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증치매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19초

오감 자극 노인성 치매 예방 프로그램 (A Five-Senses Stimulation Program for preventing Senile Dementia Diseases)

  • 정민영;박천규;손명동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0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94-600
    • /
    • 2010
  • 노인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노인성질환도 증가함에 따라 일상적인 생활을 하지 못하는 노인에 대한 요양과 치료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실시로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두고 있지만 치매 예방을 통한 유병률 감소는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다. 특히 요양시설이나 복지기관 현장에서는 경증 치매 및 치매 예방에 대한 프로그램은 전무하거나 일시적이고 단편적인 기법만을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치매에 관심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복지 전문가가 현장에서 비교적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손운동법(촉각), 회상요법(시각), 치료레크리에이션(미각), 음악요법(청각), 원예치료(후각) 등 오감을 자극하는 기법들을 적절히 조화시켜 체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치매 예방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 PDF

치매노인의 현황과 노인장기요양보험법상의 개선방안 (Current State of Senile Dementia and Improvement of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for Elderly People)

  • 조현;고준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5816-5825
    • /
    • 2012
  • 인구가 고령화되면서 치매환자는 매년 급증하고 있고 이로 인한 치매환자의 치료 및 관리비용 등 사회적 비용은 크게 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하다. 외국에서도 국가차원에서 치매에 관한 국가전략을 수립하거나 효율적인 치매관리를 위한 국가차원의 대책을 세우거나 관련 법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치매에 대한 법제도적 대응방안으로 노인복지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치매관리법이 존재한다. 보다 효과적인 치매관리 대책을 위해 관련법과 정책의 추진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치매 검진을 65세 이상노인에 대한 국민건강보험의 건강검진 항목에 반드시 포함시키고 1차 검진에서 이상이 발견되면 진료를 계속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치매의 특성상 치매는 증상이 심해질수록 치료 효과가 적고 가족들의 부담도 급격히 증가한다. 치매예방사업과 조기 검진을 통해 치매 발병을 예방하거나 발병 시기를 늦추고 조기 발견하여 치료를 받도록 하여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현재와 같은 노인장기요양보험법상의 장기요양급여내용의 획일성으로는 경증 치매 등 요양노인의 욕구를 다양하게 충족시키기 어려우므로 등급판정기준 완화와 서비스 이용대상의 확대가 필요하다.

요양시설 입소 경증치매노인의 통합 치매관리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Effects of Integrated Dementia Managing Programme fo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in Nursing Home)

  • 안명숙;조현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50-559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dementia managing programme fo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in which the physiological, cognitive, emotional, sociological and spiritual aspects have considered. Methods: This study employ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s with the repeated measure desig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 elderly with mild dementia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9 in the control group) who have admitted to two nursing homes in B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wo groups and times in self-efficacy (p=.011), cognitive function (p<.001), depression (p=.005), spiritual well-being (p=.002), and quality of life (p=.037). The integrated dementia managing programme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Conclusion: On considering the current trends of aging and increasing number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is integrated programme would be highly recommended to be used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and saving the social and medical expenses as well.

치매가족의 치매대상자 재가돌봄의사에 대한 영향요인분석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Dementia Patient Home Care Intention of Family Caregivers)

  • 조범훈;이동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20-331
    • /
    • 2016
  • 본 연구는 치매가족을 대상으로 재가돌봄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앤더슨의 행동모형에 근거하여 실증 분석함으로써 치매대상자 가족의 돌봄부담 경감을 포함한 효율적이고 원활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26개 시군구지역을 대상으로 조사한 "치매 인식도 및 욕구 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목적에 맞는 대상과 특성을 선별하여 2차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에 분석대상은 치매가족 539명이고, 특성은 앤더슨 행동모형에 근거하여 소인요인, 가능성요인, 욕구요인의 해당 변수를 삽입하였으며, 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유의수준 5% 기준으로 소인요인에서는 거주지가 비도시일수록, 돌봄관계가 배우자 혹은 자녀일수록,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가능성요인에서는 치매관련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욕구요인에서는 치매대상자의 치매특성이 보다 경증일수록, 그리고 돌봄부담이 낮을수록 재가돌봄의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앞서 고려한 세 가지 요인 중 욕구요인이 상대적으로 보다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재가돌봄의사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치매정도와 경제적 특성에 부합되는 지원전략을 구축해야 함을 전제로, 긍정적 치매태도형성을 위한 가족대상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원, 지역 및 가족특성에 따른 차별화 실천전략의 마련 등을 실천적 함의로 제안하였다.

