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통발생분석

Search Result 854,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Development of Evaluation Simulator System of Green Energy using the LabVIEW Software (LabVIEW를 이용한 신에너지전원 평가 시뮬레이터의 개발)

  • Kim, Byung-Ki;Rho, Dae-Seok;Kim, Chan-Hyeok;Wang, Yong-Pee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77-8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배전계통에 신에너지전원 연계로 인하여 발생하고 있는 정상상태와 전력품질에 대한 문제점을 LabVIEW를 이용한 신에너지전원 평가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여 분석한다. 종래의 배전계통에 있어서의 전력조류는 변전소에서 선로말단을 향한 단방향이었지만, 신에너지전원이 연계된 경우에는 그 출력용량의 여부에 따라 양방향의 전력조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계통운용상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전원 연계에 따른 정상상태와 전력품질에 대한 문제점을 상세히 분석하기 위하여, 실계통의 특성을 모의한 신에너지전원 평가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 장치를 이용하여 역률, 선로길이, 태양광발전량의 변동에 따른 계통의 다양한 운용특성시험을 수행하여 제안한 평가 시뮬레이터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Mis-Function Analysis of Re-closer Based on the Matlab/Simulink (Matlab/Simulink를 이용한 리클로우저의 오동작 해석에 관한 연구)

  • Kim, Chan-Hyeok;Rho, Dae-Se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72-75
    • /
    • 2008
  • 기존 배전계통에 있어서의 조류는 변전소에서 선로말단을 향한 단방향이지만,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계통의 경우에는 그 출력 용량의 여부에 따라 양방향의 전력조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계통운용상 여러가지의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특히, 태양광발전이 배전선로에 연계되어 운전되는 경우, 동일 뱅크의 타배전선로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태양광발전이 연계된 건전한 배전선로의 보호협조기기(리클로져)가 오동작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실 계통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건전한 선로의 부하가 정전을 경험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ATLAB/SIMULINK을 이용하여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상기의 보호협조기의 오동작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 PDF

Analysis of Trapped Charge for Reclosing using EMTP (EMTP를 이용한 선로 재폐로시 포획 전하의 영향 분석)

  • Shin, M.H.;Yeo, S.M.;Kim, C.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942-1943
    • /
    • 2007
  • 전력 계통에서는 순간적인 고장을 제거하고 양질의 전력공급을 지속시키기 위해 재폐로가 사용된다. 계통에서 고장검출 이후 차단기가 개방 되면, 전송 선로에 포획전하가 발생하여 높은 잔류 전압을 발생 시키고, 이러한 포획 전하는 선로의 재폐로시 과전압, 과전류를 발생시킨다. 재폐로시 포획 전하에 의한 과전압은 pre-insertion 저항을 삽입함으로서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포획 전하에 의한 영향을 EMTP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 PDF

Study on the Harmonic Emission Limit for Low-Voltage Electrical Equipment (IEC 저압 전기기기 고조파 유출제한 기준 분석)

  • Kang, Moon-Ho;Park, Yong-Up;Song, Yang-Hya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390-391
    • /
    • 2008
  • 배전계통의 고조파(Harmonics) 방해현상은 배전계통에서 전압강하와 함께 순시전력의 품질저하로 나타나고 있어 전력회사 및 고객 모두에게 막대한 손실을 주고 있어 동 분야에 대한 기준 제정을 통한 적극적인 대책이 절실히 필요하다.[3][4] 최근 고조파로 인한 중성선 및 NGR(Neutral Ground Reactor) 과열, OCGR 오동작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수립이 요구되고 있으며, PL(Product Liability)법이 시행됨에 따라 전기품질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 마련이 요구된다.[5][6]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IEC 국제규격을 통해 규제기준치를 설정하고 저압 전기기기에서 발생되는 고조파를 규제하고 있으며, 국내의 저압 전기기기로부터 발생되는 고조파를 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당 16A이하에 해당하는 IEC 고조파 유출제한 기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클래스 A등급의 저압 전기기기의 고조파 유출제한 기준은 저압계통의 기준 임피던스와 허용 최대전압을 바탕으로 계산되었으며, 기타 등급의 전기 기기들도 클래스 A의 유출제한 기준을 바탕으로 산출되었다.

