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요도절제술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경요도전립선전기기화술의 초기 임상경험 : 경요도전립선절제술 및 레이저 전립선절제술과의 비교 (Early Clinical Experience with Transurethral Electrovaporization of the Prostate for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Comparison with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and Visual Laser Ablation of the Prostate)

  • 김정현;문기학;정희창;박동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297-305
    • /
    • 1998
  • 최근에 Roller loop electrode를 이용한 경요도전립선전기기화술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저자들은 전립선비대증에서 전립선전기기화술의 가치를 알아보기 위해 Roller loop electrode를 이용한 전립선전기기화술(TEVP, 17례)을 레이저전립선절제술(VLAP, 39례)과 전통적 경요도전립선절제술(TURP, 59례)과 비교 분석해 보았다. TEVP는 효과 면에서는 전통적인 경요도전립선절제술에는 미치진 못하지만 VLAP과는 유사한 효과를 보였으며 안전성면과 경제적인 면에서는 VLAP을 능가하는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가 적은 환자를 대상으로 10개월까지 관찰한 결과이고 경요도전립선전기기화술의 초기 경험이라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다소 성급한 면이 있으나 전통적인 전립선절제술에 비해 짧은 입원기간, 짧은 요도관유치 기간 및 적은 출혈 등을 보여주며 레이저 시술의 단점인 고가장비가 필요 없다는 점에서는 전통적 전립선절제술의 대체 술기로 높이 평가되어진다.

  • PDF

비근침윤성 방광암의 경요도절제술 후 방광 내 상피하종양 형태의 재발: 증례 보고 (Recurrence of Subepithelial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Following Transurethral Resection: A Case Report)

  • 김녹정;문성경;유명원;임주원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715-720
    • /
    • 2021
  • 방광암의 경요도절제술은 비근침윤성 방광암의 1차 치료 방법이다. 첫 번째 경요도절제술 이후 약 절반가량의 방광암 환자에서 재발을 보인다. 대부분의 방광암 재발은 방광점막에서 방광내막 쪽으로 자라는 용종 모양의 종괴로 나타난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재발한 방광암이 상피하종양의 형태로 보고된 증례는 없다. 근육내층에 국한된 재발암은 방광경에서 발견하기가 쉽지 않고, 또한 수술적으로 완전히 제거하는 것 역시 쉽지 않다. 근육내층에 재발한 방광암을 진단하는 데에 있어서 영상 검사가 가장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증례에서는 영상 검사에서 진단할 수 있는 아주 드문 상피하 재발 방광암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Urethral False Tract가 있는 환자에 있어서 Guide Wire를 이용한 안전한 Foley Catheter의 유치방법 (Safe Placement of Urethral Foley Catheter Using Guide Wire in Patient with False Passage)

  • 김영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1호
    • /
    • pp.101-104
    • /
    • 1988
  • 외요도구를 통한 Foley catheter의 유치는 거의 대부분의 경뇨도적 내시경 수술 후 필수적으로 행하는 술기이다. 그러나 가끔, 특히 심한 요도손상을 입힌 경우나 요도에 false tract가 생긴 때에는 통상의 방법으로 Foley catheter의 외요도구를 통한 방광내로의 유치가 곤란하며 또한 심한 손상을 초래할 위험이 많다. 저자는 guide wire를 이용한 새롭고 안전한 요도 catheter의 유치방법을 고안하여 1986년 9월부터 1988년 6월 까지 요도협착으로 입원하여 internal urethrotomy를 받은 후 Foley catheter의 유치가 곤란하였던 7명의 환자 및 경뇨도전립선절제술후 Foley catheter의 삽입이 곤란하였던 3명의 환자에게 각각 시행하여 전례에서 성공하였다.

