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형분량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1초

두부 제조(製造) 공정중(工程中) Calcium염(鹽)의 행동(行動)과 분포(分布) -제2보(第二報). 전기 전도도법을 이용한 두부제조 공정중 Ca염의 수지- (Transport and Distribution of Calcium Salts in Tofu Manufacturing Process -Part II. Mass Balances of Calcium Salt during Tofu Manufacturing Processes by Conductometric Method-)

  • 이춘기;임상빈;전재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2호
    • /
    • pp.56-61
    • /
    • 1985
  • 전기전도도법과 화학적 분석방법을 병행하여 두부의 제조공정중 Ca염의 수지를 분석하였다. 전기전도도법에 의한 Ca염의 수지분석(收支分析)이 $CaSO_4$를 응고제로 사용한 경우에는 불가능하였으나, $CaCl_2$를 응고제로 사용한 경우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해 구한 것과 잘 일치하였다. 두유 및 두부의 제조공정중 대두에서 두유로 이동되는 고형분량과 Ca량은 각각 66%, 63%였고, 대두에서 두부로 이행되는 고형분은 47.8%였다. $CaCl_2$를 응고제로 사용한 경우 두부중 Ca 농도$(Y_{Tofu},\;mg{\cdot}Ca/g{\cdot}Tofu,\;wet\;basis)$ 및 순물중 Ca농도$(Y_{drained\;soln},\;mg{\cdot}Ca/ml{\cdot}drained\;soln)$는 두유중 첨가되는 $CaCl_2$의 량$(C,\;mg{\cdot}CaCl_2/ml{\cdot}soy\;milk)$에 비례해서 증가하였고, $81{\pm}0.5%$의 수분을 포함한 두부에 대하여 r=0.9898에서의 관계를 $Y_{Tofu}=0.3369C+1.2689$ 얻었고, 순물에 대해서는 r=0.9991에서 $Y_{drained\;soln}= 0.2899C+0.0399$의 관계를 보였다. $CaCl_2$를 응고제로 사용할 경우 원료대두를 제외한 모든 공정에서 전기전도도법에 의해 Ca 농도를 측정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 PDF

저당성 무화과 잼의 제조 (Processing of Low Sugar Jams from Fig Pulp Treated with Pectinesterase)

  • 허원녕;김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5-131
    • /
    • 1998
  • 무화과에 대한 PE와 그와 관련한 펙틴질의 변화를 조사하고, 저당성 무화과 잼을 제조하여 비교하였다. 무화과의 PE는 과일의 수확 시기에 활성을 나타내기 시작하고 저장기간 동안 실활되지 않았으며, 냉동저장 중에도 PE의 미약한 활성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무화과 PE의 작용에 의하여 냉동 저장 중에도 과일 내의 AIS의 양과 펙틴질의 DE를 감소시켰다. 그리고 low methoxyl pectin으로 저당성 무화과 잼을 만들기 위하여 무화과 PE 및 무화과 PE에 오렌지 PE를 첨가한 것이 AIS및 AIS의 DE를 감소시켰다. 그리고 무화과 잼의 anthocyanin 색깔을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pH 5.23의 천연 무화과 펄프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pH 4.0 이하로 조절한 것이 적색 및 채도가 높게 나타났다. 19가지의 다른 방법으로 무화과의 저당성 잼을 제조한 결과, 제조한 모든 무화과 잼은 시중 무화과 잼의 $65^{\circ}Brix$보다 낮은 $31{\sim}49^{\circ}Brix$의 가용성 고형분량을 갖는 저당성 잼이였다. 그러나 그들 중에 5종류만이 관능검사에서 양호한 평가를 받았다. 그것들은 무화과 펄프에 펙틴을 1% 첨가하거나 혹은 첨가하지 않고 PE (200 units/400 g pulp)를 첨가하여 펙틴질을 low methoxyl pectin으로 한 다음 잼의 색깔을 좋게 하기 위하여 무화과 펄프에 대하여 구연산 0.25%를 첨가하여 pH를 낮추고, 가교제로 Ca 0.7%, 젤리화와 적당한 감미를 주기 위한 설탕 20%를 가하여 microwave 혹은 hot plate에 의하여 가열하거나 또는 냉장(펙틴 무첨가는 제외)에 의하여 젤리화한 것이였다.

