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획정비

Search Result 80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Study on Deriving the Items related to Investigation and Planning for th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of Scenic Sites (명승 종합정비계획 수립을 위한 조사 및 계획 항목의 도출에 관한 연구)

  • Lee, Jae-Yong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1 no.3
    • /
    • pp.88-10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cavate the items of th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for scenic sites considering sustainability and analyze the needs of them. In this sense, based on 35 reports of th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established between 2006, when scenic sites started to be designated, and 2017, the items used in 'investigation field' and 'planning field' were examined, and then a survey regarding the needs of the items was conduct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targeting officials at 60 local governments in the whole country. Of 60 local governments, opinions from 48 officials at 45 local governments were analyzed. In order to verify the consistency of their opinions,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0.968 and 0.970 for 'investigation field' and 'planning field', respectively, showing high reliability. As a result of the survey, most opinions generally expressed the needs of 6 items of 'investigation field' of th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Especially, the needs to investigate 'historical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humanistic environment', and 'landscape' turned out to be high. In addition, as for 'general environment' and 'users', the needs of specific items such as 'distribution of main cultural properties and historic sites' (4.04) and 'acceptance of opinions from local residents and interested parties' (4.15) were found to be high. Besides, the items of 'planning field' also turned out to be needed in general (4.0). Particularly, the needs of 'enhancement of designated value and status' (4.26) and 'th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for designated areas of cultural properties and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areas' (4.25) in 'historical environment', 'maintenance of historic buildings at scenic sites' (4.28) in 'humanistic environment', and 'landscape trail planning' (4.28) in 'landscape' were found to be high. In conclusion, the practical items related to investigation and planning of th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for scenic sit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ffect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cenic sites in the future.

Investment Priorities of Downstream River of Dam using PROMETHEE (PROMETHEE를 이용한 댐 하류하천 투자우선순위 결정)

  • Sun, Seung-Pyo;Kim, Gil-Ho;Yi, Chung-Sung;Shim, Myu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817-821
    • /
    • 2010
  • 댐 하류하천 정비사업을 계획함에 있어 사업의 투자우선순위 결정시 의사결정의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어려움을 지원하고자 다기준의사결정기법 가운데 하나인 PROMETHEE를 활용하여 투자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댐 하류하천 19개에 대한 투자우선순위를 검토하기 위한 평가기준으로서 용수공급량 회복, 발전량 회복, 계획방류량 회복, 치수경제성 분석, 환경생태기능 개선, 잠재적 홍수피해도, 홍수방어능력 취약도를 고려하였고, PROMETHEE 시행 결과 평림댐 하류하천에 대한 정비사업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19개 댐 하류하천에 대한 투자우선순위 결과는 향후 댐 하류하천 정비사업 계획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nsensus Building Model of River Management Procedure (하천관리에 있어 의사합의 형성 모델)

  • Hong, Gil-Pyo;Han, Man-Shin;Kim, Kwa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76-38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하천정비에 있어 구상, 계획, 설계, 사업, 운용 유지관리의 각 단계에 따른 대응에서 의사 합의 형성의 목적과 논의의 대상을 정하고, 객관적이며 합리적인 합의 형성 방법을 선택하는 모델로서 "안전", "이용", "환경" 이라고 하는 3요소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종래의 제도로써 계획의 절차, 환경평가, 행정소송, 의회제도에 새로운 대응으로써 공공사업의 구상 단계에 있어서 주민 참가 절차 등을 고려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향을 조정하고, 원할한 합의 형성을 추진하면서, 대상 사업 등을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게 끌어가기 위한 합의 형성에 관한 종합적인 producer의 필요성을 논한다. 끝으로 이 모델에 의거한 4대강 정비사업에 대한 예비 전문가 그룹의 의사결정의 관점을 합의 형성 이론과 테크닉으로써 분석결과, 4대강 정비사업에 대하여는 3요소간의 우선순위가 "안전", "환경", "이용" 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용" 에 우선순위를 둔 경부대운하 사업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를 뒷받침하고 있다. 또, 전통적인 유역하천에 대하여는 "환경" 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시민의 환경에 대한 높은 관심을 표현하고 있다. 끝으로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파악하기 위한 3요소 모델의 의사합의 형성내용을 하천정비사업이나 관리에 적용하여 실현시키기 위하여 하천정비사업에도 "유니버설디자인" 수법의 도입을 제언한다.

