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정세

검색결과 748건 처리시간 0.023초

국산 내부연결형 임플란트시스템(GS II$^{(R)}$)에서 지대주 연결방식에 따른 응력분석에 관한 연구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Internal Connection Implant System (Gsii$^{(R)}$)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Abutments and Prosthetic Design)

  • 장미라;곽주희;김명래;박은진;박지만;김선종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2호
    • /
    • pp.179-195
    • /
    • 2010
  • 임플란트 보철물에 저작력 등 외부 하중이 작용하면 내부 반응으로 응력이 발생되는데 지지골에 나타난 응력은 골재생 및 흡수 파괴, 임플란트에 나타난 응력은 임플란트 자체의 파절이나 나사의 풀림현상 및 파절, 상부 구조물에 나타난 응력은 보철물의 파절 등을 예견하는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지대주의 형상과 재질에 따라 연결방법과 보철방법이 달라지고 임플란트 내부의 하중전달 기전이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악골에 발생하는 응력분포 역시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악 제 1대구치 부위에 이중나사 구조를 갖고 원추형 내측연결 임플란트 시스템인 GSII$^{(R)}$ (Osstem, Korea)임플란트를 이용해 지대주의 종류를 티타늄 소재의 2-piece Transfer$^{TM}$ abutment (GST), 금합금 소재의 2-piece GoldCast$^{TM}$ abutment(GSG), 외부 연결형태를 가진 3-piece Convertible$^{TM}$ abutment (GSC) 로 분류하여 이에 따른 응력분포 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결과 하중조건에 관계없이 응력은 주로 지대주와 고정체가 접촉하는 경부에 집중되었다. 또한 하중조건에 관계없이 임플란트의 고정체 상부와 접촉하는 치밀골에 높은 응력이 나타나고 해면골에는 아주 작은 응력이 나타났다. 축하중보다는 중심축을 벗어난 하중조건에서 더 높은 응력이 발생되었고 수직하중보다 경사하중에서 더 높은 응력이 발생되었다. 전체에 걸친 최대응력은 GSG에서는 지대주, 치관 및 고정체에 고르게 분포되었고 GST는 주로 고정체와 지대주 나사에, GSC는 고정체와 지대주에 집중되었다. 세 지대주 간 골내의 최대응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GSG가 전체 구성부의 응력분포에 있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임플란트발거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이 실패한 환자에서의 잔존 임플란트를 이용한 부분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증례 (Case report: Application of Implant 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due to Multiple Dental Implant Loss of the Fixed Implant Supported Prosthesis)

  • 강정경;남기훈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4-40
    • /
    • 2014
  • 부분 무치악을 수복하는 데 있어서 선택할 수 있는 치료의 옵션으로는 전통적인 국소의치와 임플란트 지지-고정성 보철물 등이 있다. 하지만, 환자의 전신적 또는 구강의 상태(수술적인 술식이 제한되는 전신병력, 지지조직의 부족 그리고 골유착에 실패한 임플란트)와 치료비용에 대한 허용 정도에 따라 모든 옵션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가철성 국소의치는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에 비해 구강위생 관리 및 상,하악 악간관계의 부조화를 수정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기존 악궁 형태에서는 제한되는 국소의치 디자인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임플란트지지형 RPD(Implant 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가 새로운 방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ISRPD는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역학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전악의 임플란트지지형 고정성 보철이 제한되는 환자에서 보다 경제적이고 현실적인 보철적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RPD를 이용한 보철계획 수립시 전략적 위치에서의 임플란트의 사용은 고전적인 가철성 국소 의치에서보다 유지력과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구강위생관리 또한 용이하여 환자의 적응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양측 구치부의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하악의 bar-type overdenture를 사용중이던 59세 남성환자에서 상악 #15i임플란트의 abutment screw fracture와 임플란트의 골유착 실패로 인한 다수 임플란트를 발거 후 남은 #15i,24i,25,26,i의 잔존 임플란트와 #23 자연치를 활용해 상악에 ISRPD를 적용한 경우이다. #23 surveyed crown, #24i=25i=26i surveyed bridge 및 #15i에 gold coping을 제작하여 국소의치의 지지와 유지,안정을 도모하였다.최종 보철물을 장착하고 2년간 주기적인 follow up 통해 예후를 관찰중이며 지대치로 사용한 임플란트에서 screw loosening이나 파절, 골흡수 등의 증상은 현재까지 관찰되지 않았다.

