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객 행동

검색결과 724건 처리시간 0.026초

서비스 산업의 브랜드 체험, 고객의 지각된 가치, 브랜드 지지행동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Brand Experience, Customer Perceived Value, and Brand Support Behavior in Service Industry)

  • 정진봉;김규배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91-100
    • /
    • 2019
  • Purpose - The importance of customer experiences has been increasing in retail industry as wells as theme park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brand experience, customer perceived value and brand support behavior in theme park industry. Furthermore, we tri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action with customer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brand experience and customer perceived value. Besides, we provided some implications for not only the theme park industry but also other service industries such as retail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research model has nine hypotheses, and we examined them empirically in this study. Five hypotheses were about relationships among theme park brand experiences, customer perceived value, and brand support behavior. The other four hypotheses were about the moderating effects of customer interactions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rand experiences and customer perceived value. A total of 167 samples who had visited the theme park were surveyed and the hypotheses were tested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s such as SPSS 21.0 and AMOS 21.0.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d that theme park visitors' sensory experience, emotional experience, and cognitive experience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value, although the hypothesis abou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experience and perceived value is not supported. Second, the customer perceived value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support behavior. Third, customer interaction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between brand experiences and perceived value, except for behavioral experience. Conclusions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can be following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from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First, we confirmed the importance of experiential marketing in other service industries such as retail industry as well as the theme park industry. The marketing managers in these industries need to design various experience programs consideri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s such as sensory, emotional, and cognitive experiences. Second, it will be necessary for the theme park managers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f customers, and raise the level of interaction between employees and customers.

온라인쇼핑몰 콘텐츠에서 소비자 동인이 구전마케팅의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Regarding the Effect of Consumers' Motives on Perceived Usefulness of Word-of-Mouth Marketing in Online Shopping Mall Contents)

  • 천명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19-28
    • /
    • 2005
  • 인터넷 상에서 소비자는 최소한의 노력으로 정보를 탐색할 수 있으며, 좀 더 나은 구매의사결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온라인에서 구전마케팅은 소비자의 정보탐색행동과 구매의사결정에 중요한 정보원천으로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온라인에서 구전마케팅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의 콘텐츠 중 게시판을 활용한 구전마케팅의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지각된 유용성과 정보의 질적 평가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선택 불확실성, 지각된 희생, 사회적 압력 둥의 요인이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정보의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지식불확실성은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구전마케팅을 통해 교환되는 정보의 유용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질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온라인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은 고객이 구전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온라인 커뮤니티특징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의 성별과 자기해석 수준차이를 중심으로 (Effects of Online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Customer Reaction - Based on the Differences of Customer's Gender and Self-Construal Level)

  • 신종국;문민경;김재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261-273
    • /
    • 2018
  • 본 연구는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특징이 자기 해석 수준 및 성별 차이에 따라 고객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온라인 커뮤니티의 특징으로 상호작용성, 목적성, 정보제공, 활동보상으로 나누어 실증연구를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온라인 커뮤니티의 특성 중 상호작용성과 활동보상은 브랜드 커뮤니티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목적성과 정보제공의 효과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가 브랜드 커뮤니티에 대한 몰입이 강할수록 구전효과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호의존적 자기 해석 수준을 갖고 있는 소비자는 독립적 자기 해석 수준을 갖고 있는 소비자에 비해 보다 더 높은 브랜드 커뮤니티의 몰입을 보였으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높은 브랜드 커뮤니티 몰입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자기해석이라는 내재적 동기를 알아봄으로써, 기업들에게 브랜드커뮤니티를 통한 효율적인 마케팅 접근법을 제시한다.

ICT 기반 관광옴니채널에 대한 고객행동분석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통합기술수용모형의 변수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n Customer Behavior of Tourism Omnichannel based upon ICT)

  • 박현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95-10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옴니채널의 통합기술수용모형기반 수용태도에 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즉, 통합기술수용모형요인에 대한 인구통계적 특성별 차이 혹은 유사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이론에 근거한 가설을 설정하여 설문조사를 통한 결과에 의거해서 가설검증을 하는 것이다. 통계방법으로는 통합기술수요모형 요인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도를 파악한 후 인구통계적 특성별 차이검증을 위한 t-Test와 ANOVA 통계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1) 관광옴니채널 수용태도에 대한 성별, 연령별, 학력별, 직업별 등에서 차이가 부분적으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관광옴니채널 수용태도에 대한 선호 관광정보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비중이 균등한 표본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로서 성과기대와 노력기대에 대한 30대의 높은 정도의 긍정은 괄목할 만하다. 이는 향후 관광옴니채널 연구확산의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부정적 후기가 음식점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맛집 추천 앱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the Effect of Negative Reviews on User Decision in Restaurant Recommendation Apps)

  • 윤혜정;최지연;이중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418-426
    • /
    • 2015
  •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맛집 추천 앱을 통해 음식점을 선택하며, 이용자 후기를 중요한 의사결정 정보로 활용한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앱 서비스 제공자와 광고주는 이용자 후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는 있으나, 다양한 이용자 후기가 실제적으로 고객의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이해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부정적 이용 후기를 중심으로 음식점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의사결정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맛, 서비스, 분위기의 부정적 이용 후기 속성에 따른 3가지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 이용 후기의 속성에 따라 음식점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을 확인하였으며, 의사결정 유형에 따라 부정적 이용 후기의 영향이 다른 것을 부분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맛집 추천 앱 서비스 제공자와 광고주가 부정적 이용 후기에 대한 적절한 관리 방안 수립 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추정소득 분석을 통한 S카드사의 잠재가치 기반의 고객관리 전략 (New Strategy of Potential-Based Customer Management: A Case of S-Card's ECI Approach)

