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차원 자료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2초

고차원 대용량 자료의 시각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high dimensional large-scale data visualization)

  • 이은경;황나영;이윤동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6호
    • /
    • pp.1061-107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고차원 대용량 자료의 시각화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하여 개발된 방법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고차원 자료의 경우 2차원 공간상에 표현하기 위하여 중요 변수를 선택해야하며 다양한 시각적 표현 속성과 다면화 방법을 이용하여 좀 더 많은 변수들을 표현할 수 있었다. 또한 관심있는 뷰를 보이는 낮은 차원을 찾는 사영추정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대용량 자료에서는 점들이 겹쳐지는 문제점을 흩트림과 알파 블렌딩 등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었다. 또한 고차원 대용량 자료의 탐색을 위하여 개발된 R 패키지인 tabplot과 scagnostics, 그리고 대화형 웹 그래프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R 패키지들을 살펴보았다.

고차원자료에서의 다중검정의 활용 (Multiple testing and its applications in high-dimension)

  • 장원철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5호
    • /
    • pp.1063-1076
    • /
    • 2013
  • 현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빅데이터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러한 빅데이터는 여러가지 과학적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공하지만 반면에 이로 인해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와 같은 고차원자료는 이러한 빅데이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형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차원 자료분석에 많이 쓰이고 있는 대역검정과 동시검정, 그리고 이의 응용에 대한 소개를 한다.

그룹 구조를 갖는 고차원 유전체 자료 분석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의 규제화 방법 (Network-based regularization for analysis of high-dimensional genomic data with group structure)

  • 김기풍;최지윤;선호근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6호
    • /
    • pp.1117-1128
    • /
    • 2016
  • 고차원 유전체 자료를 사용하는 유전체 연관 분석에서는 벌점 우도함수 기반의 회귀계수 규제화 방법이 질병 및 표현형질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를 발견하는데 많이 이용된다. 특히, 네트워크 기반의 규제화 방법은 유전체 연관성 연구에서의 유전체 경로나 신호 전달 경로와 같은 생물학적 네트워크 정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Lasso나 Elastic-net과 같은 다른 규제화 방법들과 비교했을 경우 네트워크 기반의 규제화 방법이 보다 더 정확하게 관련 유전자들을 찾아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기반의 규제화 방법은 그룹 구조를 갖고 있는 고차원 유전체 자료에는 적용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실제 SNP 데이터와 DNA 메틸화 데이터처럼 대다수의 고차원 유전체 자료는 그룹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그룹 구조를 가지고 있는 고차원 유전체 자료를 분석하고자 네트워크 기반의 규제화 방법에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과 부분 최소 자승법(partial least square; PLS)과 같은 차원 축소 방법을 결합시키는 새로운 분석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새롭게 제안한 분석 방법은 몇 가지의 모의실험을 통해 변수 선택의 우수성을 입증하였으며, 또한 152명의 정상인들과 123명의 난소암 환자들로 구성된 고차원 DNA 메틸화 자료 분석에도 사용하였다. DNA 메틸화 자료는 대략 20,000여개의 CpG sites가 12,770개의 유전자에 포함되어 있는 그룹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Illumina Innium uman Methylation27 BeadChip으로부터 생성되었다. 분석 결과 우리는 실제로 암에 연관된 몇 가지의 유전자를 발견할 수 있었다.

점진적인 주성분분석기법을 이용한 고차원 자료의 특징 추출 (Feature Extraction on High Dimensional Data Using Incremental PCA)

  • 김병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475-1479
    • /
    • 2004
  • 고차원 자료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특징 추출 기법이 필요하다. 주성분분석 방법은 대표적인 특징추출 방법이지만 학습 자료의 차원이 큰 경우에는 고유공간을 계산하기 위해 많은 기억공간과 계산량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차원 자료의 특징 추출을 위해 점진적인 주성분분석 방법을 사용한다. 제안한 방법에 대해 신경망에서 점진적인 주성분분석을 하는 대표적인 방법인 APEX모델과 실험을 통해 비교해 본 결과 제안된 방법이 APEX 모델 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인공데이터첨가를 통한 SOM의 quantization error 감소 (Error reduction by adding artificial data in SOM)

  • 김승택;조성준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5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 /
    • pp.260-267
    • /
    • 2005
  • 자기조직화지도(Self Organizing Map, SOM)는 비지도 신경망으로서 고차원의 입력공간을 위상적관계를 유지시키면서 저차원으로 사영 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SOM은 패턴인 식과 자료압축/재생 등 여러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고차원 자료의 시각화 방법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OM의 quantization error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인공데이터를 생성시켜 학습에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는 특히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에서 SOM을 학습시켜야 할 때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고차원 자료에서 영향점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그래픽 방법 (Graphical method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influential observations in high-dimensional data)