3개의 유관 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족근 관절 고정술 (Arthroscopic Ankle Arthrodesis Using Three Cannulated Screws)

  • 김경태;이송;고동오;양승진;전태환;양종화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49-253
    • /
    • 2009
  • 목적: 말기 족근 관절염 환자에서 시행한 3개의 유관 나사와 관절경을 이용한 족근 관절 고정술의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를 평가하여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5월부터 2009년 2월까지, 관절경하에 3개의 유관 나사를 이용하여 족근 관절 고정술을 시행한 족근 관절 관절염 환자 15명,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8명, 여자가 7명 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62.2세였다. 임상적으로 수술 전과 수술 후의 미국 정형외과 족부 족관절 학회(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의 족관절-후족부 기능 평가 기준(ankle-hindfoot functional scale), 시각 상사 척도 동통 점수(visual analogue scale pain score) 및 환자의 만족도를 평가하였고, 방사선적으로 방사선 전후, 측면과 mortise 사진을 측정하여 골유합을 확인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4.2개월이었다. 결과: 족관절-후족부 기능 평가 기준은 수술 전 평균 47.4점에서 수술 후 최종 추시에서 평균 82.5점으로 향상되었고, 시각 상사 척도 동통 점수는 수술 전 평균 8.6에서 최종 추시 시 평균 2.4로 감소되었다. 환자의 만족도는 7예(41.2%)에서 매우 만족, 8예(47.0%)에서 만족(good), 1예(5.9%)에서 보통, 1예(5.9%)에서 불만족 소견을 보였다. 모든 예에서 족근관절은 성공적으로 골유합이 되었으며 유합의 평균 시간은 9.1주였다. 결론: 관절경하에서 3개의 유관 나사를 이용한 족근 관절 고정술은 좋은 임상 결과와 높은 골유합을 얻을 수 있어 진행된 족근 관절염에서 시행 할 수 있는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 PDF

불안정성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에 있어 한국형 이중 연골하지지고정 전방 금속판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Treating Unstable Distal Radial Fractures with a Domestically Developed Volar Locking Plate That Has the Characteristic of Double-Tiered Subchondral Support)

  • 이철형;정덕희;안충한;정의탁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495-502
    • /
    • 2020
  • 목적: 본 연구는 요골 원위부 골절에 대해 국내에서 이중 연골하 지지고정 개념으로 개발된 전방 잠김 금속판의 수술 후 정복 유지 효과 및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해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7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요골 원위부 골절 환자 중 관혈적 정복 및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5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직후와 최종 추시 시 촬영한 단순방사선 사진을 이용해 요골 길이, 요골경사, 수장측 경사, 척골 변위, 원위 배측 피질 거리(distal dorsal cortical distance)를 측정하여 골절 정복 유지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환자 나이, 골절 분류, 금속판 위치를 기준으로 전체 환자군을 세부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함으로써 각 요인이 골절 정복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직후 원위 배측 피질 거리는 평균 5.91 mm (표준 편차, ±1.95 mm)로 측정되었으며 요골 길이(p=0.038), 척골 변위(p=0.001)는 수술 직후와 최종 추시 시 촬영한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전체 환자군을 각 요인에 따라 세부 그룹으로 나누어 평가했을 시 척골 변위는 나이가 65세 이상이거나 AO/OTA 분류 C3형에 해당하는 경우 혹은 금속판 위치가 Soong classification grade 0에 해당하는 경우 수술 직후에 비해 최종 추시 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7, p=0.012, p=0.046). 결론: 국내에서 이중 연골하 지지고정 개념으로 생산된 전방 잠김 금속판을 이용하여 요골 원위부 골절 정복술을 시행하는 경우 충분한 정복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골절 정복 유지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나, 환자가 고령인 경우, 관절 내 골절의 분쇄 정도가 심한 경우, 금속판이 분수령선의 근위부에 위치한 경우에 척골 변위의 증가를 보여 요골 월상골와의 정복 유지를 위한 고려가 필요하다.