  • PDF

근침윤성 방광암에서 화학방사선 병용을 통한 방광보존치료 (Bladder Preservation by Combined Modality Therapy for Invasive Bladder Cancer : A Five-Year Follow-up)

  • 조재호;임지훈;성진실;표홍렬;금웅섭;서창옥;홍성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359-368
    • /
    • 2001
  • 목적 : 근침윤성 방광암에서 경요도 절제술 후 화학방사선 병용을 통한 방광보존치료를 시행하여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그 예비 결과를 발표한 바 있으며, 장기 추적 관찰 결과를 토대로 본 치료법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부터 1994년까지 병기 T2 에서 T4NxM0의 근침윤성 방광암을 가진 25명의 환자에 방광보존치료법이 시행되었다. 경요도절제술을 통해 가능한 최대한의 방광 종양을 제거한 후 항암제와 방사선요법을 병용하여 시행하였다. 병용치료는 methotrexate, vincristine, adriamycin, cisplatin (M-VAC) 제제로 3회 전보조화학요법을 먼저 시행한 후 cisplatin이 방사선 조사 첫째 주와 넷째 주에 동시에 투여되는 동시화학방사선 요법이 시행되거나(1군), 동일하게 동시화학방사선 요법이 먼저 시행되고 이후 methotrexate, cisplatin, vinblastin (MCV) 제제로 화학요법을 2회 시행하거나(2군), 또는 동시화학방사선 요법만 시행되었다(3군). 각 군의 환자분포는 1군 4명, 2군 14명, 3군 7명이었다. 방사선 치료는 하루에 1회 1.8 혹은 2 Gy를 $40\~45\;Gy$ 정도까지는 진골반에 조사한 후 방광 전체에 추가로 $9\~10\;Gy$를 추가 조사하고, 다시 방광내 종양 부위에 추가 조사하여 총 $60\~65\;Gy$까지 조사하였다. 추적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70개월 이었다. 결과 : 본 치료와 연관된 독성은 대부분 Grade 2 이하의 경미한 독성이었으며, Grade 3 이상의 독성은 급성합병증으로 혈액학적 독성 1예와 만성합병증으로 방사선 방광염이 2예가 있었다. 전체 대상환자의 5년 생존율은 $67.3\%$였다. 25명 중 20명$(80\%)$에서 화학방사선 병용요법 후 완전 관해를 얻었다. 또한 전체 생존환자 16명 중 10명$(63\%)$에서 방광을 보존하고 있었으며,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다변량분석을 시행하였는데, T-병기(p=0.013), 완전관해 유무(p=0.002)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였다. 결론 : 본 기관에서 시행되어진 근침윤성 방광암에 대한 방광보존치료법은 기존의 근치적 방광절제술에 비하여 대등한 치료성적을 내는 동시에 $63\%$에서 장기보존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치료법이 방광암의 치료에 적극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하며 향후 여러 기관이 참여하는 활발한 연구를 통해 한국인에게 가장 적절한 치료법을 개발해야 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안면다한증에서 경요도 절제용 전기절제 내시경을 이용한 교감신경간 소작술 (T2 Sympathicotomy with TUR Electroresectoscope for Facial Hyperhidrosis)

  • 최봉춘;이영철;이효근;김찬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1권2호
    • /
    • pp.220-225
    • /
    • 1998
  • Background: The patients of facial hyperhidrosis have been known that they had much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ial activities due to excessive hidrosis when they were in stress, hot weather, or having meals. Previous drug therapy and stellate ganglion block have only temporary effects. The surgical method, $T_1$ sympathetomy has the risk of Hornor's syndrome. For that reasons, the sympathicotomy of proximal and distal portions of $T_2$ sympathetic ganglion with electroresectoscope used in transurethral resection seemed to be appropriate procedure, and we would like to report the results of our procedure. Method: Under the general anesthesia with semi-sitting position, and the portal was made through the small incision along the upper border of the 4th rib at the crossing point of mid-axillary line. After the partial collapse of lung by insufflation of 300 to 500 ml of $CO_2$, $T_2$ sympathetic ganglion was identified and resected proximally and distally with electro-cauterization. Finally the lung was expanded by limiting flow until the airway pressure reached 30 to 40 cm$H_2O$, and the wound was closed after removal of electroresectoscope. Result: There was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 requiring surgical interventions. The facial sweating was stopped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and all the patients appeared to be satisfied. Conclusion: $T_2$ sympathicotomy with TUR electroresectoscope is thought be the minimal invasive and highly successful method in the treatment of facial hyperhidrosis. But longer terms follow-up will be needed to prove this result.

