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창군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6초

규조기반 전이함수를 활용한 Holocene 중기 이후 고창군 신덕리 일대의 정량적 해수면 변동 (Quantitative Reconstruction of Sea Level Change Using Diatom-Based Transfer Function at Sinduk-ri, Gochang-Gun Since the Middle Holocene)

  • 김정윤;윤순옥;양동윤;황상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25
    • /
    • 2017
  • This study is quantitative reconstruction of palaeo sea level records around Sinduk-ri, Gochang-Gun. 7 cores were collected from GC14 to GC18 in order to examine the entire sedimentary facies and reconstruct the sea level records. The cores were analysed by AMS, sedimentary facies, diatom and WA-pls. As a result of the diatom analysis, diatom zone were classified as No diatom zone, B1 zone, M zone and B2 zone. The result of WA-pls was that the sea level was about 1.5m lower than the present level around 6,000 BP and about 1m lower during last 5,000 BP. Thereafter, sea level rose to the present during the Mc sub-diatom zone period. Moreover, during the Md sub-diatom zone period, sea level was about 0.5m higher than the present.

고창군 광승리 연안 퇴적층의 퇴적 시기와 범람 기원 특성 (Burial Age and Flooding-origin Characteristics of Coastal Deposits at Gwangseungri, Gochanggun, Korea)

  • 김종연;양동윤;신원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2-235
    • /
    • 2015
  • 고창군 광승리 지역의 해발고도 5 m 내외의 해안 지점(DH)과 해발고도 10-15 m의 단구 상부 지점(KS)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화학 분석과 입도 분석 등을 통하여 퇴적 물질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DH는 풍화된 기반암을 피복하는 적색 토양층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물질 조성이 점진적으로 변화하였다. DH 시료 내에 점토광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하여 이 층을 제자리 풍화층으로 판단하였다. KS의 경우 구릉의 말단부에 위치하는 자갈층을 피복하는 층으로 물질 조성이 전반적으로 DH 부분과 상당히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구간에서 물질의 교란이 일어나거나 외부 물질의 유입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입자의 입도에 있어서 KS 시료들은 현재의 해빈 물질과 다른 특성이 나타난다. KS의 하부는 해빈에 비하여 세립 물질로 나타났으며, 중간 부분은 해빈보다 조립 물질이다. KS 시료의 분급은 해빈에 비하여 나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퇴적층중 일부는 지속적인 파랑과 조류에 의한 것보다는 일시적인 고에너지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KS 부분 시료의 매몰 연대는 광여기루미네센스(OSL) 분석에 의하여 0.65-0.71 ka로 추정되었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해당 퇴적층과 형성 과정의 특성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져야 할 것이지만, 해당 퇴적층은 폭풍에 의한 연안 범람 퇴적층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전라북도 지역의 민속식물 (The Regional Folk Plants in Jeollabuk-do Province, Korea)

  • 전영문;박문수
    • 환경생물
    • /
    • 제32권3호
    • /
    • pp.250-262
    • /
    • 2014
  •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서 이용되는 민속식물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3년 3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수행하였다. 11개 시 군지역의 주민 59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885건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민속식물은 총 66과 137속 140종 2아종 12변종으로 총 15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지역별로는 완주시가 135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고창군이 128분류군, 무주군 104분류군, 진안군 103분류군, 부안군 87분류군, 정읍시 69분류군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용도별 이용은 식용 112종류, 약용 62종류, 관상 4종류, 염료 3종류, 유지 3종류, 향료 1종류, 수액 1종류, 향신료 1종류, 기타 9종류로 식용과 약용의 이용 빈도가 높았으며, 이용부위로는 잎, 열매, 줄기, 뿌리, 전체 순으로 나타났다. 표준식물명과 각 시 군별 지방명의 일치에서는 무주 (59.4%), 완주 (51.8%), 부안 (51.0%), 고창 (50.4%), 순창(46.3%)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민속식물의 이용정보는 대부분 구전으로 습득하였다.

우리나라의 방사능방재 현황 - 영광 3호기 방사능방재합동훈련을 중심으로 -

  • 강영철
    • 원자력산업
    • /
    • 제15권12호통권154호
    • /
    • pp.52-58
    • /
    • 1995
  • 지난 11월 10일 한국전력공사 영광원자력본부에서는 원전에서의 방사능누출사고 발생시 사고복구 및 주민보호를 위해, 과학기술처$\cdot$내무부$\cdot$전라남도$\cdot$전라북도$\cdot$영광군$\cdot$고창군$\cdot$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cdot$한국전력공사 본사$\cdot$영광원자력본부 관계자 및 지역주민 등 약 400여명이 참여한 대규모 방사능방재훈련이 있었다. 훈련은 일부 주민에 대한 실질적인 대피, 헬기 및 해상함정을 동원한 공중 및 해상의 환경방사능 측정, 화재진압, 부상자 구호, 발전소 사고복구, 관련기관간 유기적인 정보교환 등 실제 및 도상으로 처리하는 훈련을 통해 만약의 비상사고시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금번 훈련의 가장 중요한 의의는 우리나라에서 지역주민이 처음으로 대피훈련에 참여함으로써 실질적인 비상대응능력 확보에 기여하였다는 점이다.

