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밀도도시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s Compact Urban Spatial Structure Effective for Public Transportation Mode? (컴팩트형 공간구조가 대중교통수단의 이용활성화에 보다 효과적인가?)

  • Lee, Jae-Yeong;Kim, Hyung-Chu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3 s.74
    • /
    • pp.7-1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behavior and accessibility in terms of spatial structure. We analyzed travel behaviors and accessibility using a mode choice model and the Complementary Accessibility Index(CAI). The urban spatial structures that were compared were a compact city (CC) versus a sprawled city (SC), and high residential density districts (HD) versus low residential density districts (LD). First, CC and HDs residents had a shorter commuting distance than the CC and LDs residents. Second, behavior models showed that the use of Private cars for commuting in SCs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private car use in CCs, and that public transportation modes would be encouraged in CCs. Third, changes associated with the time and cost of commuting by private car generally affect the demand for public transportation modes in the CC. Also, analysis of cross elasticity suggests that changes of subway travel time affect the demand for buses very elastically. Fourth, the CAI of SC and LD were superior to the CC and HD even though the SC inefficient urban forms in terms of spatial structure. S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opulation density was also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accessibility and energy savings.

The Natures of urban Growth and newly Developed Districts of Taegu(I) - Urban Growth and Land Development in newly Developed Districts - (대구시의 도시성장과 신시가지 지역 특성에 관한 연구(I) - 도시성장과 신시가지 개발을 중심으로 -)

  • Jin, Won-H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8 no.3
    • /
    • pp.295-313
    • /
    • 2002
  • While the growth of Taegu has occurred through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the public sector development project and the construction of roads, its growth pattern has been shaped by physical constraints such as mountains, streams and rail roads. The processes of urban growth of Taegu are classified into four stages: the stage of urban embryo in the Chosun Era; the formation stage of the basic urban system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up to 1960; the stage of urban growth in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from 1960s to 1980; and lastly, the stage of urban expansion and maturation, with construction of extensive newly developed districts, after the 1980s. Since its promotion to a metropolitan city with the inclusion of Seongseo, Wolbae, Gosan, Ansim and Chilgok in 1981, those regions have grown into newly developed residential districts, with its accompanying high density and high rise apartments complexes, through the public sector development project. These newly developed districts are located about six to seven kilometers away from CBD of the city along with main radial roads. The sites are also located on the route of the fourth belt way of the city. While the Sangin, Seongseo and Jisan Beommul newly developed districts have developed contiguously with the existing built-up areas, the Siji and Chilgok districts have developed separately by the green belt and the Geumho River, respectively.

  • PDF

Planned Green Space in High Density Residential Zone and Quality of Life : Areal to Spatial Context (도시녹지와 주민의 삶 - 면적에서 공간의 관점으로 -)

  • Hwang, Yooje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3
    • /
    • pp.666-680
    • /
    • 2016
  • Four parks were selected to study the current situation after large scale suburban housing development in the 1990s. Since housing development road network have expanded with other facilities. First of all, green space area available per housing unit is 7.11- 22.0 sq. m. These parks neither extend as green corridor with surrounding hillside mountains (the river or lakes) nor act as the wind path from the mountains. Some housing units have reconstructed and the others will be redeveloped in near future which would more challenges for the residents in terms of quality of their life.