  • 안소진;이재은;장대흥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6호
    • /
    • pp.1291-1300
    • /
    • 2017
  • 고차원 자료에서는 관측값의 개수보다 변수의 개수가 과다하게 많은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회귀 계수 추정에 있어 관측값의 영향이 매우 클 수 있다. Jang과 Anserson-Cook (2017)은 라쏘추정량 사용시 영향점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라쏘 영향그림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차원 자료에서 영향점을 평가하기 위한 그래픽 방법들로서 라쏘 영향그림 뿐만 아니라 라쏘 변수선택 순위그림, 삼차원 라쏘 영향그림을 제안하였다. 실세 두 가지 고차원 자료 예들에 영향점들을 찾기 위한 회귀진단 수단으로서 세가지 그래픽 방법들을 사용하여 본 결과 영향점들을 효과적으로 찾아낼 수 있었다.

고차원 대용량 자료분석의 현재 동향 (Current trends in high dimensional massive data analysis)

  • 장원철;김광수;김정연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6호
    • /
    • pp.999-1005
    • /
    • 2016
  • 빅 데이터의 출현은 여러가지 과학적 난제에 대답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만 흥미로운 도전을 또한 제공한다. 이러한 빅데이터의 주요 특징으로 "고차원"과 "대용량"을 들 수가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두 가지 특징에 동반되는 다음과 같은 도전문제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 : (1) 고차원 자료에서의 소음 축적과 위 상관 관계; (ii) 대용량 자료분석을 위한 계산 확장성. 또한 본 논문에서는 재난예측, 디지털 인문학과 세이버메트릭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빅 데이터의 다양한 응용사례를 제공한다.

고차원 선형 및 로지스틱 회귀모형에 대한 변분 베이즈 방법 소개 (Introduction to variational Bayes for high-dimensional linear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s)

  • 장인송;이경재
    • 응용통계연구
    • /
    • 제35권3호
    • /
    • pp.445-455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고차원 희소 회귀분석을 위한 기존의 베이지안 방법들을 소개하고, 다양한 모의실험 세팅에서 성능을 비교한다. 특히, 확장 가능하고 정확한 베이지안 추론을 가능하게 하는 변분 베이즈 방법(variational Bayes method) (Ray와 Szabó, 2021) 에 중점을 둔다. 시뮬레이션 자료를 기반으로 한 희소 고차원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변분 베이즈 방법의 성능을 다른 베이지안 및 빈도론 방법들과 비교한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변분 베이즈 방법의 실제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백혈병 유전자 발현 자료를 사용하여 실자료 분석을 수행한다.

모형 선택 기준들에 대한 LASSO 회귀 모형 편의의 영향 연구 (A study on bias effect of LASSO regression for model selection criteria)

  • 유동현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4호
    • /
    • pp.643-656
    • /
    • 2016
  • 고차원 자료(high dimensional data)는 변수의 수가 표본의 수보다 많은 자료로 다양한 분야에서 관측 또는 생성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차원 자료에 대한 회귀 모형에서는 모수의 추정과 과적합을 피하기 위하여 변수 선택이 이루어진다. 벌점화 회귀 모형(penalized regression model)은 변수 선택과 회귀 계수의 추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장점으로 인하여 고차원 자료에 빈번하게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벌점화 회귀 모형에서도 여전히 조율 모수 선택(tuning parameter selection)을 통한 최적의 모형 선택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벌점화 회귀 모형 중에서 대표적인 LASSO 회귀 모형을 기반으로 모형 선택의 기준들에 대한 LASSO 회귀 추정량의 편의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모의실험을 통하여 수치적으로 연구하였고 편의의 보정의 필요성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실제 자료 분석에서의 영향을 나타내기 위하여, 폐암 환자의 유전자 발현량(gene expression) 자료를 기반으로 바이오마커 식별(biomarker identification) 문제에 적용하였다.

고차원 자료의 비지도 부분공간 이상치 탐지기법에 대한 요약 연구 (A survey on unsupervised subspace outlier detection methods for high dimensional data)

  • 안재형;권성훈
    • 응용통계연구
    • /
    • 제34권3호
    • /
    • pp.507-521
    • /
    • 2021
  • 고차원 자료에서 이상치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변수를 선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상치 탐지에 적합한 정보가 종종 일부 변수에만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많은 수의 부적합한 변수가 자료에 포함될 경우 모든 관측치의 거리가 비슷해지는 집중효과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모든 관측치의 이상정도가 비슷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부분공간 이상치 탐지기법은 전체 변수 중 이상치 탐지에 적합한 변수들의 집합을 선별하여 관측치의 이상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극복한다. 본 논문은 대표적인 부분공간 이상치 탐지기법을 부분공간 선정 방식에 따라 세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속한 방법론을 부분공간 선정 기준과 이상 정도 측정 방식에 따라 요약한다. 더하여, 부분공간 이상치 탐지기법들을 적용할 수 있는 컴퓨팅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집중효과에 대한 간단한 가상 실험과 자료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