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측 유역

검색결과 465건 처리시간 0.026초

생활용수 회귀수량의 분석을 위한 시계열 단기 예측모형 구축 (Construction of a Short-term Time-series Prediction Model for Analysis of Return Flow of Residential Water)

  • 이승연;이상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6호
    • /
    • pp.763-774
    • /
    • 2023
  • 도시 하류의 가용수량과 관련된 생활용수 회귀수량은 아직까지 정확한 회귀수량 파악이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용수 물순환시스템을 면(面)적 개념으로 물 유입, 물 전달, 물 유출 단계로 정의하였다. 대상지는 전라남도 함평군 일대로 선정했으며 물순환계통도 작성 및 완전·불완전 계측지점의 분류를 통해 단일 유입~단일 유출지점으로 설정하였다. 총 6년(2017년 1월 1일~2022년 12월 31일)간 일단위의 유입량·유출량 자료로 시계열예측모형(ARIMA 모형, 전이함수모형)을 구축하였고 학습기간과 검증기간으로 분리하여 유입량·유출량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두 모형 모두 안정적인 잔차와 통계적 유의성 확보로 단기 예측 실현 가능성을 보여 초기 단계의 물순환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향후에는 불완전 계측지점, 미계측지점, 기상조건을 추가하고 최적의 모형을 선정하여 대상 유역의 실제 회귀량을 예측하고 효율적인 물 운영이 가능하길 기대해본다.

운동파법의 변환에 의한 2항 저류함수법의 적용 (Application of two-term storage function method converted from kinematic wave method)

  • 김창완;제갈선동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12호
    • /
    • pp.1057-1066
    • /
    • 2019
  • 저류함수법은 비선형성을 가지는 실제 강우-유출 관계를 해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우리나라 4개 홍수통제소의 홍수예측모형으로 이용되고 있다. 정확한 유출해석을 위해서는 정확한 저류함수의 매개변수 산정이 중요하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저류함수법의 매개변수는 제한된 수문사상 분석에 의해 작성된 2012년도 경험식에 의해 추정된 것으로 정확도가 낮은 실정이다. 운동파법은 유역 및 하도의 물리변수에 기초한 방법으로 강우-유출 해석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운동파법의 변환에 의한 2항 저류함수법을 채택하면 물리변수를 기반으로 매개변수를 추정할 수 있어 유출계산의 정확도가 증가할 수 있다. 유역유출에서 중요한 물리변수인 등가조도는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을 이용하여 쉽게 구할 수 있으며, 하도유출의 물리변수는 하천기본계획 보고서 및 지형도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매개변수의 추정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항 저류함수법의 운동파법 재현성을 검토하였고, 한강권역 홍천강의 지류인 내촌천을 대상으로 2항 저류함수법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바, 경험식에 의한 매개변수를 이용한 기존 1항 저류함수법보다 정확한 유출계산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미계측 유역 및 하도에서도 물리변수를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저류함수법의 활용도가 증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aint-Venant 공식(公式)에 의한 개수로(開水路)의 지하수성분(地下水性分) 추적(追跡) (Routing of Groundwater Component in Open Channel)

  • 김재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23-32
    • /
    • 1988
  • 미계측유성(未計測流城)에서의 시간별 강우(降雨)로부터 부분침투천하(部分浸透川下)의 비피압대수층내(非被壓帶水層內)의 지하수(地下水)흐름에 기여하는 침투량과, 이로 인(因)하여 발생되는 하천수로상(河川水路上)에서의 시간별 기저유량(基底流量)의 동시적(同時的) 결합(結合)이 지형도(地形圖)나 토양도(土壤圖)부터 획득된 수리(水理) 및 수문(水文) 특성인자(特性因子)들에 의하여 수행(遂行)되었다. 지하수(地下水)흐름과 이의 개수로상(開水路上)의 흐름추적은 Boussinesg의 비선형방정식(非線形方程式)을 선형화(線形化)한 기법(技法)과 St. Venant의 간편화 공식을 각각 이용하므로써 결정되어졌다. 이의 해(解)를 위한 유출모형(流出模型)은 전류성(全流城)을 분할한 분포모형(分布模型)을 사용하였으며, 수치해법(數値解法)은 운동파방정식(運動波方程式)의 유한차분법(有限差分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로서, 수문지질(水文地質)의 다변성(多變性)에 따른 수문곡선분리(水文曲線分離)의 합리성(合理性)은 물리적(物理的)으로 바탕을 둔 지하지표수(地下地表水)의 모형을 개발하므로써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提案)된다. 본 연구의 실하천유역(實河川流域)에 대한 적용 예로서는, 금강수계내(錦江水系內) 지류(支流)인 보청천유역(報靑川流域)을 선정(選定)하였으며, 그 결과로부터 본(本) 기법(技法)은 미계측유역에서의 강우의 지하침투량에 의한 기저유량을 모의발생(模擬發生)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단순 강우-유출 사상으로부터 최적단위도와 침투율의 결정 (Determination of Optimal Unit Hydrographs and Infultration Rate Functions from Single Rainfall-Runoff Event)