$^{99m}Tc$-MDP 골신티그라피를 이용한 Hydroxyapatite 안구 보충물의 혈관 신생 평가 및 임상적 유용성 (Usefulness of $^{99m}Tc$-MDP Bone Scintigraphy for Assessing Vascular Ingrowth on Hydroxyapatite Ocular Implant)

  • 강봉주;손형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84-492
    • /
    • 1999
  • 목적: 안구제거술 후 삽입한 hydroxyapatite 안구보충물 내로의 혈관 신생 여부의 평가에 $^{99m}Tc$-MDP 골신티그라피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안구적출술이나 안구내용물 제거술의 방법을 이용하여 안구 제거 후 hydroxyapatite 보충물을 삽입한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여자 7명, 남자 17명, 연령 분포 $12{\sim}78$세, 평균 연령 36세, 안구적출술 12명, 안구내용물 제거술12명) Hydroxyapatite 보충물 삽입 후 $3{\sim}33$주($3{\sim}10$주 사이에 4명, $11{\sim}20$주 사이에 10명, $21{\sim}33$주 사이에 10명) 사이에 $^{99m}Tc$-MDP 골신티그라피를 시행하였다. 방사능 섭취 정도는 육안적으로 안구보충물과 비교(nasal bridge) 및 반대측 안구와 비교하여 안구 보충물이 비교보다 강할 경우 등급 4, 같을 경우 등급 3, 비교와 반대측 안구 사이일 경우 등급 2, 그 이하일 경우 등급 1로 하였다. 또한 골신티그라피 정면 영상에서 관심영역을 안구 보충물과 반대측 안구에 같은 크기로 설정하여 방사능 계수 비(H/N ratio)를 구하였다. 검사 시기와 방사능 섭취의 등급 분류, 방사능 계수 비와 안구 고정술 후 성공여부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등급 2 이상, 방사능 계수 비가 1.56 이상인 환자 중 추적 관찰할 수 없었던 2명을 제외한 19명 모두에서 천공 시 출혈을 확인하였고, 의안과 연결하여 안구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방사능 섭취 정도를 육안적 분류 방법과 정량적 측정 방법에 의한 결과는 두 방법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검사 시기와 방사능 계수 비 사이에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수술 방법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99m}Tc$-MDP 골신티그라피의 방사능 섭취 등급 분류와 방사능 계수 비는 안구고정술의 시기 결정에 도움을 주었다. 안구적출술과 안구내용물제거술의 수술 방법 차이에 관계없이 안구고정술을 위한 첫 검사 시기는 안구보충물삽입 후 $11{\sim}20$주 사이가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등급 2, 방사능 계수 비 1.56 이상인 경우에는 안구 고정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두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새로운 관절경적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술 (One Anchor Double Fixation (OADF) Technique for Arthroscopic Bony Bankart Repair)

  • 최의성;박경진;김용민;김동수;손현철;조병기;배승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40-46
    • /
    • 2010
  • 목적: 골성 방카르트 병변이 있는 견관절 외상성 전방 불안정성 환자에서 두 가닥의봉합사를 가진 생체 흡수성 봉합 나사못를 이용한 새로운 수술 방법에 의한 관절경적 봉합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9년 3월까지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 술을 시행한 환자 중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평균 추시 기간 22.3개월, 범위 13~47개월)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13예, 여자 4예였고, 우측이 14예 좌측이 3예였다. 평균 연령은 24세 (범위 17-42세)였다. 수상 시에서 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2년 (범위, 10개월-4년 1개월)이었다. 수술 방법은 두 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봉합 나사못을 골편이 떨어진 관절 와에 고정한 후 하나의 봉합사를 골편을 둘러싸 고정 시킨 후 또 다른 봉합사를 이용하여 주변 관절 낭을 떠서 고정한 골편을 둘러 싼 후 봉합하였다. 술 후 결과는 Rowe의 평가 방법과 KSS 평가지수를 이용하였고 관절 와의 결손부위와 골편은 삼차원 입체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 후 최종 추시상 Rowe 견관절 평가지수는 평균 54점 (범위 23~71점)에서 83.4점 (71~90점)으로 전반적으로 향상되었고, 전체적으로 우수 13예 (76%), 양호 3예 (18%), 보통 1예 (6%)였다. KSS 점수는 수술 전 평균 71점 (범위 49~82점)에서 수술 후 92.5점 (범위 82~94점)으로 향상하였다. 최종 추시상 통증이 지속되는 예는 없었으며, 추시기간 동안 재 탈구 된 예는 없었다. 수술 후 삼차원 입체 컴퓨터 단층 촬영이 시행되었던 6예에서 골 유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견관절 외상성 불안정성에 대한 골성 방카르트 병변의 두 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생체 흡수성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새로운 수술 방법에 의한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술은 우수한 임상결과와 낮은 재발율을 보이고, 합병증이 낮아 골성 방카르트 병변의 치료에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 된다.

