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유 오염취약성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Consideration of Trends and Applications of Groundwater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s in South Korea (지하수 오염취약성 평가 기법 동향과 국내 적용성 고찰)

  • Kim, Gyoo-Bum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3 no.6
    • /
    • pp.1-16
    • /
    • 2008
  • There are generally two types of groundwater vulnerability assessments. Intrinsic vulnerability is based on the assessment of natural climatic, geological and hydrogeological attributes and specific vulnerability relates to a specific contaminant, contaminant class, or human activity. Several methods to assess groundwater vulnerability, which are based on hydrogeologic setting and socio-economical environment, have been developed in USA and Europe. A Modified-DRASTIC model including a lineament factor has been developed in South Korea, but it still has some limitations. To develop a solid and applicable method in this country, many data of quality, hydraulic features, GIS data, and pollution source, produced from a Basic Survey based on Article 5 of the Groundwater Act and other research projects, need to be collected, analyzed and verified introducing the previous methods.

Development of a groundwater contamination potential evaluation technique by improving DRASTIC Index for a tunnel excavation area (개선된 DRASTIC 기법을 이용한 터널굴착 예정지역의 지하수 오염 가능성 평가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Jun-Kyung;Park, Young-Jin;Wye, Yong-Gon;Choi, Young-Tae;Lee, Han-Mi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5 no.1
    • /
    • pp.71-88
    • /
    • 2003
  • The DRASTIC system is widely used for assessing regional groundwater pollution susceptibility by using hydrogeological factors such as depth to water, net recharge, aquifer media, soil media, topography, vadose zone media, hydraulic conductivity. This study is providing Modified Drastic Model to which lineament density, land use, influence of groundwater drawdown caused by tunnel excavation are added as additional factor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then to evaluate groundwater contamination potential of ${\bigcirc}{\bigcirc}$ area. For statistical analysis, vector coverage per each factor is converted to grid layer and after each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factors, covariance, variance, eigenvalue and eigenvector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3 direction, are calculated, correlation between factors is analyzed. Also after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general DRASTIC layer and rated lineament density layer, between general DRASTIC layer and rated land use layer, between general DRASTIC layer and rated tunnel excavation influence layer are calculated, final modified DRASTIC model is constructed by using them with each weighting. When modified DRASTIC model was compared with general DRASTIC model, contamination potential in modified DRASTIC model is fairly detailed and consequently, vulnerable area which has high contamination potential could be presented concretly.

  • PDF

Assessment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a watershed according to stream flow conditions (하천 유량조건에 따른 유역별 수질변동특성 평가)

  • Jung, Woo Suk;Jo, Bu Geon;Kim, Young Do;Kwon, Jae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91-91
    • /
    • 2021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 증가로 인한 돌발홍수와 강수일수는 감소하고 강수량의 계절적·지역적 편중현상이 심화하여 가뭄의 발생빈도 및 기간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가뭄에 따른 환경학적 피해로 하천유량의 감소와 더불어 영양물질의 부화로 인해 하천의 수질악화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집중호우로 인한 비점오염원 유입이 취약한 유역인 경우 장기적으로 부영양화를 초래하고 지속적인 오염원 축적을 통한 수질오염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유역별 유량조건에 따른 수질오염원 특성을 파악하고 맞춤형 수질관리를 위한 유역평가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수계 22개 중권역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중권역별 맞춤형 수질관리를 위한 유역진단을 실시하였다. 유역유출모형인 HSPF을 통해 산정된 기준유량을 기준으로 저유량, 고유량 시기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값인 각 요인별 수질변동특성을 요인분석 네트워크 그래프를 활용해서 수질변동특성을 분석하고, 유황별 수질환경적 오염원 영향인자들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중권역별 하천 유량조건에 따라 어떠한 오염원에 기인하는지 분류하고 평가하였다.

  • PDF

River Section Analysis Using HEC-RAS in Han River Watershed (HEC-RAS를 이용한 한강권역 하천 단면 분석 연구)

  • Noh, Yeonjung;Kim, Seongjoon;Hur, Junwook;Hong, Eun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77-477
    • /
    • 2022
  • 환경문제가 사회적으로 크게 대두되면서, 환경 보전 및 복원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특히 하천의 경우, 시민들의 레저 활동 및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도 활용되고 있어 청정한 환경 유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천의 생태기능은 하천에서 살아가는 각종 생물의 서식 조건을 유지함으로써 하천이 환경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는 70년대 이후부터 오염물질로부터의 수량 보장 등의 목적으로 하천 유지유량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순 수질 환경 및 물수요의 충족을 위한 취수량 확보 목적을 넘어 수생태계 보호를 위한 유량인 환경생태 유량의 확보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태계 기능을 보존하는데 필요한 최적 또는 최소 유량에 대한 평가는 다양한 종의 어류에 대한 하천의 유량과 서식지 가용성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는 서식지 기반 모델에 의해 수행되어왔으며, 이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하천 단면에 대한 수위, 유량, 지반고 등의 하천 고유 특성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한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유량 산정에 앞서 HEC-RAS(하천 분석 시스템)를 이용하여 한강권역내 생태유량 산정을 위한 취약지역 3지점에 대한 하천 단면 정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한강권역 환경생태유량 산정 및 하천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