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령자 인프라시설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고령자를 위한 지역 통합적 복지시설 계획 -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Integrated Community Welfare Facilities Planning for the Elderly - Focused on the case in Germany -)

  • 남윤옥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4권7호
    • /
    • pp.75-84
    • /
    • 1998
  • Like all other European countries, as a result of gradual industrialization, Germany is just before the start of new social system; the so-called 'aged society'. Over half of the century, Germany focused their welfare system on facilities. However, with the start of the new 'aged society', they introduced a new concept which consists mainly on home care and community care. These new concepts resulted from the general idea that even elderly have the right to live an independent quality life. Therefore, to satisfy the elderly with such life it has been seen as necessary not only to offer them efficient protection but to introduce an economical welfare system and facility scheme. The regional integration plan for welfare is one of the open schemes in which the lifestyle of the elderly are seen as the whole. Participated by several members and specialists of all social standings, necessary facilities are planned. By looking into a project example carried out in Germany, this study is aimed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elderly welfare system and facility construction plan.

  • PDF

고령자 통행시간예산의 영향요인 규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ey Factors Affecting Travel Time Budget for Elderly Pedestrians)

  • 최성택;김수재;장진영;이향숙;추상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62-72
    • /
    • 2015
  • 2000년대에 들어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현 시점에 교통계획 및 수요예측의 관점에서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고령자 그룹의 통행 행태를 분석하고 수요를 추정하는 별도의 과정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SUR모형을 활용해 고령자의 목적별 통행시간예산의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통행시간예산은 통행수단의 발달과는 상관없이 하루 약 1시간 정도로 할당된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각 목적별 통행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오차항간의 상관성을 고려하는 SUR모형이 적합하다. 분석 결과, 여가목적 통행의 비중이 매우 높으며 개인, 가구, 도시시설, 교통 인프라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통행시간예산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가목적과 관련된 노유자 시설, 운동 시설, 종교 시설 등이 통행시간예산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정 직업에 종사하지 않거나 월 소득이 낮은 가구에 속한 고령자일수록 사회 경제적 활동의 빈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자의 장래 통행행태를 예측하고 수요를 예측하는데 있어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보행보조차의 사용성평가와 고령자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 (Usability Test of Rollator Walkers and Effect of Rollator Walkers on The Lives of The Senior Citizens)

  • 강수아;김수현;박치욱;신혜원;이지영;이효원;정명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85-390
    • /
    • 2021
  • 본 연구는 보행보조차의 사용성평가 및 노인의 사회활동에 대한 조사를 통해 제품 R&D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제품이 고령자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아 고차원적 참고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성남시 거주 보행보조기 사용 노인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제품의 접이기능, 무게, 등받이의 형태, 의자의 재질 등에서 불만족이 나타났다. 사회활동 조사 결과 제품의 편의성이 노인의 외출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승강기 및 대중교통과 같은 시설 이용의 불편이 외출 감소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노인의 일상생활 및 외출에 보행보조차의 기능개선도 중요한 요인 중 하나지만 도시적 차원의 인프라 개선 및 구축도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된다.

농촌 노인 생활인프라 접근성의 지역 간 격차 - 생활편익시설을 중심으로 - (Disparity of Access to Neighborhood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s - Focusing on Community Facilities -)

  • 김현중;황정임;최윤지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2호
    • /
    • pp.159-17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ditions of neighborhood facilities for the elderly,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accelerated aging phenomenon in rural areas of Korea. We contrived a new index to measure spatial accessibility for people aged over 65 years, and we analyzed spatial accessibility by focusing on community facilities: public bath facilities, beauty shops, rural public facilities, markets, big stores, and large-scale retail shops. The most outstanding spatial accessibility among community facilities was found with the rural public facilities thanks to governmental installing adequate facilities in the past, followed by the beauty shops and the public bath facilities. In contrast, spatial accessibility of the markets was in the lowest. Spatial accessibility of community facilities for the elderly exhibited high variability among the rural areas. We confirmed significant inequality of spatial accessibility in all facilities we studied. The areas that had better spatial accessibility diverse combinations of the facilities. The areas that had worse spatial accessibility were, on the whole, consistent with traditional undeveloped regions. In the near future rational planning of facilities will be needed to supply adequate accessibility in targeted areas which currently had low accessi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neighborhood facilities, the most essential factor is to take into account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patterns of rural settl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