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정술

검색결과 695건 처리시간 0.039초

관절경적 족관절 고정술 (Arthroscopic Ankle Fusion)

  • 김학준
    • 대한관절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관절경학회 제21차 추계 학술대회
    • /
    • pp.93-98
    • /
    • 2009
  • 족관절 고정술은 족관절에 발생한 심한 관절염(end-stage arthritis)에서 전통적으로 시행하던 술식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인공 족관절 치환술이 발달되기 전까지는 gold standard 로 알려져 있었으며 현재에도 심한 족관절의 변형이나 파괴, 족관절 인공 관절의 실패시에 시행되고 있다. 1897년 Albert가 처음으로 족관절 고정술을 소개한 이후로 30여가지가 넘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으나 개방적 관절 고정술의 단점인 수술 후 염증, 유합 지연, 연부조직의 손상에 의한 피부 괴사 등을 극복하고 유합물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내고정 및 외고정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관절경 술식이 발달하면서 Schnider가 1983년 최초로 관절경을 이용한 족관절 고정술을 발표한 이후로 관절경하의 족관절 고정술은 개방적 족관절 고정술 보다 높은 유합율과 적은 수술 합병증으로 인해 관심의 대상이 되었지만 족관절의 변형이 심한 경우에는 시행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 PDF

Hill-Sachs 병변을 동반한 재발된 외상성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Remplissage' 술기를 이용한 관절경적 술식 - 증례 보고 -

  • 고상훈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9년도 제17차 학술대회
    • /
    • pp.185-185
    • /
    • 2009
  • 관절와 및 상완골의 의미 있는 골결손을 동반한 불안정한 견관절에 대해 어떻게 최선의 치료를 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은 남아있다. 어떤 저자들은 외회전과 외전을 제한하는 것으로 Hill-Sachs 병변의 진입을 예방하는 일종의 관혈적 관절낭 변위를 통한 제한된 상완와관절 운동을 주장해왔으며, 다른 관혈적 시술들은 극하근건과 관절낭을 Hill-Sachs 병변 내로 관혈적 전이시키는 것으로 기술되어왔다. 최근에는 여러 저자들에 의해 Hill-Sachs 병변의 진입을 치료하는 더 새로운 접근법들이 기술되었으며, Bankart 병변 복원술에 더하여 Hill-Sachs 병변을 채우기 위해 관절경 하 후방 관절낭 고정술과 극하근건 고정술로 이루어진 이른바 'Remplissage'술기가 소개된 바 있어, 이에 저자는 외상성 견관절 불안정성으로 관절경 하 Bankart 병변 복원술 및 관절낭 축화술 시행 후 외상으로 재발된 견관절 불안정성이 발생하여 관절경 하 Bankart 병변 복원술과 함께'Remplissage'술기를 이용한 Hill-Sachs 병변 복원술을 시행한 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암컷 개의 양측 회음 허니아에서 결장 고정술과 방광 고정술 후 반힘줄 근육 전위술의 이용 (Repair of Bilateral Perineal Hernia with Semitendinosus Muscle Transposition Along with Colopexy and Cystopexy in a Bitch)

  • 허수영;이동빈;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71-375
    • /
    • 2013
  • 체중 3.5 kg 11년령 요크셔 테리어가 대변실금, 뒤무직(이급후증), 회음부의 종괴를 동반하는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신체 검사상 비대 유선, 질 분비물과 정복이 가능한 회음부의 종괴가 발견되었다. 임상증상과 방사선검사를 바탕으로 배쪽 양측 회음 허니아와 자궁축농증으로 진단하였다. 자궁난소 적출술 후 양측 회음 허니아는 결장 고정술과 방광 고정술 후 반힘즐 근육 전위술을 이용하여 정복하였다. 수술 후 방사선과 컴퓨터 단층 촬영 검사상에 배쪽 양측 회음 허니아의 정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술 후 10일째 정상적인 활동을 보였고 1년 동안에 검사상 수술과 관련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배쪽 양측 회음 허니아는 결장 고정술과 방광 고정술 후 반힘즐 근육 전위술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 되었다.

