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통학적 연구

검색결과 777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산 해산 해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8. 사축해면류 (A Systematic Study on the Maine Sponge in Korea 8. Tetractinomorpha)

  • 심정자;김희영;변효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1호
    • /
    • pp.123-144
    • /
    • 1990
  • 한국산 사축해면류의 분류학적 연구를 위해 1988년부터 1989년 10월까지 삼면연안과 14개 도서지방에서 채집된 표본과 그 동안 한남대학교 생물학과에 미해결종으로 보관되어 있던 표본들을 동정, 분류한 결과 4과 8속 15종이 분류되었다. 이중 10종은 한국 미기록종이고 5종은 신종으로 밝혀졌다. 한국 미기록종과 신종에 대하여만 특기 또는 기재와 도판을 첨가하였다.

  • PDF

동위효소와 수용성단백질 분석에 의한 한국 초파리아속 10종의 계통 (Phylogeny of Subgenus Drosophila (Drosophilidae: Drosophila) in Korea by Allozyme and Soluble Protein Analysis)

  • Eun Young Joo;Nam Woo K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9권2호
    • /
    • pp.217-225
    • /
    • 2003
  • 한국산 초파리과의 계통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초파리아속에 속하는 10종을 대상으로 동위효소와 수용성 단백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동위효소와 수용성 단백질 분석결과 D.(D.) angularis와 D.(D.) brachynephros가 유전학적으로 가장 가까운 종이었으며, D.(D.) curvispina와 D.(D.) tsigana 사이는 유전적 거리가 가장 먼 종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초파리아속 10종은 D.(D.) virilis, D. (D.) tsigana, D. (D.) lacertosa의 제1군과 D. (D.) angularis와 D. (D.) hrachynephros, D. (D.) unispina와 D. (D.) curvispina, D. (D.) takadai와 D. (D.) kuntzei. 그리고 D (D.) nigromaculata의 4개의 아군으로 이루어진 제 2군으로 나눌 수 있다.

계통발생에 따른 각종 척추동물의 췌장 내분비세포에 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1. 포유강 및 조강에 관하여 (Immunocytochemical Studies on the Pancreatic Endocrine Cells of Phylogenetically different Vertebrates I. Mammalia and Aves)

  • 김남중;권혁방최월봉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52-367
    • /
    • 1991
  • 척추동물 11목 21종의 췌장에서 insulin(B)세포, glucagon(A)세포, somatostatin( D)세포 및 pancreatic polypeptide(PP)세포 등을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으로 동정하여 이들의 출현율, 분포양상 및 형띨 등을 계통별로 비교하였다. 포유강에서는 전형적인 췌도를 형성하였고, 조강에서는 대 ·소췌도로 구분되었다. 내분비세포의 크기는 계통간의 차이가 있어서 B세포와 PP세포는 포유강의 것이 조강의 것에 비해 윤으나, A세포와 D세포는 그 반대이었다. 세포의 모양은 B세포의 경우 두 강에서 대체로 원형 및 난원형이었고, A세포와 D세포는 원형, 난원형 및 방추형이었다. PP세포는 방추형 및 난원형이 대다수 이었으며 간혹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모습도 나타났다. 세포들의 출현율은 두 강에서 모두 B세포가가장 많았고, A, D및 PP세포 순으로 낮아졌다. B세포는포유강이 조강보다높았고, A, D및 PP세포는조강이 포유강보다 많았다. B세포는 조강의 경우 대췌도 주변부와 소췌도 중앙부에 분포하였고, 포유강에서는 중앙부에 균등하게 분포하였다. A와 0세포는 포유강에서 주로 췌도 주면부에 분포하나, 조강에서는 췌도중앙부에 위치하였다. PP세포는 두 강에서 대부분 췌도 주변부에 위치하였다. 일반적으로 두강에서 모두 외분비 선포조직에서도 내분비세포들이 출현하였으며 일부 종에서는 췌관상피에서도 내분비세포들이 드물게 나타났다.