  • PDF

Public-Private Collaboration Process for Planning Phase of Urban Renewal Projects (도시환경정비사업 계획단계 민.관 협의 프로세스 도입 방안)

  • Lee, Jong-Kweon;Park, Hyeon-Soo;Koo, Kyo-Ji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2 no.3
    • /
    • pp.22-30
    • /
    • 2011
  • In the planning phase of domestic urban environment maintenance and improvement projects, a particular problem is the increase in service expenses and project cost with the establishment of plans under circumstances that exclude the residents or have incomplete consent from them and the public organization. This delays the promotion of the project. This study aims to resolve such problems by proposing a measure to introduce a privatepublic consultative body for residents and the relevant departments of the public sector, to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and establish plans together from the beginning.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mooth promotion of the project, as it would remove the conflicting factors that are expected to be generated in the project implementation phase before they could emerge.

Deducting Core Parts of ROK Naval Ship's Engine Based on SNA (SNA 기반의 해군 추진엔진 예방정비 요소 도출)

  • Yoo, Jung-Min;Yoon, Soung-Woong;Lee,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419-422
    • /
    • 2019
  • 해군은 계획된 함정 수리기간을 통해 성능 유지를 위한 장비 정비를 수행한다. 함정의 수리기간이 한정되어있고, 장비는 많은 정비 대상 구성품으로 이루어져 통상의 경우 성능이 저하된 구성품을 미리 선정하여 일부분에 대해서만 정비가 수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SNA 분석을 통해 함정 수리 시 정비 대상 구성품을 더욱 효과적으로 선정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정비가 수행된 개체를 확인하고 이를 예방정비를 위한 정비요소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정 모델을 샘플로, 도입시부터 ${\bigcirc}{\bigcirc}{\bigcirc}{\bigcirc}$년까지의 정비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 PDF

A Characteristics of Maintenance Planning of Trees in Historical Landscape Forest of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조선왕릉 역사경관림 수목 정비 계획의 특성)

  • So, Hyun-Su;Lee, Jong-Ke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3
    • /
    • pp.88-99
    • /
    • 2018
  • After UNESCO appointed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to be World Cultural Heritages(2009),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 Korea established Management Office of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2012) and conducted Mid to Long-Term Plan on Conservation, Management, Utilization of World Heritag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2015)'. The report, as an implementation plan, provides detailed contents of the maintenance planning of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is background, with a view to comprehe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tenance planning of trees in historical landscape forests, this study extract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historical landscape forests of the 40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Mid to Long-term Plan" and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2016, the short-term plans have provided detailed contents on logging, transplanting and planting trees in the plans divided by stages. On the other hand, the long-term plans, instead of presenting abstract contents repeatedly for each royal tomb, should seek vegetation landscape that each royal tomb should aim for. Second, since the areas that are in charge of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royal tombs have been subjects to the maintenance planning, it is effective to establish a maintenance planning by separating functional areas instead of the comprehensive concept as historical landscape forests. Third, the maintenance planning of trees in historical landscape forest of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is based on daily management such as density control and maintaining the shape of trees, which is necessary to sustain the forest. Also, due to the goal of preserving the pine forest, which is recognized as a prototype vegetation landscape, foreign species and other trees have been more cut down. With a few limited types of tall tree but few shrubs and flowers, it is characterized that the orientation toward aesthetic landscapes is insufficient in large green spaces. Fourth,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tomb, it is divided into entrance area, ceremonial area, burial area and outer forest, and the contents of the maintenance planning are analyzed by basic conditions of tree management: prototype, ecology,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After studying the tree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four suggestions are made: understanding the diversity of trees that form prototype landscape as a management plan, sustainability of various forests adapted to ecological environment, convenience required in addition to ceremony and safety characterizing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and the necessity of access to aesthetic landscape on the tombs.

A Study on the Village Improvement Plan by Typological Analysis of Greenbelt-lifted Villages (개발제한구역 해제취락 유형분석을 통한 취락정비방안 연구)

  • Yoon, Jeong-Joong;Choi, Sang-Hee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4 no.1
    • /
    • pp.77-87
    • /
    • 2013
  • About 1,800 villages have released from Greenbelt since Greenbelt-reform-policy for readjustment of the area was promoted after 1997. Even though the government intended to attract planned development & improvement of these lifted villages through District Unit Plan and designating the lifted area as low-rise and low-density zon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eenbelt region,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to be solved: a lack of funds, insufficient capability for self-improvement and unexecuted SOCs in long-term etc. It seems that these problems are caused by focusing on the lifting areas itself instead of researching deeply the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s and searching proper direction/plans of improvement before lifting Greenbelt In addition, the existing plan of village improvement and management was not considering physical and spaci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s,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of residents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villages and surrounding cities, though these conditions are different among each villages, and the related regulations are applied uniformly across all the villages and those have been causing many civil appeals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se respects,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problems of the lifted villages using the existing researches on them and to make typology by characteristics-data of the villages and to establish improvement strategies of each types. In this study, the villages were classified into 5 type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on 424 villages among all 1,800 through variables of locational potentiality : location, accessibility, size and form of village, condition of regulations etc. According to function of the villages, they were divided into 4 types: urban-type, rural-type, industrial-type and neighborhood-centered-type. This study also drew 4 improvement-strategy-types by combination of locational potentiality and village-function : type of improving life-environment, type of improving production-infra, type of inducing-planned-improvement and type of constructing center-of living-circle.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s of the each 4 types to desirable improvement and management which could be used to make and complement plans for village improvement.