  • PDF

천년초(Opuntia humifusa) 추물물의 사염화탄소를 처치한 흰쥐에서의 간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 of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Extract in Rats Treated Carbon Tetrachloride)

  • 박민경;이영재;강은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22-82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천년초 줄기 물추출물의 전처치가 사염화탄소로 유발한 흰쥐의 간 손상에 대해 보호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천년초 추출액은 건조 고형분량을 측정하고 1g/kg 및 0.5g/kg 체중이 되는 양을 일정시간에 1일 1회 14일동안 경구투여 하였다. $CCl_4$는 올리브유로 희석하여(1:4) 0.5ml/kg체중이 되도록 시료 마지막 투여 종료 3시간 후에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 복강주사하였다. 사염화탄소 처치에 의해 혈청 AST, ALT 및 ALP 활성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 4.3, 4.7 및 1.2배 증가하였다. 반면, 천년초 줄기 추출물을 1g/kg 투여한 군의 AST, ALT 및 ALP의 활성은 $CCl_4$군과 비교하여 각각 약 36%, 41% 및 22% 감소하였다. 사염화탄소에 의해 간의 지질과산화 반응이 증가하였으며 SOD 및 GST활성이 감소하였다. 1g/kg의 천년초 줄기 추출물의 투여는 간의 지질과산화 반응을 감소시키고 SOD 및 GST의 활성을 회복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천년초 줄기 추출물은 $132.2{\mu}mol$ vit. C eq/g의 O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페놀화합물의 함량이 6.52mg/g이다. 이러한 결과는 천년초 줄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사염화탄소로 부터 간손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올방개(Eleocharis tuberosa Roem. et Shult) 가공을 위한 몇가지 성분 분석 (Some Components Analysis for Chinese Water Chestnut Processing)

  • 이부용;황진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717-72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작물인 올방개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시 필요하고 참고가 될만한 몇가지 식품학적인 기초 성분들을 분석한 자료를 신속하게 제공하고자 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함량 79.40%, 조단백 1.74%, 조지방 0.06%, 조회분 1.10% 조섬유 0.60%, 탄수화물 17.71% 이었다. 유리당 조성은 sucrose가 8.58%, glucose가 1.64%, fructose가 1.58%로서 3가지 주요당이 올방개 착즙액의 고형분량중 약 66.0%를 차지하였으며, maltose도 미량 검출되었다. 칼륨의 함량이 408.57 mg%로 높게 나타났으며, 철분 및 망간은 각각 0.21 mg%, 0.08 mg%로 매우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비타민 $B_1$$31.2\;{\mu}g/100\;g$ 정도 함유되어 있었고, 비타민 C는 미량이 검출되었다. 관능적인 특성은 향긋한 과일향과 단맛이 주된 풍미였으며, $100^{\circ}C$에서 20분 정도 끓여도 생시료와 거의 비슷한 정도의 아삭아삭함을 유지하였다.

  • PDF

착즙방법에 따른 유자과즙의 품질 비교 (Influence of the Extraction Method on Quality of Citron Juice)