  • PDF

초고층 공동주택의 쓰레기처리 설비시스템

  • 김용식;박민식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1 no.1
    • /
    • pp.32-35
    • /
    • 2002
  • 도시로의 인구집중, 도시의 대규모화에 따라 고가의 부지에 대한 고밀도화가 요구되고, 주거부문에서는 그 대응 수단으로 초고층 공동주택의 건설이 증가 하고 있다. 부언하면, 대도시 도심부의 높은 지가 상황에서 가구당 건설비의 저감을 위한 고용적률화의 필요성, 새로운 도심지 주거스타일의 발생 및 그에 대한 대응, 도심지역 기능 재편 대책으로서 도심지역에 있어서의 상주인구 확보 등의 대응 수단으로서, 도시 주택의 한 타입인 초고층 공동주택 건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심지 초고층 공동주택 건설의 기반에는 근년의 초고층 건설기술의 진보 및 발전이 있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본고에서는 초고층 공동주택에 필요한 각종 설비시 스템중에서, 주거환경의 위생성및 쾌적성을 확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쓰레기처리 설비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Radiation Flux Impact in High Density Residential Areas - A Case Study from Jungnang area, Seoul - (고밀도 주거지역에서의 복사플럭스 영향 연구 - 서울시 중랑구 지역을 대상으로 -)

  • YI, Chae-Yeon;KWON, Hyuk-Gi;Lindberg, Fredr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1 no.4
    • /
    • pp.26-4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solar radiation model and discuss its applicability to the urban area of Seoul for summer heat stress mitigation. We extended the study area closer to the city scale and enhanced the spatial resolution sufficiently to determine pedestrian-level urban radiance. The domain was a $4km^2$ residential area with high-rise building sites. Radiance modelling (SOLWEIG) was performed with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based detailed geomorphological land cover shape. The radiance model was evaluated using surface energy balance (SEB) observations. The model showed the highest accuracy on a clear day in summer. When the mean radiation temperature (MRT) was simulated, the highest value was for a low-rise building area and road surface with a low shadow effect. On the other hand, for high-rise buildings and vegetated areas, the effect of shadows was large and showed a relatively low value of mean radiation temperature.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exhibits high reliability for the management of heat stress in urban areas at pedestrian height. It is applicable for many urban micro-climate management functions related to natural and artificial urban settings; for example, when a new urban infrastructure is planned.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iotope Map Using 3D GIS (3차원 GIS를 이용한 생태지도의 설계 및 구현)

  • Yang, Su-Yeong;Jung, In-Sung;Song, Gil-Jong;Yoo, Nam-Hyun;Kim, Wo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289-293
    • /
    • 2010
  • 21C 현대 문명사회에서는 도시의 고밀도 및 팽창으로 인하여 도시 내 생태계가 파괴되면서 생물서식처의 환경 악화 및 엄청난 감소가 초래되었으며, 그 결과로 인하여 인간과 생물이 접촉할 수 있는 공간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다. 또한 도시 영역의 확장을 위하여 산림 및 녹지의 감소, 녹지의 분절 및 단절화, 해안 매립 등이 계획 없이 무분별하게 진행됨으로써, 각종 동식물의 개체 수 감소 및 토양의 건조화 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 영향으로 생물종의 다양성이 떨어지고, 도시 생태계의 교란이 심해지고 있다. 이러한 도시 생태계의 교란은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시민들의 생활의 질이 떨어지게 하고 많은 환경 문제들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지속적이면서도 자연친화적인 도시발전을 위해서는 도시 내 자연생태계를 회복하고 생물서식공간을 종합적으로 보전하면서 복원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지만, 이를 체계적으로 이루기 위한 방법론의 부재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유럽을 중심으로 생겨난 비오톱(Biotope)과 비오톱 지도화 방법이 생태계를 보전하며, 시민들에게 다양한 자연체험과 휴양 기회를 제공하고 친환경적인 도시계획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비오톱 지도는 이미지 기반의 2차원 지도로 제공되고 있어, 거리 및 공간 분석에 취약하고 정보전달력이 부족하여, 익숙한 전문가가 아닌 경우 비오톱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간정보가 결여된 2차원 형태의 GIS 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공간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위성영상과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이용하여 3차원 지형을 만들어 각 주제도별로 입체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동영상 녹화 기능과 3차원 객체 추가 기능을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고려한 도시의 설계를 진행하는 경우 3차원적인 모델링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이면서도 사용자의 이해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정보 전달력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Evaluation Method of Traffic Noise in Urban Residential Area (도시주거지역 도로교통소음의 평가방법에 관한 고찰)