  • PDF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시 투여한 Furosemide가 수술중, 후 혈중 나트륨 및 삼투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urosemide on perioperative Serum Osmolality and Electrolytes during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 김세연;노운석;박대팔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1호
    • /
    • pp.110-120
    • /
    • 1992
  • 경뇨도 전립선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furosemide부여에 따른 혈중 나트륨치와 삼투질 농도를 비교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혈중 나트륨치는 대조군에서 술전에 비해 10분, 20분, 30분, 수술직후에 의의있는 감소(p<0.05)가 있었으나 실험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2. 혈장 삼투질농도와 유효 삼투질농도는 대조군에서 술전치와 비교시 술중 30분과 수술직후에 의의있는 감소(p<0.05)가 있었으나 실험군에서는 잘 유지가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술중 흡수된 관류액의 영향을 줄일 목적으로 furosemide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혈중나트륨치와 삼투질농도를 잘 유지시키기에 그 예방적 투여가 의의있다고 사료되며 특히 울혈성 심부전이나 신부전이 있는 환자의 수술시 furosemide를 투여하면 그 의의가 더 클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침윤성 방광암에서 경요도적절제술 및 Cisplatin과 방사선의 병용치료의 효과 (The Results of Combined Modality Treatment with Transurethral Resection, Cisplatin and Radiation Therapy for Invasive Bladder Cancer)

  • 오윤경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311-317
    • /
    • 1991
  • 1989년 2월부터 1990년 6월까지 조선대학교 부속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침윤성 방광암으로 경요도적절제술 및 Cisplatin과 방사선을 병용하여 치료를 받았던 10예에 대하여 저자는 후향적으로 국소관해율, 생존기간, 치료실패양상 및 부작용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원발병소가 근치적방광절제술이 불가능하였거나, 환자의 전신상태 또는 고령의 나이나 합병된 내과적인 질환때문에 근치적수술을 할 수 없었던 경우였다. 원발병소의 병기는 T3a-T4b였고, N병기는 NO가 9예이고 N1가 1예였으며, 10예 모두 MO 였다. 추적기간은 $16\~32$개월이었다. 수술요법은 경요도적절제술, 화학요법은 Cisplatin $1\~5$회, 방사선치료는 골반부위에 $3960\~5400$ cGy의 선량으로 치료하였다. 원발병소의 병기에 따른 완전관해율은 cT3a에서 80$\%$, cT3b에서 67$\%$ 그리고 cT4b에서 0$\%$였고 전체적으로 60$\%$의 완전관해율을 보였다. 부분관해율은 20$\%$이어서 전체의 국소관해율은 80$\%$였다. 조직학적 검사상모두 이행상피암이었고 조직학적 등급에 따른 완전관해의 차이를보면 I, II등급인 6예에서는 모두 완전관해를 보였고 III, IV등급인 4예에서는 부분관해가 2예이고 무반응이 2예였다. 완전관해를 보였던 6예는 모두 생존하여 있고 이중 1예에서만 치료후 10개월후에 국소재발을 보였다. 완전관해를 보이지 않았던 4예는 모두 조직학적 등급이 III, IV등급으로 방광암으로 사망하였다. 원격전이는 3예에서 보였으며 2예 (cT4b)는 폐, 1예(cT3b)는 척추부위였다. 방사선치료후 부작용은 설사가 가장 심한 부작용으로 1예에서 나타났으나 보존요법으로 호전되었다. 따라서 침윤성방광암에 있어서 방광기능의 보존측면에서 병용치료는 심한 부작용없이 치료가 가능하며 완전관해율을 높이기위하여 방사선선량을 높이고, T4b병기에서는 원격전이 가 큰 문제이므로 효과적인 복합화학요법을 시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혈뇨 환자의 방광암 진단에서 $UBC^{TM}$ (Urinary Bladder Cancer) 검사의 유용성 (Usefulness of the $UBC^{TM}$ (Urinary Bladder Cancer) Test Compared to Urinary Cytology for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f the Bladder in Patients with Hematuria)