  • PDF

고창군 동호 해빈 표층 퇴적물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the Dongho Beach, Gochang-gun, Korea)

  • 소광석;양우헌;강솔잎;권이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708-719
    • /
    • 2010
  • 한반도 서남해안의 고창군 동호 포켓형 대조차 해빈에서 계절에 따른 퇴적물 조직과 퇴적 환경 변화를 연구하였다. 표층 퇴적물은 3개 측선의 45지점(각 측선 당 15개 지점)에서 4계절(2006년 5월-2007년 2월) 동안 각각 채취하였다. 동호 해빈의 표층 퇴적물은 세립사, 중립사, 조립사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으며, 함량비는 세립사가 가장 크다. 평균 입도는 여름에 가장 조립하게 나타난다. 표층 퇴적물의 공간분포는 봄, 가을, 겨울의 세 계절에 세립사와 중립사가 해안선과 평행한 띠 모양으로 나타나는 반면, 여름에는 중립사가 연구지역의 북쪽 부분에 우세하게 나타난다. 여름 동호 해빈의 표층 퇴적물에 미치는 영향은 조석이 파랑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추정된다.

고창군 광승리 해빈 표층 퇴적물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the Kwangseungri Beach, Gochanggun, Korea)

  • 소광석;양우헌;최신이;권이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97-509
    • /
    • 2012
  • 한반도 서남해안의 고창군 광승리 개방형 대조차 해빈에서 계절에 따른 표층 퇴적상과 퇴적환경 변화를 연구하였다. 표층 퇴적물은 3개 측선의 45지점(각 측선 당 15개 지점)에서 사계절(2006. 5.~2007. 2.)동안 채취하고 분석하였다. 광승리 해빈의 표층 퇴적물은 대부분 세립질 모래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균 입도는 겨울에 가장 조립하게 나타난다. 펄 퇴적상은 여름에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반면, 겨울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표층 퇴적물의 공간 분포는 봄, 가을, 겨울에 세립사와 중립사가 해안선과 평행한 띠 모양으로 나타난다. 연구지역의 북쪽에서는 여름에 세립사, 겨울에 조립사가 우세하게 나타난다. 여름 광승리 해빈의 표층 퇴적물에 미치는 영향은 조석이 파랑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소셜데이터에 나타난 고창군의 농촌관광 이미지와 주요 활동공간 - '고창군 여행' 키워드를 중심으로 - (Rural Tourism Image and Major Activity Space in Gochang County Shown in Social Data - Focusing on the Keyword 'Gochang-gun Travel' -)

  • 김용진;손광렬;이동채;손용훈
    • 농촌계획
    • /
    • 제27권3호
    • /
    • pp.103-116
    • /
    • 2021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tourism image perceived by urban residents were analyzed through text analysis of blog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images related to rural tourism, blog data written with the keyword "Gochang-gun travel" was used. LDA topic analysis, one of the text mining techniques, was used for the analysis. In the tourism image of Gochang-gun, 9 topics were derived, and 112 major places appeared. This was divided into 3 main activities and 5 object spaces through the review of keywords and the original text of blog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raditional main resources of the region, Seonun mountain, Seonun temple, and Gochang-eup fortress, formed topic. On the other hand, world heritage such as dolmen and Ungok wetland did not appear as topic. In particular, the farms operated by the private sector form individual topics, and the theme farm can be seen as an important resource for tourism in Gochang-gun. Also, through the distribution of place keywords,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by region and the usage behavior of visitors. In the case of Gochang-gun, there was a phenomenon in which visitors were biased by region.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Gochang-gun seeking to vitalize local tourism focusing on natural, ecological, and scenic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n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develop other types of tourism resources. This study is different in that it identifi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ural tourism images in the region perceived by visitors, and the status of tourism at the regional level.

유네스코 복합유산 개념으로 본 고창 해양신앙유적의 지속가능한 보존 (UNESCO Mixed Heritage Concept Sustainable Preservation of Gochang Maritime Religious Relics)

  • 황지해;편성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7권1호
    • /
    • pp.180-195
    • /
    • 2024
  •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고창의 갯벌에 접해 있는 마을신앙은 해양의 생태적 환경과 지역민의 문화가 어우러져 복합문화유산의 성격을 지닌 해양신앙으로서 전승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첫째, 해양신앙의 생태문화적 가치를 밝히고, 둘째, 고창 해양신앙의 지속가능한 보존을 위한 기제로써 복합유산 등재의 가능성을 도출하며, 셋째, 고창이 보유한 세계유산 보존과 활용 정책에 거시적이며 통합적 관점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고창 해안가의 마을신앙은 바다와 갯벌에 의지해 살아가는 지역민들의 소망과 정신세계를 반영한 문화적 행위이자 의식이다. 마을신앙은 그 유래가 정확하게 기록되지 않은 것들이 대부분이나 주민들에 의해 구전되어온 좌정담, 유래담, 영험담 등은 2003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에 따라 살아있는 전통으로 최근 주목되고 있다. 한편 고창군 해안가의 마을신앙은 마을의 평안과 함께 해상안전, 풍어를 기원한다는 점에서 어촌지역 해양유산의 특징을 지닌다. 나아가 해양이라는 공간은 지역성을 뛰어넘어 초국가적인 개방성을 가진다. 이는 유네스코에서 언급하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와 연관되며 과거부터 현재, 그리고 미래로 이어지는 지속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무형적 가치와 유형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공존하는 고창의 마을신앙은 갯벌, 그리고 해양의 생태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하며 전승되어 왔다. 이에 마을신앙은 생태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보존과 활용 또한 생태문화적 가치에 주목하고 이에 적합한 정책과 보호활동을 펼쳐야 한다. 요컨대 자연유산적 가치와 문화유산적, 무형문화유산적 가치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유네스코 복합유산의 개념에 부합하는 고창의 갯벌과 해양신앙은 점과 선단위를 넘어 면단위의 보존개념과 범위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