  • PDF

감나무 부엽토에서 분리한 Phialophora sessilis에 대한 보고 (First Report on Phialophora sessilis Isolated from Leaf Mold of Diospyros kaki in Korea)

  • 박상규;이승열;이향범;정희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8-121
    • /
    • 2016
  • 경상북도 상주시에 서식하는 감나무 주변의 부엽토로부터 국내에 아직 기록되지 않은 진균을 분리하였다. 형태학적 및 계통학적 분석을 통해 분리한 균의 동정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해당 균은 Phialophora sessilis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P. sessilis가 국내에 존재함을 최초로 보고하였다.

라오스 Promalactis속(나비목: 원뿔나방과)의 미기록 1종 보고 (A Newly Recorded Species of Genus Promalactis Meyrick (Lepidoptera, Oecophoridae) from Laos)

  • 김소라;배양섭;이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235-239
    • /
    • 2021
  • 본 연구를 통해 라오스지역에서 분포하는 미소 나방인 Promalactis vittapenna종을 처음으로 기록하였다. 미기록 종의 분류학적 진단과 분포정보, 성충과 생식기 도해사진을 제시하였다. 또한, 라오스 전체 종에 대한 분류학적 키를 함께 제공하였다.

형태형질에 기초한 동아시아산 황기속 식물의 계통분류 (Phylogenetic study of East-Asia Astragalus L.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 송일배;허권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91-201
    • /
    • 2014
  • 동아시아산 황기속의 외부형태학적 특징과 과피, 종피의 해부구조 및 표면 형태를 조사하여 분류학적으로 유용한 형질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황기속의 외부형태, 과피, 종피의 형태 및 해부학적 특징 중 생활사, 소엽의 형태, 꽃차례, 꽃잎의 색, 종자의 색, 과피의 형태, 과피 표면에서 털의 존재유무, 봉선의 구조, 그리고 내과피 층의 두께가 종을 나누는 식별형질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에서 황기라는 약재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4종의 형태 및 해부학적인 특성을 비교한 결과, 서로 같은 군으로 유집되었다. 한편, 분류학적으로 논쟁이 되고 있는 정선황기와 갯황기에서는 두 분류군간에 형태적 차이점을 발견 할 수 없었다. 따라서 금후 정선황기, 갯황기, A. bhotanensis의 종간 분류학적 처리를 명확히 규명하기 위하여 염기서열 및 분자세포학 수준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산 참나무속 식물의 화분단백질분석에 의한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ies on Korean Oaks-Quercus- by Pollen Protein Analysis)

  • 이유성;조무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4권4호
    • /
    • pp.217-231
    • /
    • 1981
  • 본 연구는 화분단백질을 대상으로 Quercus속 기본종간의 grouping 확인과 그들간의 유사도를 혈청학적 방법으로 결정하고, rocket immunoelectrophoresis의 기술적 가치와 계통분류학적 가치를 논의하였다. 전반적인 정량적, 정성적 data로 보아 Quercus속이 Fagus속과는 멀리 분리되고, Quercus 속내에서는 Cyclobalanopsis 아속이 Lepidobalanus 아속으로부러 뚜렷하게 분리된다. 그러나 Cyclobalanopsis아속이 독립된 속계급까지의 승격은 보증되지 못한다. Lepidobalanus아속에 속하는 종들로 생산된 면역혈청은 같은 아속내의 종들과의 반응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특히 Q. aliena, Q. donarium, Q. serrata는 혈청학적 유사도에 있어서 상호일동으로 나타났다. Q. acutissima는 상기한 종들로부터 약간 멀어진 것 같고, 잡종인 Q. acutissima$\times$variabilis와는 거의 동일성을 나타냈다. 본 계통분류학적 연구에 이용된 rocket immunoelectrophoresis는 새로운 기술로서 그 가치가 증명되었다. 단백질 유사성의 정도를 얻기 위하여 이 기술이 응용되었는데, 모든 rocket height의 총 합계로 결정되었다

  • PDF

음용 지하수중에 분포하는 저영양세균의 계통학적 해석 (Phylogenetic Analysis of Oligotrophic Bacteria Found in Potable Groundwater)