불안정 원위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경견봉 강선 고정술과 갈고리형 금속판 고정술의 비교 (Surgical Treatment of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Comparison of Transacromial Pin Fixation and Hook Plate Fixation)

  • 김영성;이호민;장한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123-129
    • /
    • 2013
  • 서론: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 대하여 변형된 경견봉 강선 고정술과 갈고리형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 후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Neer 분류 제 2형 골절에 대하여 경견봉 강선 고정술 혹은 갈고리형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견봉 강선 고정술(group I)을 시행한 경우가 12명, 갈고리형 금속판 고정술(group II)을 시행한 경우가 12명이었다. 정복 및 골유합의 평가는 수술 직후 및 최종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였고, 기능적 평가는 최종 추시 시의 UCLA score 및 Constant-Murley score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뒤 group I은 평균 10주, group II는 평균 11.7주에 모든 예에서 골유합을 관찰할 수 있었다. 최종 추시 시의 평균 UCLA score는 group I은 33점, group II는 32.8점이었으며, 평균 Constant score는 group I은 88.5점, group II는 88.8점으로 두 기능적 평가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Neer 분류 제 2형 원위 쇄골 골절에서 경견봉 강선 고정술과 갈고리형 금속판 고정술은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모두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양측 성대 마비 환자에서 레이저를 이용한 내측 피열연골 절제술

  • 김영모;조정일;김영진;정동학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7년도 제8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258-258
    • /
    • 1997
  • 전체 성대 마비 환자의 약 10%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양측 성대 마비는 안정 혹은 경미한 운동시에도 호흡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라면 이에 대한 치료가 요구되는 질환이다. 이에 대한 치료 방법으로는 성문 기도를 넓히면서 흡인이 되지 않고 음성장애를 일으키지 않는데 목적을 두고 피열연골 고정술, 피열연골 절제술, CO2, 레저 피열연골 절제술, 성대 측방 고정술, 후성대 절제술, 점막하 성대 절제술, 근-신경식술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어져 왔다. (중략)

  • PDF

후과 골절이 동반된 경골 원위부 나선상 골절의 치료 (Treatment of Distal Tibial Spiral Fractures Combined with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 김영성;이호민;김종필;정필현;박순영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17-325
    • /
    • 2021
  • 목적: 본 연구는 족관절 후과 골절을 동반한 경골 원위부 나선상 골절에서 경골에 대한 고정술로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과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의 기능적, 방사선학적 결과 및 후과 골절에 대한 고정술 유무에 따른 기능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족관절 후과 골절을 동반한 경골 원위부 나선상 골절(AO Foundation/Orthopaedic Trauma Association 분류 42-A1, B1, C1)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16명을 intramedullary nailing (IMN)군으로,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14명을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MIPO)군으로 분류하여 양 군의 골유합 시기, 술 후 각 정렬, 족관절 후과 골편의 전위 정도 및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각 군에서 후과 골절에 대한 고정술 유무에 따른 족관절 관절 운동 범위 및 AOFAS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골유합 시기는 IMN군에서 21.8주, MIPO군에서 23.1주였다(p=0.500). 최종 추시 평균 각 변형은 IMN군에서 관상면 1.8°, 시상면 1.6°를 보였고, MIPO군에서 관상면 1.2°, 시상면 1.7°를 보였다(p=0.131, p=0.850). 술 후 및 최종 추시 방사선 사진상 양 군 모든 환자에서 족관절 후과 골편의 전위는 없었고, 최종 추시에서 족관절 관절염은 없었다. 임상적 평가로 최종 추시에서 AOFAS 점수는 IMN군에서 평균 88.0점, MIPO 군에서 평균 87.6점을 보였다(p=0.905). 각 군에서 후과 골절에 대한 고정술 유무에 따른 족관절 관절 운동 범위 및 AOFAS 점수를 비교하였고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족관절 후과 골절을 동반한 경골 원위부 나선상 골절의 치료에서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과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은 영상학적, 임상적 결과에서 차이가 없이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쇄골 전위성 간부 골절에서 조기 고정술 군과 지연 재건술 군 간의 결과 비교 (Comparison of Results Between Immediate Fixation Group and Delayed Reconstruction Group in Displaced Mid-shaft Fractures of the Clavicle)