교통량과 대기질이 도시 공원 토양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ffic Volume and Air Quality on the Characteristic of Urban Park Soil)

  • 주선영;이현진;전주희;서인혜;유가영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9권1호
    • /
    • pp.77-8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세 지점에서 이동 및 고정오염원이 대기질과 도시 공원 토양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지로는 도시에서 질소 침적의 주요 발생원인 이동 및 고정오염원의 여부에 따라 서울시 마포구의 하늘공원 (Site_M), 서울시 강남구의 일원에코파크 (Site_G), 서울시 서초구의 양재시민의 숲 (Site_Y)을 선정하였고, 각 사이트별 교통량과 대기질 농도, 토양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교통량은 Site_G와 Y에 이어 Site_M에서 가장 많았다; Site_M과 G는 Site_Y보다 자원회수시설과 더 가까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M과 NO2 농도가 Site_Y, G에서보다 Site_M에서 많을 것이며, 사이트마다 다른 대기 침적량에 의해 토양 질소 함량도 다를 것으로 예상했다. 예상과 동일하게 PM2.5와 NO2 농도는 Site_M과 G에서 높았지만 PM10 농도는 Site_Y에서 약간 높았다. 식물이 주로 흡수하는 무기질소의 형태인 NO3-의 함량은 세 사이트에서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고, NH4+의 함량은 Site_Y에서 다른 두 지역에 비해 더 높았는데, 이는 대기 침적에 의한 결과라기 보다는 공원 관리 차원에서의 질소 비료 투입에 따른 영향인 것으로 생각된다. Site_Y에서 다른 사이트보다 낮은 pH를 보인 것 또한 과다한 비료 시용으로 인해 산성화가 일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토양 내 NH4+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Site_M과 G를 포함한 모든 조사 대상지에서 식생이 건강하게 보이는 것으로 보아, 공원 관리에 있어서 과도한 비료 투입을 재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비록 이동 및 고정오염원으로 인해 대기의 PM, NO2 등의 농도가 달랐지만 그 영향이 토양의 질소 영양 상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이었다.

20 m 점증 왕복달리기 검사를 이용한 여중생의 VO2max 추정식 개발 (The Development of Prediction Equation for Estimating VO2max from the 20 m PSRT in Korean Middle-School Girls. Exercise Science)