A Critical Review of Waterfront Maintenance Plan for Urban Development - Focused on Waterfront Development - (도시개발에 따른 친수공간 정비계획의 재고찰 - 워터프론트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 Choi, Jin-Do;Park, Sung-Je;Ryu, Si-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65-969
    • /
    • 2012
  • 도시의 개발을 통한 발전방향은 지역별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대의 흐름과 문화, 경제, 도시정책 등에 따라 다양하다. 특히, 워터프론트는 도시와 가장 근접한 친수공간으로 단어자체에 도시'라는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즉 도시가 큰 강이나 바다, 호수 등과 접하고 있는 공간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도시계획차원에서 도시 수변공간(urban waterfront)으로 설정하고, 레크레이션, 공원, 경관형성, 환경오염 저감, 정서함양, 생산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는 매우 공공성이 높은 도시지역의 주요 공간지역으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워터프론트를 개발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교통계획, 홍수 등의 재해시설, 환경 등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한국일보, 2011), 개발 계획 추진은 주민 공감대 형성, 사업타당성 검토 없는 '밀어부치기식' 개발 지상주의로 전락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워터프론트 개발사업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지역으로 인천 송도지역과 부산의 수산시장으로 유명한 자갈치시장 일대의 개발계획, 마산 도시재생지구의 항만 재개발계획 사례를 분석하여 개발계획의 문제점과 언론상에 비춰지는 개발의 현 실태, 지역개발의 효과 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사례지역을 비롯한 대부분의 기존 워터프론트 개발은 경제성을 위해 규모가 큰 상업시설 위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거시설이나 문화시설을 비롯한 다양한 시설의 구성이 부족한 특수성을 갖추어 가고 있다. 또한, 기존의 유휴공간을 재개발하면서 도시와의 관계를 제대로 설정하지 못하여 도시와 분리된 폐쇄공간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시구조에 통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무엇보다 워터프론트 개발사업에 관계된 여러 집단들, 즉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개발주체, 시민 등 이들 사이에 합의 도출의 어려움이 많아 좋은 계획안이 무산되거나 사업이 지체 혹은 중단되는 사례가 많았다. 워터프론트 개발에 대한 지역민사회의 충분한 공감대가 결코 형성되지 않았음에도 오히려 요식적 여론수렴 절차를 강조하고 있으며, 친환경적 도시개발이라는 사업의 목적과 맞지 않는 계획이 많았다. 특히, 관련 사업 중 항만재개발사업에는 막대한 초기 투자비가 소요되어 재개발사업을 위한 자금의 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많이 있었으며, 도시의 장기발전계획과 통합된 장기적인 개발전략이 필요한데 이를 소홀히 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워터프론트 개발계획의 문제점과 향후 정비계획이 추구해야 하는 친수구역의 관리방법, 주민참여 방안의 대안제시가 이루어 질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친수공간 정비계획을 재 고찰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 PDF

`94 원전 운영 실적

  • 홍주보
    • Nuclear industry
    • /
    • v.15 no.2 s.144
    • /
    • pp.15-21
    • /
    • 1995
  • 값싸고 질좋은 전력의 안정적 공급노력은 지속적으로 추진되었으며, 계획예방정비기간의 조정, 정비기간의 단축 등 공급능력 증대와 고장정지 예방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과 중국 광동원전 기술인력 지원 등 1994년은 원전기술 수출의 원년의 해로 원전기술을 세계적 수준으로 올리는데 성공적인 한해였다고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Patter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도시재생사업 유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시 도시정비예정구역을 대상으로 -)

  • Cho, Boung-Ho;Lim, Young-Teak;Choi, Bo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26-228
    • /
    • 2009
  • 본 연구는 대전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이 수립된 지 2년여가 경과하였고 목표연도(2010년)가 다다른 시점에서 도시재생 취지에 맞게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예정구역을 평가 분석하고,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으로 유형화의 필요성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첫째, 도시재생 관련 선행연구와 도시재생 사례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대전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에 대해 분석한 후, 기존의 물리적 환경에 의해 구분되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끝으로 도시재생의 취지에 맞도록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 문화적 환경의 특성을 고려하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유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