치매주간보호센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치매노인의 만족도와 경험 (Satisfaction and Experienc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for the Service Provided by the Dementia Day Care Center)

  • 김화순;이영휘;정다워;이지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609-62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의 서비스 만족도와 서비스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방법론적 트라이앵귤레이션 연구로, 1:1 면접조사를 위한 대상자는 67명의 치매노인이었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 대상자는 15명의 치매노인이었으며 모든 대상자는 치매주간보호센터 이용자 였다. 서비스이용 만족도 조사 노인들의 평균 연령은 $79.95{\pm}5.90$세 였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 조사 대상 노인들의 평균 연령은 $80.07{\pm}5.78$세 였다. 서비스영역별 서비스 만족도의 평균 점수는 $2.86{\pm}0.41{\sim}2.96{\pm}0.30$였다. 최저 점수 영역은 '도움과 보조'였고, 가장 만족도 점수가 높았던 영역은 '음식과 환경'이었다. 57개 서비스 관련 질문 중 14개 질문 영역에서 만족도 점수는 3점 만점이었다. 질적 자료의 내용분석결과에 따르면, 치매주간 보호센터의 경험은 '상호존중과 이해', '참여의 즐거움과 속상함' 등 20개 주제와 35개 하위 주제로 서술되었다. 전체 만족도 점수는 높았고 치매주간보호센터에 대한 경험은 대부분이 긍정적으로 서술되었다. 따라서 경증 치매노인을 위한 치매전문주간보호센터 이용 확대와 확충이 적극적으로 권장되어야한다.

대구시 노인들의 치매 실태 및 치매노인들의 생활 습관적 특성 (Living and Behavioral Differentials of the Elderly's Dementia in Daegu)

  • 김한곤
    • 한국인구학
    • /
    • 제28권2호
    • /
    • pp.165-18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들의 치매실태를 알아보고 치매노인들의 인구학적 특성 및 생활 습관적 특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집단의 약 0.6%에 해당하는 1,120 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를 포함한 면담표를 이용하여 2004년 7월 1일부터 2004년 8월 31일까지 수행되었다. 면담에 응하지 않거나 분석 자료로 활용할 수 없는 232 사례를 제외한 898 사례가 최종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에 따르면 응답자들의 8.9%가 치매에 이환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들 가운데 52.5%는 경증, 35.0%는 중등증, 12.5%는 중증이었다. 치매노인들의 인구학적 및 생활 습관적 특성을 경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학력이 높은 사람, 취미생활로서 어느 한 유형보다는 정신적 및 육체적 활동 둘 다 하는 응답자, 지나치지 않는 음식섭취, 규칙적 운동을 하는 사람, 그리고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상태 등이 치매이환의 대수승산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연령은 치매이환의 대수승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결혼지위, 거주형태, 주생활지역, 직업, 흡연 및 음주 등의 변수는 본 연구결과 노인치매 이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관련 분야의 장래 연구에 필요한 제언을 하였으며 노인들의 치매이환을 감소시키기 몇 가지 정책적 대안들을 논의하였다.