  • PDF

Analysis of PLL Dynam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Zero Voltage Conditions of Single-phase Grid-connected Inverter (단상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영 전압 사고 위상에 따른 PLL 동적 특성 분석)

  • Lee, Taeil;Lee,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80-82
    • /
    • 2019
  •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으로 대표되는 분산형 전원이 계통에 연계됨에 따라 계통 사고 발생 시에 계통연계형 인버터에 대한 각국의 계통 규정(Grid code)이 더욱 엄격해 지고 있다. 최근 국외 계통 규정에서는 저 전압 사고뿐만 아니라 영 전압 사고 시에 인버터가 일정 시간 계통 연계를 유지하며 무효전류 출력 기법을 통해 계통 복구를 지원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계통 사고 시, 사고 전압 잔존량에 따라 무효전류를 정확하게 출력하기 위해 인버터의 PLL(Phase Locked Loop) 제어는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PLL 제어의 동적 특성은 계통 사고 순간의 전압 강하 및 사고 위상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고 영 전압 사고에서는 위상 추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복합적인 문제가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영 전압 사고에서 사고 위상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PLL 동적 특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 PDF

Influence Analysis of Grid Connected Wind Power Generator by Line Constants (풍력발전 계통연계시 선로정수에 따른 계통 영향 분석)

  • Choy, Young-Do;Kwak, No-Hong;Jeon, Young-Soo;Jeon, Dong-Hoon;Han, Byung-Moon;Yun, Dong-J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249-250
    • /
    • 2008
  • 본 논문은 고창 전력품질 실증시험장에서 실 계통 연계를 위해 시험 중인 1.5M급 풍력발전 시뮬레이터의 선로정수를 PSCAD/EMTDC를 이용하여 모의하고 선로정수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이 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현재 고창에 설치되어있는 전력품질 실증시험장은 22.9kV 급전선에 SSTS(Synchronous Static Transfer Switch)의 한쪽 스위치로 직접 연결되어있으며 다른 한 쪽은 전력계통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형태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SSHG(Sag Swell Harmonics Generator)를 통하여 연결되어있다. 전력품질 향상기기중 하나인 DVR(Dynamic Voltage Restorer)는 SSTS의 부하쪽으로 직렬로 연결되어있으며 delta-wye 변압기를 통해 정류기 부하와 APF(Active Power Filter), 그리고 순저항부하와 유도성부하가 연결되어 있고 또한 SSHG를 통하여 연결된 배전선에는 DSTATCOM(Distribution Static Compensator)가 병렬로 연결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창에 있는 풍력발전 시뮬레이터와 동일하게 PSCAD/EMTDC로 구성하였으며 선로정수를 모델링 하기 위해 선로모델을 10Km, 20Km, 30Km, 40Km,로 설정하여 선로정수에 따른 계통영향을 분석하여 풍력발전 시뮬레이터에서 모의가능 한 선로정수 값을 제시한다.

  • PDF

Mid-loop 운전중 RHR 기능 상실사고시 최대압력 및 보조급수 공급 여유시간 분석

  • 김원석;정영종;장원표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b
    • /
    • pp.473-480
    • /
    • 1996
  • 영광 3/4호기 mid-loop 운전중 잔열제거(RHR) 기능 상실사고시 열수력적 현상을 최적 전산코드인 CATHARE2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이러한 사고시 열수력적 현상은 일,이차측 냉각재 방출유로와 계통내 비응축성 가스의 거동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2개의 경우를 모의하였는데, 하나는 계통내 방출유로가 있는 경우이며 다른 하나는 방출유로가 없는 경우를 계산하였다. 이 때 사용된 가정은 다음과 같다. (가) 계통은 부분충수 운전 상태로 상부에 비응축성 가스나 증기로 가득 차 있다. (나) 증기발생기는 1대만이 이용 가능하고 이차측은 습식보관 상태이며, 보조급수는 공급되지 않고 이차측 압력은 대기압 상태이다 (다) 사고는 원자로 정지후 2일후 발생한다. 이와같은 조건하에서 사고시 계통 최대압력은 방출유로가 있는 경우 사고후 6,000 초에 0.27 MPa이며, 방출유로를 통한 유량은 총 2.4 kg/s이다. 이 방출유량을 외삽하여 계통수위가 고온관 바닦까지 도달하는데 걸린 시간은 사고후 약 5.67시간이다. 증기발생기 U-튜브를 통한 열전달에 의해 이차측 증기 발생으로 이차측 수위가 하락하면 증기발생기 reflux cooling은 제한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이차측 수위가 U-튜브의 active 영역 상부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사고후 약 10시간으로 계산되었다. 그러므로 이 경우 보조급수 공급 여유시간보다 노심 노출시간이 더 빨리 도달하여 노심을 손상시킨다. 사고시 수위지시계는 계통감압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가능한 빨리 닫아 계통 inventory를 유지하는 것이 이차측 보조급수공급보다 우선한다.합한 설계방안으로 분석되었다.크다는 단점이 있다.TEX>$_2$O$_3$ 흡착제 제조시 TiO$_2$ 함량에 따른 Co$^{2+}$ 흡착량과 25$0^{\circ}C$의 고온에서 ZrO$_2$$Al_2$O$_3$의 표면에 생성된 코발트 화합물을 XPS와 EPMA로 부터 확인하였다.인을 명시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오류의 시발점을 정확히 포착하여 동기가 분명한 수정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셋째, 음운 과 정의 분석 모델은 새로운 언어 학습시에 관련된 언어 상호간의 구조적 마찰을 설명해 줄 수 있다. 넷째, 불규칙적이며 종잡기 힘들고 단편적인 것으로만 보이던 중간언어도 일정한 체계 속에서 변화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종전의 오류 분석에서는 지나치게 모국어의 영향만 강조하고 다른 요인들에 대해서는 다분히 추상적인 언급으로 끝났지만 이 분석을 통 해서 배경어, 목표어, 특히 중간규칙의 역할이 괄목할 만한 것임을 가시적으로 관찰할 수 있 다. 이와 같은 오류분석 방법은 학습자의 모국어 및 관련 외국어의 음운규칙만 알면 어느 학습대상 외국어에라도 적용할 수 있는 보편성을 지니는 것으로 사료된다.없다. 그렇다면 겹의문사를 [-wh]의리를 지 닌 의문사의 병렬로 분석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누구누구를 [주구-이-ν가] [누구누구-이- ν가]로부터 생성되었다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wh] 겹의문사는 복수 의미를 지닐 수 없 다. 그러면 단수 의미는 어떻게 생성되는가\