  • 박동호;송정란;이상현;김창선
    • 운동과학
    • /
    • 제23권1호
    • /
    • pp.1-1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20 m 점증왕복달리검사(20 m PSR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여중생의 VO2max를 추정할 수 있는 타당성과 신뢰도가 확보된 추정식을 개발하는 데 있다. 총 194명의 여중생(13-15세) 중 127명은 타당도 검사를 위해 그리고 99명(나머지 67명+32명은 타당도 분석에도 참여함)은 신뢰도 검사를 위하여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127명의 참여자는 VO2max 추정식의 개발과 새로운 20 m PSRT 프로토콜의 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트레드밀을 이용한 최대점증부하검사(고정식)와 이동식 가스분석기를 착용하고 20 m PSRT(이동식)를 실시하였다. 신뢰도분석을 위하여 99명의 참여자들은 새로운 20 m PSRT를 1주일 간격으로 1회 반복(총 2회) 실시하였다. 이동식 가스분석기를 착용하고 측정한 20 m PSRT VO2max 실측값(39.2±5.1 ml/kg/min)은 고정식 가스분석기를 이용하여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측정한 VO2max 실측값(37.7±5.7 ml/kg/min, p=.001)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매우 좁은 범위에 해당하는 것이었다(1.5 ml/kg/min). 또한 이동식과 고정식 가스분석기(20 m PSRT vs. 트레드밀)에서 얻은 VO2max의 상관계수는 .88(p<.001)이었다. 20 m PSRT의 신뢰도 검사와 관련하여 왕복달리기 횟수(r=.88, p<.001) & 최종속도(r= .85)의 상관계수 역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VO2max를 추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된 새로운 추정식은 y = .231 × 왕복횟수 - .311×체중 + 46.201 이다(r=.74, SEE=4.29 ml/kg/ml). 결론적으로 첫째, 새로운 20 m PSRT 프로토콜은 타당성과 신뢰도가 확보된 검사이며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20 m PSRT 추정식은 한국 여중생(14-16세)에게 적합하고 타당성 있는 VO2max 추정값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의 최근 경향 (Current trends in orthodontic patient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 임동혁;김태우;남동석;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3-72
    • /
    • 2003
  • 최근 치의학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소득이 증가하면서 이에 따라 일반인의 의식이 점차 변하면서 외모에 대한 관심도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내원환자의 부정교합의 유형, 치료방법의 변화를 파악하여 내원환자와 보다 적절한 의사소통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교정치료 요구의 특성을 파악하여 부정교합의 역학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 상반기와 1992년 상반기에서 울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 중 진료기록부가 잘 보존된 676명을 대상으로 하여 부정교합의 유형과 내원 환자의 지역분포 및 주소의 변화, 치료방법의 변화를 조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내원 환자의 남녀 비율은 1992년 1:2.1에서 2002년 1:1.5로 남자환자가 많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2. 연령별 내원 환자의 분포에서 2002년에는 7세에서 12세군이 $32.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19세에서 24세군이 $24.0\%$, 13세에서 18세군이 $21.6\%$, 25세 이상군이 $14.2\%$, 4세에서 6세군이 $5.8\%$, 0세에서 3세군이 $2.4\%$로 가장 낮았다. 1992년도 내원 환자의 연령 분포와 비교시 성인 환자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3. Angle분류법에 의한 내원환자의 분포에서 2002년에는 III급 부정교합이 $48.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I급 부정교합이 $25.0\%$, II급 1류 부정교합이$20.9\%$, II급 2류 부정교합이 $3.4\%$로 나타났다. 4. 내원환자의 지역별 분포에서 서울 북동지역의 환자가$37.0\%$, 서울 남동지역이 $13.2\%$, 서울 남서지역이 $12.3\%$, 서울 북서지역의 환자가 $5.5\%$로 나타났다. 1992년도와 비교시 서울 북동지역환자의 내원 비율이 종가하고 그 외 지역 내원 환자의 비율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주소(chief complaint)별 내원 환자의 분포는 2002년에 하악 전돌이 $1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크라우딩이 $14.2\%$, 안면 비대칭이 $11.8\%$로 나타났다. 1992년의 주소별 내원 비율과 비교시 안면 비대칭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내원 동기가 매우 다양해졌다. 5. 2002년도 내원 환자의 치료방법은 고정식 장치가 $38.0\%$, 악교정 수술이$25.0\%$, 성장 관찰이 $13.0\%$로 나타났다. 1992년도와 비교시 chin cap의 사용이 줄었으며, 상대적으로 악교정 수술과 성장관찰을 요하는 환자의 비중이 유의할만하게 증가하였다

진동식 자동 혈압계로 측정한 6세 이하 아동의 정상 혈압치와 백분위수 곡선 (Normal blood pressure values and percentile curves measured by oscillometric method in children under 6 years of age)

  • 손진아;이희숙;임경아;윤소영;정조원;김남수;노정일;이순영;홍영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9호
    • /
    • pp.998-1006
    • /
    • 2008
  • 목 적 : 소아 고혈압은 성별, 연령별, 신장별 수축기 또는 이완기 혈압이 95 백분위수 이상으로, 진동식 자동 혈압계에 의한 소아 혈압치는 일부 연령에서만 보고되어 있고, 최근 6세 이하의 어린 소아에서 보고가 적다. 이에 저자들은 진동식 자동 혈압계를 이용하여 신생아부터 6세 이하의 정상 소아를 대상으로 성별, 연령별, 신장 백분위수별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을 측정하여 정상 혈압치 및 혈압 백분위수 곡선을 구하여 우리나라 소아의 고혈압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서울 시내 6세 이하의 어린이 6,690명(남아 3,545명, 여아 3,145명)을 대상으로 진동식 자동 혈압계(Dinamap, Procare-200, GE, USA)를 이용하여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각각 두 차례에 걸쳐 측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연령별, 성별 평균 혈압을 구하고, 신장 5, 10, 25, 50, 75, 90, 95 백분위수에 따른 50, 90, 95, 99 백분위수의 혈압을 산출하였고 혈압 백분위수 곡선을 구하였다.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은 성별 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하여 선형회귀모형에서 회귀계수와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결 과 :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이 점차 증가하였다. 남아와 여아 모두 동일한 신장 백분위수를 가진 어린이들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서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모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남아와 여아 모두 동일한 연령대에서 신장이 커질수록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모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 론 : 진동식 자동 혈압계를 이용하여 서울지역 6세 이하 어린이의 성별, 연령 및 신장 백분위수에 따른 혈압 백분위수를 구하였다. 이번 연구 자료가 6세 이하의 고혈압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앞으로 고혈압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서울시가 아닌 우리나라 전국 소아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