사회참여활동이 고령자 인지기능 손상 정도에 미치는 영향: 도시와 농촌 간 차이 분석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Cognitive Impairment Degree among Korean Older Adults: Comparative Stud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 강주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326-33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고령자와 농촌 고령자의 사회참여활동 유형이 인지기능 손상 정도(정상, 경증 인지기능저하, 중증 치매 의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6차(2016년)와 7차(2018년) 고령화 연구패널 조사 데이터 중 55세 이상 고령자 5,668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어떤 유형이든지 사회참여활동 하는 것이 인지기능 장애 위험을 줄여준다는 것은 도시와 농촌 둘 다 일관되게 유의하였으나, 도움이 되는 사회참여활동 유형이 도시와 농촌 간 차이가 있었다. 즉, 도시와 농촌에 사는지에 따라 정상군에서 인지기능저하 또는 치매 의심이 될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는 사회참여 활동 유형과 인지기능저하에서 치매 의심이 될 위험을 낮추는 데 유의한 유형이 달랐다. 따라서 인지기능 장애를 예방하고 치매 중증도를 완화하는 데 사회참여활동을 적극적으로 권장돼야 하며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시와 농촌의 차이를 고려한 정책과 개입이 요구됨을 함의한다.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이 초기 치매노인의 생성 이름대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예비연구 (The effect of computer 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generative naming i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preliminary study)

  • 변해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67-172
    • /
    • 2019
  • 본 연구는 초기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이 전두엽 집행기능 중 생성 이름대기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치매 환자의 조기 언어중재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분석 대상은 경증치매환자 29명으로서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CoTras)을 중재하는 실험군 21명과 지필과 테이블활동 등 전통적인 면대면 언어재활을 중재하는 대조군 8명으로 분류되었다.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은 모두 12주 동안 순차적 언어 회상 기억훈련, 연합회상 기억훈련, 언어 범주화 기억훈련, 언어통합 기억훈련을 진행하였다. 의미유창성과 음소유창성의 사전검사점수를 공변량으로 통제한 Welch's robust ANCOVA분석 결과,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은 의미유창성과 MMSE-K의 변화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5). 반면에, 음소유창성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기초선단계에 비해서 12주간의 치료 후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치료방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이 전통적인 인지재활에 비해서 의미유창성의 향상에 효과적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사회 연결망 유형과 치매노인의 삶의 질 (Social Network Type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 배윤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218-522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들의 사회 연결망 유형을 분류한 후, 유형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는 사회 연결망이 치매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조사대상은 대구광역시 동구보건소에 등록된 경증 치매노인 중 본 연구에 동의한 222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7월 17일부터 8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일원배치분산분석, 회귀분석, 계층적 군집분석을 하였다. 치매노인의 사회 연결망 유형은 세 가지, 비활동고립형, 활동자립형, 비활동의존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유형별 응답자들의 삶의 질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달랐다. 분석 결과, 활동자립형 연결망이 삶의 질이 가장 높았고, 비활동고립형이 가장 낮았다. 결론적으로, 사회 연결망 유형의 분류는 치매노인의 대인관계 환경을 숙고하게 된다. 현재의 분석상 나타난 것처럼 치매노인의 삶의 질에 미친 효과는 타당한 하나의 실례로 여겨진다. 치매노인을 위한 서비스 프로그램은 사회 연결망 유형을 토대로 다르게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치매케어로봇 통합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경증치매노인을 대상으로 (Development of Dementia-Care-Robot Integrated Program and Evaluation of Effectiveness -Fo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 오진환;이형화;전인희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30-34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Dementia-Care-Robot integrated program based on group customization and to identify effects on IADL, depression, and attitudes toward robot.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40 elders diagnosed with mild dementia participating in the dementia center daily program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in the control group). Each session lasted for 30 minutes, twice a week during 6 weeks.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6 to November 7, 2019,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2.0 program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 variables. After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in IADL, depression,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attitude toward robo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change to the robot, but the control group showed negative change to it,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indings indicate that integrated program using Dementia-Care-Robot has potential as a strategy to improve the symptoms of dementia and to delay the progression. It needs to be applied in the medical field through convergent approach of engine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