  • 안태진;류희정;정광근;심명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365-374
    • /
    • 2000
  • 본 연구는 관측된 단일 강우-유출사상으로부터 최적화 모형과 추계학적 기법을 결합하여 침투율 공식의 최적매개변수와 단위도를 결정하였다. 수문계측유역에서의 최적 단위도와 침투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관측 유출수문곡선과 계산치의 절대오차누계를 최소화하는 모형과 절대최대오차를 최소화하는 선형계획모형을 정립하였다. 손실율의 매개변수를 섭동하기 위하여 추계학적 최적화방법 중의 하나인 Multistart 알고리즘을 채택하였다. Multistart는 분석가능영역을 효과적으로 탐사하여 Kostiakov, Philip, Horton 공식의 최적매개변수를 결정하였다. 유역평균침투능 $\Phi$지표를 적용하면 유일한 단위도의 종거가 결정되지만, Kostiakov, Philip, Horton 및 Green-Ampt공식은 매개변수의 값에 따라 단위도의 종거와 침투율은 달라진다. Green-Ampt공식의 매개변수는 시산법을 적용하여 결정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적용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강우-유출 관측자료를 보유한 유역에 관하여 침투식의 매개변수와 단위도를 결정하였으며, 이전 연구자들의 결과보다는 나은 해를 구하였다.

  • PDF

WMS 모형을 활용한 산지 소하천 유역의 유출량 산정 (Flood Runoff Computation for Mountainous Small Basins using WMS Model)

  • 장형준;이정영;이효상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9-15
    • /
    • 2021
  • 최근 급증하는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산지 지역의 돌발홍수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인명 및 물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재해저감 대책방안을 수립하고 있으나 국립공원과 같이 자연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는 계곡 및 하천부는 제방 증고 및 하상 정리 등과 같은 인위적인 대책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 계룡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유역내 계곡 및 하천부에 대하여 WMS(Watershed Modeling System) 강우유출모형을 활용한 침수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계룡산 국립공원 중 3개 소유역(지석골, 수통골, 동학사)에서 재현빈도 50년 이상의 강우 발생 시, 침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모의 되었으며, 탐방객이 이용하는 탐방로 및 시설물에 위험성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국립공원 내 탐방로에 대한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국립공원의 안전한 관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변량 강우 빈도분석과 강우-유출 모형에 기반한 설계 홍수량 산정 방안 (Estimating design floods based on bivariate rainfall frequency analysis and rainfall-runoff model)

  • 김민지;박경운;김석우;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10호
    • /
    • pp.737-748
    • /
    • 2022
  • 홍수량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수자원 실무에서는 강우빈도분석과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하여 설계 홍수량을 산정한다. 하지만 임의 지속기간에 대한 강우빈도분석은 호우사상의 지속기간과 크기에 대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호우사상의 특성을 반영하여 유역의 설계 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이변량 강우 빈도분석에 기반한 설계 홍수량 산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평창강 유역과 남한강 상류 유역을 대상으로 각 강우 지점별 독립 호우사상을 추출하여 이변량 강우 빈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중앙값을 이용하여 재현기간별 설계 호우사상을 결정하고, 이를 HEC-1 모형에 적용하여 설계 홍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홍수량 자료를 빈도분석한 결과(DF_FFA)를 기준으로, 단변량 강우 빈도분석 후 강우-유출모형으로 산정한 기존의 홍수량(DF_URFA)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산정한 홍수량(DF_BRFA)을 비교분석하였다. 평창강 유역의 경우, 재현기간 100년인 경우를 제외하고 강우량을 기준으로 산정한 연 최대 호우사상에 대한 BRFA 방법으로 산정한 설계 홍수량이 평균오차 11.6%로 FFA로 산정한 설계 홍수량과 가장 근접하게 나타났다. 남한강 유역의 경우, 지점별 강우량을 기준으로 산정한 연 최대 호우사상에 대한 BRFA 방법으로 산정한 설계 홍수량의 평균오차가 약 10%로 FFA로 산정한 설계 홍수량과 가장 비슷하게 산정되었다. 재현기간이 커질수록 URFA에 의한 설계 홍수량이 FFA에 의한 설계 홍수량보다 크게 산정되었으며, URFA의 설계 홍수량보다 BRFA의 설계 홍수량이 FFA에 의한 설계 홍수량과의 차이가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설계 홍수량 산정 방안을 활용한다면, 미계측 유역에서도 실제 DF_FFA 값과 근접한 설계 홍수량을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수공구조물 설계와 수자원 계획 등을 경제적이고 합리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호우의 환상스펙트럼 추정 (Estimation of radial spectrum for rainfall)