  • Kook, Chan;Chang, Gil-Soo;Chung, Kwang-Youn;Kim, Su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1.04a
    • /
    • pp.53-56
    • /
    • 1991
  • 산업구조의 급속한 발전과 공업화는 사회구조의 변화 및 대도시로의 인구집 중, 고밀도화, 교통량의 증가를 초래하여 이로부터 기인한 도시지역의 환경 오염 문제는 쾌적한 인간생활을 위협하는 단계에까지 이르렀다. 그중에서 소 음에 관한 문제도 대기 및 수질의 오염과 동시에 도시생활 환경에 많은 영 향을 미치게 되었다. 도시 소음의 주 원인은 주로 도로교통소음이며 이는 기 하급수적으로 늘어가는 자동차의 양에 의해 더욱 심해지고 있다. 따라서 현 재 우리나라에서도 주거지역 및 준주거지역 등의 지역별 소음도 규제 및 신 설되는 공동주택 단지에서의 소음레벨규제등이 있긴 하나 이들은 상당히 소 극적이며 미온적일 뿐 아니라 실제 거주하는 주민들의 반응과는 상당한 차 이를 보이고 있으며 더욱이 주민의 소음에 대한 주관적 반응을 적절히 표현 할 수 있는 지표마저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고찰에서 는 피험자들의 주관적 반응을 실험할 때 발생하는 변수요인들을 통제 할 수 있는 실험 실시행 청감실험을 실시하기에 앞서 대상지역의 도로교통소음을 여러가지 평가척도에 의해 평가한 후 그 현장에서 이 소음에 노출된 피험자 들의 반응을 파악하여 청취자들이 인지하는 소음레벨을 적절히 평가하는 지 표를 찾고자 한다.

  • PDF

An Estimation Model of the Minimum Required Dwell Time for Urban Railway (도시철도 적정 최소소요 정차시분 추정모델)

  • Kim, D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2 no.6
    • /
    • pp.953-960
    • /
    • 2009
  • In the major operation section of urban railway, there has been occurred habitual delay, and delay propagation and spread to consecutive trains. Therefore, this delay cause the increase of operation time and irregular operation, also the increase of crowd and inconvenience to passengers. The railway operation plan is a promise to passengers and must have reliability. In the case of high frequency urban operation, dwell time have considerable influence on operational headway, so it is very important to efficiently plan and control the dwell time at stations. In this paper, the survey of the research on dwell time for urban railways is presented. The practical estimation model for minimum required dwell time, and the numerical example and validity are proposed.

Assessment of diurnal air quality in subway station (지하철 역사내의 시간대별 공기질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송지한;김신도;이희관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71-72
    • /
    • 2003
  • 급속한 고도성장에 의한 도시화는 인구의 고밀도화, 교통문제, 도시문제 등의 각종 환경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특히 교통문제는 늘어나는 교통량에 비해 교통기반시설이 너무도 부족하여 시간대 구분없이 교통체증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지상교통 수단의 한계를 해소하기 위해 많은 승객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송할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 지하철을 건설하게 되었다. 지하공간의 활용이 증가되면서 도심지 지하상가와 지하철 역사를 연결하여 경제성 높은 상권을 형성하는 지하상가가 발달하고 있다. (중략)

  • PDF

Assessemets of the air quality in Seoul subway system (서울시 지하철 내의 공기질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이희관;김신도;이정주;김민석;송지한;황의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212-213
    • /
    • 2002
  • 급속한 도시화와 인구 고밀도화에 따라 수반되는 교통문제와 생활공간의 확보는 대부분의 대도시가 직면한 사회적 문제이다. 특히 교통문제 해결을 위해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지하철 건설은 밀집화 된 도시의 공간활용 측면에 있어서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다. 서울시 지하철은 40% 이상의 높은 수송 분담율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양적인 증가에 반해, 공간적인 밀폐성 증가로 인한 대기질, 소음·진동 환경 의한 시민들의 건강 위해성 악화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