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령 사회

Search Result 1,50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고령친화 AI음성 O2O 서비스의 서비스가치가 태도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Myeong-Suk;Go, In-G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11a
    • /
    • pp.125-128
    • /
    • 2021
  • 한국은 2025년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20%을 상회하는 초고령 사회 진입이 전망되면서 노화수준에 맞는 고령친화적인 제품서비스 공급이 요구된다. 특히 시니어 소비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춘 서비스가 필요하다. 이에 시니어들은 노화(aging)에 대한 문제의식에 비용을 지불하며 젊은 소비자들과 유사한 소비행태를 보이고, 노화 수준별 건강 유지 및 건강 불안, 돌봄 공백, 사회적 고립 증가 등 사회문제가 복합적으로 심화되면서 고령친화적인 스마트한 Aging Service 공급이 요구된다. 이러한 시기와 맞물려 with코로나시대 시니어 소비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품·서비스로 4차 산업혁명의 중심인 AI(Artificial Intelligence)와 정보통신 기술의 노력이 가시화되고 있다. 따라서 IT 기술에 덧입혀 시니어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AI 음성인식 기능을 탑재한 제품 및 서비스가 향후 고령친화산업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친화 AI 음성 O2O 서비스'의 서비스 가치가 태도와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선행이론을 토대로 전문가 델파이 방법을 통해 고령친화 AI 음성 O2O 서비스의 정의를 도출하고 실증분석으로 '고령친화 AI 음성 O2O 서비스'의 서비스가치(상황기반 제공성, 즉시연결성, 위치정확성)와 태도 및 이용의도간의 인과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the Elderly informatization Education and the practical plan for creating jobs through human training (고령층 정보화교육의 현 실태 및 인력양성을 통한 일자리창출 실용화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Ki-Hyuk;Park, Young-Sik;Jung, Dek-K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237-240
    • /
    • 2014
  • Recent information and technology is strongly targeted at the young generation, but little research has been undertaken on the older generation. The 55~79 age group was over 1,000,000 people in 2012. As a result, the problems of the information gap and of job creation for older people is becoming a critical social challenge. Because of this need,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study method to reduce the information gap through informatization education for people of advanced age. Through this, older people can be mentors and play a key role in society as well as contributing to reduce social conflicts. This research is undertaken based on elderly IT volunteers, and is expected to solve the information gap problem through advanced age IT education and job creation with talent donation.

  • PDF

The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Age-friendly public service resources and Age (주관적 건강상태가 고령층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고령친화적인 공적서비스 자원과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im, Sue-Lynn;Kim, Juhyun;Ju, Kyonghe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9 no.2
    • /
    • pp.65-92
    • /
    • 2018
  • It has been well known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Under the purpose to mitigate and prevent the risk of depression caused by poor health, the changes in subjective health status'effects on depress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age-friendly public service resources, and age were respectively examined in this study. Moderating effect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492 adults aged 55 years and over from '2017 age integration survey' data which had been collected nation-widely.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inadequate subjective health status raises the level of depression. This tendency is weakened when the better age-friendly public service resources are presented. In contrast, age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specific conditions to bring out the interaction effects, frail subjective health status increased depression of all age groups as the level of age-friendly public service resources is low. Particularly, for the participants aged average(age 66.6) and older, the negative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depression are likely to be lowered by the improvement in poor age-friendly public service resources. That is, the buffer effects of age-friendly public service resources are proved. Based on theses findings, several suggestions for health promotion and depression prevention of older adults were discussed.

An Analysis on the Internet Use of the Korean Older Adults focused on thei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고령층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이용 분석)

  • Kim, Pan-Soo;Kim, Hee-Sop;Lee, Mi-Soo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8
    • /
    • pp.197-20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on the internet use of Korean older adults focused on thei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face to face interview with aged over 60 using a questionnaire for the residence of Daegu and Kyungsang Buk-Do areas. Subjects were divided into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education level, economic level, relig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data were analysed the elderly's internet use such as frequency of internet access, motivation of internet use, utilization of internet, and usefulness of internet based on thei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revealed that there exist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ternet use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in elderly people.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n essential data for developing the policy of the elderly's digital divide and welfare.