  • 이재형;이동주;박영기
    • 물과 미래
    • /
    • 제22권2호
    • /
    • pp.201-211
    • /
    • 1989
  • 인접계측지점의 상관성을 이용하여 결측지점의 자료를 보완한 다음, 다중상관 기법에 의하여 총강우량의 호우곡면을 구성한다. 구성된 호우 곡면에서 주기성분을 분리하여 호우잔차를 발생시키는데, 이중 프리에 해석을 이용했다. 각 강우에 잔차성분들은 균질등방성이라고 가정하여 이에 대응하는 자기 상관 함수를 조사하엿다. 실용성을 보완하기 위해서 경험치와 비교하였다. 모든 강우에 대한 정규상관 함수의 계수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위의 결과를 사용하여 한강유역에 내린 강우의 공간분포를 나타내는 환상스펙트럼 분포함수를 추정하였다.

  • PDF

미계측 유역의 유출량 산정을 위한 합성단위도 개발 (Development of Synthetic Unit Hydrograph for Estimation of Runoff in Ungauged Watershed)

  • 최용준;김주철;정동국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32-539
    • /
    • 2010
  • The synthetic unit hydrograph is developed and verified using Nash model and characteristic velocities considering geomorphological dispersion in this present study. Application watersheds are selected 5 subwatersheds of Bocheong basin. The mean and variance of hillslope and stream path length are estimated in each watershed with GIS. Characteristic velocities are calculated using estimated path lengths and moment characteristics of rainfall-runoff data. Characteristic velocities of random devised 7 ungauged watersheds are estimated through regional analysis of chracteristic velocities in guaged watershed. And Nash model parameters and IUH are derived using characteristic velocities and path length in the gauged and ungauged watershed. The result to compare of IUH about gauged watershed and random devised ungauged watershed in application watershed presents coherently hydrologic response characteristics that peak discharge is reduced and peak time is extended. In conclusion, Developed synthetic unit hydrograph in this study expects that it is useful method to estimate runoff discharge for managing of water pollution in ungauged watershed.

연유출량 추정모형의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nnual Runoff Estimation Model)

  • 이상훈
    • 물과 미래
    • /
    • 제26권1호
    • /
    • pp.51-62
    • /
    • 1993
  • 연유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직접적인 인자는 강수량인데 회귀분석을 이용한 이전의 연구에서는 유출률이 20% 미만 또는 100% 이상인 경우에는 강수와 유량자료는 이상점(outlier)으로서 분석에서 제외시킨 결과 강수량은 독립변수로서 의의가 없고 대신 유역면적을 중요한 독립변수로 포함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유출률대신 (연강수량-연유출량)을 연증발산량의 좋은 추정치로 간주하고 우리나라에서 가능한 연증발산의 범위를 벗어나는 자료를 제외시키고 회귀분석을 한 결과 수문학적인 이론에 부합되며 결정계수가 높은 다음과 같은 회귀분석식을 얻었다. R=-518.25+0.8834P 단, R: 유출고(mm) P: 연강수량(mm) 이 회귀분석식은 cross-validation을 거친 결과 계수가 매우 안정되어 있어서 우리나라의 미계측 중소수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좋은 연유출량 추정모델로서 제안한다.

  • PDF

선형유출모형(線型流出模型)의 매개변수추정(媒介變數推定) (Parameter Identification for Linear Runoff Model)

  • 윤태훈;전시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79-86
    • /
    • 1986
  • 개념유출모형(槪念流出模型)인 모형(模型)의 매개변수(媒介變數) n, k는 유성면적(流城面積)이 $53.7{\sim}1,361km^2$의 범위에 있는 18개 유역의 강우(降雨)-유출자료(流出資料)로부터 모멘트방법에 의하여 추정(推定)된다. 이들 n, k는 F-test와 더불어 복합상관방법(複合相關方法)에 의하여 유성특성(流城特性) 인자(因子)들만의 함수로 유도된다. 유도된 매개변수(媒介變數)들은 한강(漢江), 금강(錦江) 및 낙동강유성(洛東江流城)에 적용하여 계산된 수문곡선(水文曲線)과 실제자료(實際資料)로부터 유도한 수문곡선(水文曲線)은 비교적 잘 맞았으며, 이는 유성특성(流城特性)만으로 미계측소유성(未計測小流城)의 강우(降雨)-유출자료(流出資料)의 가능(可能)함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