  • 정진웅;권동진;황진봉;조용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04-708
    • /
    • 1994
  • 유자 과즙의 착즙방식에 따른 유자 과즙의 품질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회전식 마폐착즙, 압착식 및 벨트식 착즙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회전식 마쇄착즙방식에 의한 과즙수율은 24.49% 수준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압착식은 18.09%, 벨트식은 12.60%로 각각 나타났다. 압착식 및 희전식 마폐 착즙방식에 의한 과즙의 가용성 고형물은 $11^{\circ}Brix$ 수준으로 벨트식의 $9^{\circ}Brix$에 비해 다소 높았으나 적정산도는 벨트식이 6.1%로 가장 높고, 희분량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오일 및 펌프 함유량도 벨트식에 비해 $2{\sim}4$배 정도 높았다. 그리고 총당은 5%수준으로 착즙방식에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유리당의 경우 fructose, glucose, sucrose 가 벨트식에서 각각 0.54, 0.37, 1.11% 수준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또한 지방산 함량은 회전식 마쇄착즙방식에서 oleic acid, 압착식에서 palmit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벨트식에서 stearic acid의 함량이 타 방식에 비해 다소 높게 분석되었다.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벨트식이 타 착즙방식에 비하여 적게 나타났으며, 특히 threonin은 회전식 마계착즙법에서만 감지되었으며, 그리고 methionin과 cystine은 모든 착즙방식에서 전혀 감지되지 않았다. 그러나 아미노산 총함량은 벨트식에서 3,613.49mg%로 타 방식에 비하여 약 $1.3{\sim}1.6$배 청도 높은 수준을 보였다.

  • PDF

젖소의 생산형질에 대한 305일 보정계수 및 함수식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305-day Adjustment Factors and Formulas for Production Traits in Dairy Cattle)

  • 조광현;이준호;나승환;손삼규;서강석;김시동;최재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2호
    • /
    • pp.111-122
    • /
    • 2009
  • 비유일수별로 변화하는 유생산기록을 305일로 보정하기 위하여, 분만 시 나이와 분만계절, 산차를 고려한 305일 보정계수를 개발하였고, 비선형적 특성에 적합하고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거듭제곱 함수 형태의 보정 공식을 개발하였다. 각각의 보정계수가 얼마나 정확하게 기록을 보정 할 수 있는 지 측정하기 위하여 실제 305일 누적 착유량 및 개체별 누적 착유량 평균과의 오차를 비교 분석 한 결과 새롭게 개발된 보정계수의 오차가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이를 토대로 한 보정공식 역시 작은 오차를 나타냈다. 유생산량의 평균치가 최근까지 많이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2산 이상의 개체에서 2002년에 개발된 보정계수의 오차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앞으로의 보정계수 개발에는 2002년 보정계수 개발에 사용되었던 건유효과에 대한 부분을 추가해야 더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량에서의 보정계수 개발 및 보정식 개발 방법으로 유지방, 유단백, 무지고형분량에 대해서도 비유 일수 305일째의 누적량으로 보정할 수 있는 보정 공식을 개발하였다.

청예사료작물과 볏짚 위주의 완전배합발효사료 급여가 Holstein 착유우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tal Mixed Fermentation Feeds Based on Rice-straw and Six Forage Crops on the Productivity of Holstein Cows)

