periods up to 72 hors revealed some differences between light and dark adapted eyes. Using the electronmicroscope, in light adapted eyes the palisade layer was narrower than that in dark adapted eyes. The pigment granules still formed a ring around the palisade layer in the dark adapted eye but, they did not form a tight circle around the rhabdom. No const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diameters of the microvilli in light and dark adapted eyes. The pigment movements at the junction of the cone and the rhabdom took the effect on varying the pigment aperture at the tip of the cone in front of the rhabdom tip.

  • PDF

Antioxidative Effects of Tenebrio molitor Larvae Extract Against Oxidative Stress in ARPE-19 Cells (ARPE-19 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 Bong Sun, Kim;Ra-Yeong, Choi;Eu-Jin, Ban;Joon Ha, Lee;In-Woo, Kim;Minchul, Seo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2 no.11
    • /
    • pp.865-871
    • /
    • 2022
  • Tenebrio molitor larvae is well known as edible insect. Then, although it has been widely studied that Tenebrio molitor larvae has various bioactive functions such as antioxidant, anti-wrinkle, and anticancer. Nevertheless, antioxidant effects of Tenebrio molitor larvae water extract (TMH) has not been well described in Adult Retina Pigment Epithelial cell line (ARPE-19).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antioxidant effects of TMH against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ARPE-19. Thus, we selected for our studies and performed a series of dose-response assay to determine the working concentration that lead to a consistent and high degree of cytotoxicity, which we defined as the level of H2O2 that killed 40% of the ARPE-19 cells. ARPE-19 cells were pre-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TMH (0.1 up to 2 mg/ml) before exposure to 300 µM H2O2. As we expected, TMH effectively prevented ARPE-19 cells from 300 µM H2O2-induced cell death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TMH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such as 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ERK), c-Jun N-terminal kinase (JNK), and p38. Overall, the inhibitory effects of TMH on H2O2-induced apoptosis and oxidative stress were associated with the protection cleaved caspase-3, Bax, Bcl-2, and HO-1. The TMH suppressed H2O2-induced cell membrane leakage and oxidative stress in ARPE-19 cells.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MH plays an important role in antioxidant effect in ARPE-19.

Tele-Operating DAQ System for Bio-Inspired Robots (생체모방로봇 제어를 위한 원격 DAQ 시스템)

  • Oh, Seung-Yeop;Choi, Jae-Sung;Son, Byung-Rak;Lee, Dong-Ha;Yoo, Joon-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274-275
    • /
    • 2012
  • 생체모방로봇은 인간을 비롯하여 새, 곤충, 물고기 등 동물들의 기본구조, 행동원리 및 메커니즘을 모방한 로봇이다. 정찰, 수색, 테러진압 등 군사작전에서부터 인명구조까지 생체모방로봇은 인간의 눈과 발을 대신하여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오염 지역을 면밀히 탐지하는 데에도 유용하리라 예상된다. 이와 같은 생체모방로봇이나 MAV 등을 실시간으로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DAQ 시스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생체모방로봇인 가오리를 원격 관제 센터에서 RF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제어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DAQ(Data AcQuisition) 시스템을 제안한다.

슈밤머담의 개구라 해부학과 뢰벤훅의 정충관찰의 문제

  • Bae, Seon-Bok
    • 한국과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5.12a
    • /
    • pp.313-326
    • /
    • 2015
  • 데카르트는 사후에 출간된 1662년 "인간론"에서 자동기기의 유압체계모델을 이용하여 인간신체의 신경기능과 근육운동에 대하여 기계론적 설명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바로크 과학기술의 자동기기의 유압체계를 모델로 근육운동이 동물영혼에 의한 신경 전달로 진행된 것을 보여준 실험이었다. 근육운동은 동물영혼에 의한 신경 전달로 진행될 때 이를 기계론적으로 잘 설명될 수 있다고 본 데카르트의 동물영혼에 관한 견해는 출간 이후 3년 만에 네덜란드 자연학자, 해부학자, 현미경학자, 철학자 슈밤머담(Jan Swammerdam 1637-80)이 도전하였다. 그는 1664년 12월 8일 보르흐 앞에서 마취 없이 살아있는 개구리의 심장을 해부하고 두뇌 제거하는 전극실험으로 개구리의 근육운동이 데카르트가 가정하는 동물영혼과는 무관하다는 것을 보여주므로 반박하였다. 슈밤머담은 이 실험 이전에도 이미 라이덴 대학에서 여러 가지 실험으로 명성을 쌓았고 이 실험으로 해부학과 생리학의 출발을 알렸다. 뢰벤훅은 1673년 270배 확대 렌즈를 측정 대에 설치하여 눈에 가까이 갖다 대 고착시킨 첫째 동물이라는 뜻의 박테리아(${\pi}{\rho}\acute{\omega}{\tau}o$ ${\zeta}\acute{\omega}o{\nu}$)를 관찰하였다. 대학에서 전공하지 않았다는 비전문가로서 뢰벤훅이 이 연구에 뛰어들게 되는 것은 바로크 과학기술문명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라프는 그해 4월 왕립학회에 그가 빗물이나 연못물에서 채취하여 관찰한 미생물을 1677년에 아니말쿨레스(animalcules)라 불렀다는 것을 알렸고 이 관찰은 나중에 왕립학회 검증으로 확증되었다. 뢰벤훅이 명성을 얻게 된 것은 그라프가 그를 학문적으로 이끌어주었기 때문이다. 뢰벤훅에서 광학수업을 받은 하르췌커는 1694년 현미경으로 인간정액을 관찰하는 동안에 하르췌커는 정액 내에 수많은 아니말쿨레스로서 호문쿨리(homunculi)가 살고 있는 것을 보고 그 존재를 요청하였다. 하르췌커는 정규 학문과정에서 성장한 전문가로 뢰벤훅에서 렌즈닦는 기술을 습득하므로 정액주의 운동의 첨단에서 주목을 받게 되었지만 대중적 인기에 영합하였다. 이 발표는 17세기 후반 슈밤머담과 뢰벤훅이 실험철학에 기초한 곤충과 동물 및 미생물 세계의 연구 성과를 과학과 윤리 혹은 신학과의 상보적 관점에서 개관하고, 이들 연구방법을 이신론과 수사학의 입장에서 해명하고자 한다. 17세기 후반에 곤충학의 대가인 슈밤머담과 하르췌커에서 동물생성의 문제에 이신론의 물음은 물질과 정신과의 관계를 해명하려는 과학과 신학과 철학의 경계의 물음이다. 이 경계에서 이신론의 수사학적 접근은 개별분과에서 해결하지 못한 중요한 아포리아를 풀어가는 인문학적 역할에 기여를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