  • 김두섭;나중호;윤여승;이창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1호
    • /
    • pp.61-66
    • /
    • 2009
  • 목적: 기존의 연구들은 쇄골의 부정 유합 및 불유합에 대한 지연 재건술의 결과가 골절 후 조기 수술적 치료에 필적할 만한 우수한 결과들을 보고하여 왔으나 두 군을 직접적으로 비교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저자들은 쇄골 불유합과 부정 유합의 지연 재건술 군과 조기 고정술 군 간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에 대해 조기 고정술을 시행한 18예(조기 고정술 군)와 보존적 치료 후 발생한 부정 유합 혹은 불유합에 대해 지연 재건술을 시행한 15예(지연 재건술 군)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결과 판정은 Constant 점수에 의한 임상적 결과와 방사선학적 골유합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Constant 점수는 지연 재건술 군이 조기 고정술 군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다(p=0.045). 통증 점수와 일상 생활 활동 점수는 두 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관절 운동 범위 점수와 근력 점수는 두 군간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p>0.05). 방사선학적 골유합 소견은 조기 고정술 군 평균 8.8주, 지연 재건술 군 평균 9.8주에 관찰되었고 두 군 모두 전례에서 골유합 소견을 보였다. 결론: 지연 재건술 군 또한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지만 조기 고정술 군에 비해 Constant 점수와 통증 점수, 일상 생활 활동 점수에서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쇄골 전위성 간부 골절의 초기 치료 선택에 있어 조기 수술과 지연 재건술의 장단점을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초기 치료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역행성 대퇴부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슬관절 고정술: 술기 보고 (Arthrodesis of the Knee Using a Retrograde Femoral Intramedullary Nail: Technical Report)

  • 왕립;김선효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83-189
    • /
    • 2021
  • 슬관절 고정술은 슬관절이 손상되어 재건술을 시행할 수 없는 환자에서 안정적이고 통증이 없는 슬관절을 얻을 수 있는 마지막 선택사항 중 하나이다. 슬관절 고정술에는 외고정 장치,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 조립형 금속정 또는 이상와로부터 삽입하는 전향적 금속정을 이용한 내고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다른 선택사항으로 Neff 정, Wichita 정, 또는 Huckstep 정과 같은 짧은 금속정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현재 사용 가능한 상용화된 짧은 금속정이 없다. 이에 저자들은 역행성 대퇴부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슬관절 고정술을 보고하고자 한다.

유치의 탈구성 손상에 관한 후향적 분석: 고정술의 치료 결과 (A Retrospective Study of Luxation Injuries in Primary Teeth: Prognosis with Splinting)

  • 송기언;남옥형;김미선;이효설;김광철;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4-19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탈구성 손상을 받은 유치에 시행한 고정술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 탈구성 손상으로 본과에 내원하여 유치에 고정술을 시행한 92명의 환아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들 중에서 6개월 이상 추적 검사에 참여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치료 결과는 검진 기간동안 임상 및 방사선 검사에서 합병증의 존재에 따라 분석되었다. 평균 나이는 42.1개월이었으며 67.4%가 남아였다. 넘어짐이 가장 빈번한 원인이었으며, 평균 고정 기간은 2.4주이었다. 고정술의 성공률은 58.9%이었다. 아탈구가 가장 높은 성공률을 보였으며, 측방 탈구에서 정복 후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가장 낮은 성공률을 보였다. 탈구성 손상에서 치수괴사가 가장 빈번히 발생한 비호의적 치료 결과이었다. 본 연구결과, 유치의 탈구성 손상에서 고정술은 받아들일 만하였으며, 고정술은 유치의 탈구성 손상시 치료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