  • 김인기;;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93-298
    • /
    • 2002
  • 다양한 농도의 영양배지(nutrient broth, NB; diluted nutrient broth, DNB)를 이용하여 음용 지하수중의 세균수를 계수한 결과, 통상농도의 NB배지에 비해 저영양배지인 DNB배지에서 2~50배 이상 높은 계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지하수중에는 NB배지에서는 중식이 현저히 저해되고 DNB배지에서만 중식이 가능한 저영양세균(oligotrophic bacteria)이 다수 분포하고 있음이라 판단되어 DNB배지로부터 184균주의 저영양세균을 분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판 음용수(CW, CJ )와 광천수(DPG, CJG1)에서 분리된 저영양세균 102 균주의 165 rDNA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계통분류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세 개의 주요한 계통군: Proteobacteria $\alpha$-subdivision (49 균주), $\beta$-subdivision (50 균주), $\gamma$-subdivision (3 균주)으로 분류되었다. Proteobacteria $\alpha$-subdivision에는 Afipia, Blastobacter, Bradyrhizobium, Caulobacter, Phenylobacterium, Rhizobioum, Sphingomonas가 포함되었으며, $\beta$-subdivision에는 Acidovorax, Azonexus, Ferribacterium, Janthinobacterium, Leptothrix, Polaromonas, Variovorax가 포함되었고, $\gamma$-subdivision에는 Rhodanobacter 등 다양한 계통군이 확인되었다.

ITS 서열에 의한 한국 왕대속 식물종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Phylogenic Study of Genus Phyllostachys (Phyllostachys) in Korea by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 (ITS))

  • 이송진;허만규;허홍욱;이병룡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281-1287
    • /
    • 2011
  • 왕대속은 벼과 또는 화본과에 속하는 다년생 목본성 초본이며 아시아의 인도와 중국에 많은 종이 주로 분포한다. 식물에서 속간 속내 계통관계 추론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는 ITS 부위가 있다. 이 속에 속하는 우리나라 자생 식물 왕대 속내 네 식물종 간 계통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핵 게놈의 ITS 부위로 평가하였다. DNA 서열 배당은 많은 갭(gaps)을 가지고 있었다. 이 속 내 서열 변이는 일부 삽입과 결실이 발견되었고 속내 종간 변이는 자연도태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속의 오죽과 분죽은 세 계통도(MP, ML, and NJ)에서 모두 같은 분지군을 형성하여 가장 근연관계에 있었다. 기존의 형태학적 특성과 단순 반복 서열(ISSR)의 결과와 유사한 계통 관계를 나타내어 왕대속에서 ITS의 서열이 이들 분류군에 매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ITS 염기서열에 의한 복수초속 복수초절(미나리아재비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Phylogenetic study of the section Adonanthe of genus Adonis L. (Ranunculaceae) based on ITS sequences)

  • 손동찬;박범균;고성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2
    • /
    • 2016
  • 복수초속 복수초절 식물 12종 1변종과 4종의 외군을 대상으로 복수초절 내 분류체계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각 분류군 간의 유연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계통수 제작 결과 분석에 포함된 복수초(A. amurensis Regel et Radde) 7개체 중 일본에서 채집된 2개체가 일본 고유종인 가지복수초(A. ramosa Franch.)와 더 가까운 유연관계를 보였다. 이는 복수초가 단계통군이 아님을 말해주며, A. amurensis의 분류학적 정체성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암시한다. 국내에서 흔히 가지복수초로 동정되고 있는 개복수초(A. pseudoamurensis W. T. Wang)는 계통수 상에서 독자적인 그룹을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따라서 개복수초를 가지복수초와 같은 종으로 보는 견해를 뒷받침하지 않았다. A. shikokuensis Nishikawa et Koji Ito, 세복수초(A. multiflora Nishikawa et Koji Ito), 및 개복수초를 대표하여 분석에 포함된 개체들은 하나의 분기군(clade)을 이루었으나 각 종은 계통수 상에서 명확히 구분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ser. Amurenses와 ser. Coeruleae가 다계통군을 이루거나 측계통군을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복수초절을 4개의 열(series)로 분류한 Wang의 분류체계는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