  • 이현준;김현섭;기광석;정하연;백광수;김준식;조광근;조재순;이홍구;우정희;최윤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69-78
    • /
    • 2003
  • 본 연구는 6종류의 완전배합발효사료(Total mixed fermentation feed; TMFF)의 착유우에 대한 영양적 가치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옥수수, 혼합목초, 호맥, 유채, 알팔파 및 연맥의 6종의 사료작물 청예가 수확되었고, 볏짚과 밀기울이 배합되었으며, 옥수수와 콩알곡을 배합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배합물들은 40톤 규모의 트렌치 사일로에 진압 저장하였으며, 성분분석과 젖소 급여시험을 위해 최소 60일 이상 경과 후에 개봉하였다. TMFF의 평균 건물 함량은 23.98${\sim}$28.42% 범위였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16.2${\sim}$19.2%이었고, 가소화영양소총량(TDN)은 58.3${\sim}$65.1% 수준이었다. ADF 함량은 34.4${\sim}$39.6% 범위에서, NDF 함량은 46.9${\sim}$49.9% 범위를 나타내어 상대적사료가치(RFV)는 유채-, 알팔파-, 혼합목초-, 연맥-, 옥수수-. 호맥-TMFF에서 각각 138.6, 133.9, 116.5, 111.8, 111.4, 108.1으로 나타나, 호맥-TMFF의 것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내었다(P<0.05). 건물손실율은 0.8${\sim}$1.9% 범위로서 모든 TMFF에서 양호한 발효와 보관상태를 나타내었으며, pH는 전체적으로 3.89${\sim}$4.87이었으며, 암모니아태질소($NH_3$-N) 함량은 6.93-8.66 mg/㎗이었다. 그리고 TMFF 원물내의 휘발성지방산 함량 중 초산 함량은 0.19${\sim}$0.57%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젖산 함량은 1.17${\sim}$3.21%으로 매우 높게 나타내었으며, 부틸산 함량은 0.03${\sim}$0.32%로서 매우 낮게 나타나 TMFF의 품질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발효가 완료된 TMFF를 평균 착유일수 240일, 2.4산차, 44.3개월령, 일일산유량 21.2 kg, 체중 574.6 kg, 체충실지수(BCS) 3.2인 42두에 무제한으로 급여하여 총 60일간의 섭취량 조사와 월별 체중 및 BCS를 조사한 결과, 초종별 TMFF의 평균 일일 총 섭취량은 알팔파-, 혼합목초-, 유채-, 옥수수-, 연맥-, 호맥-TMFF구에서 62.85, 60.48, 58.04, 57.11, 54.61, 45.74 kg의 순서로 각각 높게 나타내어 전체적으로 기호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내었으며, 호맥-TMFF구의 기호성이 가장 낮게 나타내었다(P<0.05). 이때 젖소의 체중에 대한 TMFF의 건물섭취율은 1.95${\sim}$2.90%로서 모든 TMFF의 기호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TMFF의 급여시험기간 중의 체중변화와 체충실지수(BCS)에 있어서 시험기간 60일 동안 모든 공시축에서 체중증가가 있었으며, 기간의 평균 두당 일당증체량은 140.0${\sim}$326.7g으로서 기호성이 가장 좋았던 알팔파-TMFF구에서 역시 가장 높은 증체를 보였으며, 기호성이 가장 낮았던 호맥-TMFF구에서 가장 낮은 증체를 나타내었다(P<0.05). 신체충실지수의 변화에 있어서는 혼합목초-TMFF구가 개시시의 3.07에서 3.34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호맥-TMFF구에서 3.34에서 3.30으로 약간 감소하여 나타냄으로서 증체량과 신체충실지수와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일치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내었다(P<0.05). 그리고 평균 두당 우유생산성은 알팔파-, 연맥-, 혼합목초-, 옥수수-, 유채-, 호맥-TMFF구의 순서로 일일평균 16.16-18.95 kg 범위에서 시험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P<0.05), 일일 산유량의 변화에 있어서는 시험개시시의 평균 21.2kg에서 60일 후 시험 종료시에 모든 시험구에서 5kg 정도 감소하여 나타내었는데, 이는 시험종료시는 대부분의 시험축의 착유일수가 300일 이상의 비유말기에 이르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우유의 성분 함량에 있어서 시험기간 중 평균지방 함량은 전체적으로 4.06${\sim}$4.79% 범위에서 매우 높은 유지방 함량을 나타내어 유채-, 혼합목초-, 옥수수-, 알팔파-, 호맥-, 연맥- TMFF구의 순서로 높았으며, 단백질 함량은 3.15${\sim}$3.54% 범위에서 혼합목초-, 옥수수-, 유채-, 호맥-, 연맥-, 알팔파-TMFF구의 순서로 높게 나타내었다. 또한, 유당 함량에 있어서는 전체 평균이 4.56% 내외로서 서로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무지고형분량과 총 고형분 함량에 있어서도 전체 평균이 8.75%와 12.8% 내외로 시험구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내었는데, TMFF 급여에 의해 우유중 성분 함량에 있어서 어떠한 경향을 찾을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