  • PDF

Evaluation Algorithm for Under-Reach of Protection Devices in Distribution System with Distributed Generation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계통의 보호기기 부동작 평가 알고리즘)

  • Kim, So-Hee;Heo, Sang-Wn;Rho, Dae-Seok;Seo, In-Y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673-674
    • /
    • 2011
  •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에 의해 배전계통에 태양광, 풍력발전 등 분산전원의 설치가 급증함에 따라 기존의 배전계통의 조류의 방향 및 고장전류, 부하전류가 변화되어 배전계통의 보호협조 운용상에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분산전원연계시 임피던스 병렬화로 보호기기에 흐르는 사고전류가 감소하는 분류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경우 보호협조를 검토하기 위한 양방향 보호협조 평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산전원이 연계된 경우 계통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중 분류 효과로 인한 보호기기의 부동작 사례를 시뮬레이션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본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Effects of Distributed Generation in Distribution System on Transmission System (배전계통의 분산전원 투입이 송전계통의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

  • Jung, Ha-Sub;Heo, Jae-Haeng;Lyu, Jae-Kun;Han, Joong-Kyo;Park, Jong-Ke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788-789
    • /
    • 2007
  • 최근 전력산업은 세계적으로 많은 변화를 거치고 있다. 기존의 수직 통합적 구조에서 나타났던 발전, 송전, 배전의 기능 또한 새로운 환경에서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새로운 산업환경에서 고객에게 양질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변화된 환경에 대한 여러 가지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새로운 경쟁환경에서 발전부문은 가장 빠르게 탈중심화되고 있으며 소규모 발전사업자들의 참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분산전원이 그 대표적인 예로, 분산전원은 선로의 손실을 감소시키고 전력수요가 급증할 경우 첨두부하를 담당하는 역할은 물론, 사고 발생 시 대체전원의 역할과 기존 송전, 배전 시스템의 성능향상을 위한 보조적 수단으로 기능하기도 한다. 반면, 분산전원은 계통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계통의 안정도를 지원하도록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계통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의 잠재적인 문제점이 예상된다.

  • PDF

DCS-GRAPHIC 설계로 인한 원자력발전소 터빈운전원의 운전능력 향상

  • 박종범;양승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401-406
    • /
    • 1997
  • 발전소 기동 및 저출력 운전시 원자력발전소(PWR) 터빈운전원(T/O)들은 증기발생기 수위제어를 위해 배전반(MCR)에 증기발생기 수위제어 관련 경험이 있는 운전원 3명 이상이 좁은 보드앞에서 각자 S/G A, B, C의 주요 파라미터들을 감시하며 수동운전하게 된다. 이렇게 운전원들이 많은 위험부담을 안고 수동운전하는 이유는 증기발생기 수위제어는 증기발생기 내부의 광역수위 측정범위가 약 14.2(m)이고, 주요 제어변수를 측정하는 협역수위는 약 3.2(m)로 매우 적어서 물의 Swell, Shrink 현상과 급수온도의 영향으로 제어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내의 한 부분인 공정감시제어를 위한 MMI(Man Machine Interface) Software를 사용하면 한사람이 증기발생기 수위제어 전 계통의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과거나 현재의 변화 추이 및 문제점 분석은 물론, 계통의 결함 발생시 경보가 발생하여 경보발생 화면을 선택할 경우 어느 부분에서 결함이 발생했는지를 보여준다. 만약 이 화면을 운전원이 아닌 현장 Engineer가 보았을 경우는 결함부분의 확인 및 결함카드 보수가 가능하여 운전원들의 작업부담 감소와 이로 인한 다른 계통 점검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