The Relationship between Age-friendly Environment and Life Satisfaction : A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Age Groups (고령친화환경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 연령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 Chung, Soondool;Kim, Miri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8 no.2
    • /
    • pp.121-141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age-friendly environment factors on different age groups' life satisfaction. Data were taken from "2014 Survey on the Aged Society", with total of 1,000 participants divided into three groups: 300 youth participants from age 20 to 44, 300 middle aged participants from age 45 to 64, and older adults participants from age 65 and more. Performing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ge-friendly environment factor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life satisfaction, regardless of the participants'age. However, the sub-dimensions of age-friendly environment that affected each age group was different. Among three sub-dimensions of age-friendly environment, which were housing factor, social participation factor, and community and health service factor, only housing factor affected life satisfaction of the youth group, while both community and health service factor, and housing factor affected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groups. The result clearly presents that age-friendly environment factors are not only beneficial for older people but for people at all ages. Therefore, various measures need to be taken in order to increase the age-friendliness of communiti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e status analysis of the Chinese television program for old people (중국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TV프로그램 현황 분석연구)

  • Liu, danya;Lee, d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77-378
    • /
    • 2015
  • 중국의 고령화 사회의 현황을 연구배경으로 중국의 고령층 TV프로그램의 발전현황 및 노인층의 심리 및 생리적 수요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 검색, 인터넷 검색, 인터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중국의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TV프로그램의 현황에 관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TV프로그램의 특징과 문제점, 중국이 고령사회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노인층의 생리 및 심리적 수요를 한중일의 성공적 TV프로그램 사례를 토대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 PDF

V+Tech 트렌드 - 실버산업 기술

  • 벤처기업협회
    • Venture DIGEST
    • /
    • s.130
    • /
    • pp.14-15
    • /
    • 2009
  • 실버산업기술은 대체로 60세 이상의 계층(실버층)을 대상으로 민간부문에 의하여 자유시장에서 공급되는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기술을 말한다. 평균수명 연장으로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7년 전체인구의 9.8%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8년 고령사회(14%), 2026년 초고령사회(20%)로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고령화는 외국에 비해 심각한데 그에 대한 대응은 다소 늦은 감이 있다. 그러나 밀려오는 고령화 추세를 고령친화산업의 기회요인을 잘 활용한다면 침체된 시장을 살려 새로운 성장 엔진으로 전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노인의 삶의 질도 한층 더 향상될 것이다.

  • PDF

생명체의 생존전략으로서의 노화, 그리고 장수사회

  • Park, Sang-Cheol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0a
    • /
    • pp.13-27
    • /
    • 2005
  • 고령화사회(aging society)에 접어 들자 마자,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고령사회(aged society)에 우리나라가 다가가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과거 노인에 대한 개념을 재정비하고 새로운 고령사회에 대비한 장수문화 창출이 시급하다. 노화란 개념에 대해서도 불가피하고 비가역적인 생체의 변화를 거쳐서 죽음에 이르는 도정이라는 피동적이고 자포자기적인 결정론적 시각을 불식하고, 노화가 생명체의 생존을 위한 적응적 반응성 변화이며, 그러한 변화의 요인이 충분히 제어가 가능한 생체의 변화임을 분명하게 인지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기능적 장수(Functional Longevity)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안하고, 이러한 기능적 장수를 추구함에 있어서 장수문화와 장수과학의 정립이 시급함을 강조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s and Retirement Satisfaction of Old Retirees (고령은퇴자의 사회적 관계망과 은퇴만족도 관계 연구)

  • Chung, Soondool;Moon, Jinyoung;Kim, Sungwon
    • 한국노년학
    • /
    • v.30 no.4
    • /
    • pp.1145-1161
    • /
    • 201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how social networks of old retirees impact on their retirement satisfaction, and through this, to suggest ways of improving their retirement satisfaction.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from 2006 KLoSA(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which were collected from 1,009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who resided metropolis and smaller medium cities and answered regarding their retirement satisfaction. Data were analyzed by Binary Logistic Regression method.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children,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their social activities, and the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s to predict retirement satisfaction. In addition, other variables such as gender, subjective health status, type of retirement, and duration of past retirement have been found as significant variables to explain retirement satisfaction. Implications for designing effective retirement plan and service systems have been discussed.

The Research On Sense of Disapproval in Silver (실버 산업에 있어서 거부감에 관한 연구)

  • Jo, Gwang-Su;Lee, Hui-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43-46
    • /
    • 2009
  • 고령화 사회에 대한 준비가 여러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사회 각 부분에서도 이에 관련된 사업들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또한 일찍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여러 국가들도 실버산업에 관한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고령화 사회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해 나가고 있다. 반면 디자인 분야에서 실버산업에 대한 연구는 아직은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의 목적은 실버산업을 위해 디자이너가 먼저 호려해야 할 대상이 무엇인지를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 목적을 위해 실버 계층이 일상생활에서의 불편함을 리스트 화하여 그룹핑하고 이를 가지고 평가 항목을 만든다. 이후,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실버 제품들의 군집별로 수집하고 이 제품을 군집별로 일반인(20세-35세) 50명과 65세 이상 50명에게 각각 100 명에게 설문을 실시한다. 설문은 7점 척도로 측정하고 일반 집단과 실버 집단을 비교 하도록 한다. 이로써, 두 집단 간의 설문 항목에 따른 차이점과 중요 디자인 요소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