  • 박진수;장남식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129-147
    • /
    • 2007
  • 2002년 신용대란 전후 S카드사는 결제능력 및 신용도의 적절한 측정을 통한 리스크 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회원 신용평가에 있어 소득을 고려하고자 하는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 보다 개선된 리스크 관리를 위해 잠재가치, 즉 소득을 추가로 고려한 다차원 평가체계로 회원을 파악하자는 것이었다. 그 이전까지 S카드를 비롯하여 모든 카드사는 연체속성, 입회기간, 사용상태, 한도소진율 등의 내부의 행위요소(behavioral factor) 자료와 외부 신용평가사에서 획득한 회원 등급이나 금융거래 내역 등에 의존하여 한도를 부여했다. 그러나 이 같은 방식은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행동패턴에 기반한 것으로서 회원의 객관적 능력범위를 가늠하는 데 어려움이 따랐고 결과적으로 리스크 관리의 한계로 이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S카드사가 어떠한 방식으로 회원의 소득을 추정하였고 그 결과를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금융기관 리스크 관리 정교화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식당의 인지된 서비스 품질이 고객 만족도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신뢰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in Korean Food Restaurants up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s of Trust)

  • 정효선;송민경;이선령;강옥구;윤혜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45-556
    • /
    • 2009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in Korean food restauran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trust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both the relations of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behavioral intention. Based on total 303 samples obtained from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reviewed the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verified a total of 5 hypotheses using the Amos program.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model were tested simultaneously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proposed model provided an adequate fit to the data, $X^2{_{(df131)}}$ = 536.566, p<.01, RMR .126, GFI .841, NFI .896, CFI .919, RMSEA .101. The SEM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beta}$= .823, t = 9.392, p<.001)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rus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rust, and trus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beta}$ = .730, t = 14.202, p<.001) and behavioral intention(${\beta}$ = .239, t = 3.362, p<.001). Also, custom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beta}$ = .509, t = 6.978, p<.001).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in Korean food restaurants upon behavioral intention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y the trust.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불만족이 고객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Dissatisfaction on Consumer Behavioral Response in Smartphone Application Service)

  • 김용희;최정일;진영호;이동원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59-371
    • /
    • 2012
  • Purpose: Due to the explosive growth and widespread use of smartphones, new business opportunities are emerging. Despite the importance of creating customer value i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past studies on have mainly focused on functions or factors and specifications that influence users to use the device. Methods: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how customer dissatisfaction from the use of smartphone application services affects customer sentiment and behavior. The research model is tested via a survey of 290 smartphone application users. Results: The result of this empirical study indicates that customer dis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s the user's disappointment and regret in using a service, which are subordinate values of customer emotion. The user's anger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Negative word of mouth' and 'Complaint', which are subordinate values of customer behavior, but not with an intention to switch to another service. 'Regret' and 'Disappointment'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Negative word of mouth' and 'Switching intention', but not with 'Making direct complaints'. Finally, customer's negative sentiments are a significant intermedia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dissatisfaction and behavioral response. Conclusion: Finally, the study offers a more systematic understanding on the phasal response process of customer dissatisfaction in relation to the provision of smartphone application services.

국내 의류제품 고객은 가격할인을 기다리며 구매를 늦추는가? (Do Consumers, Buying Apparel Product Postpone Purchase in the Belief of Price Break?)

  • 이윤경;황선진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81-103
    • /
    • 2005
  • 이 연구는 빈번한 가격할인을 하고 있는 국내 의류시장에서 소비자들이 가격이 떨어질 것을 기대하여 제품의 구입을 늦추는 '가격기대효과'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지금까지의 가격연구에서는 규범적 행태적 서술적 연구 등 각 분야의 영역을 접목시킨 통합적 접근이 미진하여 소비자의 심리적 요인을 가격책정에 반영한 시도가 드물었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 하는 가격과 판매량의 관계를 살피는 동태적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규범적 연구와 행태적 연구를 접목시켜 의류제품의 가격기대효과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의류제품에 적합한 동태적인 가격기대효과 모델을 수립하였으며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백화점의 여성복 판매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의류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에게 가격기대효과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밝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패션제품의 가격변화에 따른 소비자들의 독특한 구매행동을 반영한 것으로 기존의 동태적 가격연구의 범위를 넓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고객세분화 및 e-CRM 전략제안 (Consumer Segmentation by Lifestyle and Development of e-CRM Strategies)

  • 고은주;권준희;윤선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47-85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of the online shoppers particularly using online clothing shopping mall and to analyze the key factors of both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of their purchase and to compare the both group by lifestyle segmentation in order to provide the e-CRM strategies. Focus group interviews and survey were conducted in December, 2003 with 30 online shoppers who have an experience of online clothing purchasing. The data analysis included the content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K-means and factor analysis. Key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nline shoppers spent average 3.5 hours on internet and usually purchased clothing while surfing the web. Second, consumers were satisfied with reasonable price and customized service but dissatisfied with delayed delivery, limited product availability in both size and color and return policy. Third, according to the lifestyle segmentation, online shoppers could be characterized as 'Luxurious', 'Trendy' and 'Prudent' 'Luxury-oriented consumers', who value fashion, diet and social activity, tended to purchase basic yet high quality products. However, 'Trend-oriented consumers', to whom fashion trend was most important, purchased various latest fashion products with reasonable price and showed generally positive response to emails sent by e-retailers. And lastly 'Prudence-oriented consumers', whose buying decision was based solely on practicality, appeared to be reluctant to purchase clothing online while seeking more credible information and competitive price.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helps promote relationships between customers and e-retailers by providing differentiated e-CRM strategies through each customer groups 'lifestyle segmentation and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