  • 길명철;강도영;성열근;정세일;권헌영;정경우;김덕규;노미숙;황태호;윤진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92-197
    • /
    • 2001
  • 목적: 요세포검사와 방광경검사는 방광이행상피세포암을 진단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다. 그러나 요세포검사는 숙련된 검사자가 필요하고 현미경검사상 다양한 해석이 가능할 수 있고 방광경검사는 침습적인 방법이다. $UBC^{TM}$ 검사는 방광암의 상피세포로부터 방출되는 특정한 cytokeratin의 분절에 대한 에피토프를 검출하는 면역방사계수측정법이다. 우리는 방광이행상피세포암의 진단에서 요세포검사와 $UBC^{TM}$ 검사를 비교하여 $UBC^{TM}$ 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혈뇨를 주소로 내원한 84예를 대상으로 중간뇨를 이용하여 $UBC^{TM}$ 검사 (IDL Biotech, Sweden)를 시행하였다. 19예는 방광경검사와 경요도방광종양절제술로 방광이행상피세포암으로 진단되었고(암환자군), 나머지례는 대조군으로 하였다. $UBC^{TM}$ 검사상 결과가 $12{\mu}g/L$ 이상인 경우를 양성으로 하였다. 결과: UBC 검사 결과는 암환자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95.9{\pm}166.4{\mu}g/L$$19.2{\pm}85.6{\mu}g/L$ (p<0.001)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방광이행상피세포암에 대한 UBC 검사와 요세포검사의 민감도는 각각 89.5% (17/19), 47.4% (9/19) (p<0.05)였고, 특이도는 각각 81.5% (53/65)와 100% (65/65)였다. $UBC^{TM}$ 검사는 stage Ta, $T_1$ (84.6 vs 38.5 %, p<0.05)과 grade I (83.3% vs 16.7%, p<0.05)에서 요세포검사보다 더 유의하였다. $UBC^{TM}$ 검사의 결과는 세포분화도가 더 나빠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Grade I : 83.3%, Grade II : 90%, Grade III : 100%). 결론: $UBC^{TM}$ 검사는 다른 비뇨기과적 질환과 방광이행상피세포암을 구별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특히 $UBC^{TM}$ 검사는 초기 방광이행상피세포암과 세포분화도가 좋은 방광암을 진단하는데 있어 간편하고, 비침습적이며 요세포 검사보다 높은 민감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어 요세포검사의 낮은 민감도를 보완하는 유용한 선별검사의 하나로 선택하여도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근침윤성 방광암 환자의 방광 보존적 치료 결과 (Bladder Preserving Treatment in Patients with 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 유정일;오동렬;허승재;최한용;이현무;전성수;임호영;김원석;임도훈;안용찬;박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2호
    • /
    • pp.70-78
    • /
    • 2007
  • 목 적: 근침윤성 방광암으로 진단받고 방광 보존적 치료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종양 반응 정도 및 생존율을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9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방광암으로 진단 받고 방광 보존적 치료를 받은 환자 39명 중 편평상피암 환자 1명과 선암 환자 1명을 제외한 37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성별로는 남녀가 각각 33명, 4명이었으며 연령은 $38{\sim}86$세(중앙값 67세)였다. 조직학적으로 모두 이행상피암이었다. 임상적으로 원발 병소 병기는 T2, T3, T4가 각각 19명, 13명, 5명이었다. 경요도방광절제술(TURB) 시 완전 절제와 부분절제가 각각 17명과 19명에서 시행되었고, 조직 검사만 시행된 경우가 1명 있었다. 항암화학방사선병용요법을 받은 환자가 24명, 유도 항암화학요법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가 8명, 방사선 치료만 받은 환자가 6명이었고 보조항암화학요법을 시행받은 환자가 18명이었다. 방사선 치료는 $10{\sim}15\;MV$ 광자선을 사용하였으며 하루에 $1.8{\sim}2.0\;Gy$로 전골반을 대상으로 $45{\sim}46\;Gy$를 4문 조사한 후 방광에만 국한하여 3차원 입체조형치료로 $10.8{\sim}22.0\;Gy$ (중앙값 19.8 Gy) 추가하여 총 $55.8{\sim}67\;Gy$ (중앙값 64.8 Gy)를 조사하였다. 항암화학치료는 Cisplatin을 기본으로 하여 $2{\sim}6$회(중앙값 3회) 시행하였다. 각 변수 간의 상관 관계 분석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다. 생존율은 Kaplan-Meier 법으로 산출하였고 두 군 간의 비교는 Log-rank test 이용하였다.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다변량 분석은 Cox 비례위험 모델을 이용하였다. 유의수준 0.05 미만을 의미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치료 반응 평가는 치료 종료 후 3개월 전후에 시행한 요세포 검사, 방광 내시경 소견 및 복부골반 전산화단층촬영을 종합하여 판단하였는데, 완전 관해, 비완전 관해가 각각 16명(43%), 20명(54%)이었다. 대상 환자의 3년 전체 생존율은 54.7%였고 중앙 생존 기간은 54개월($3{\sim}91$개월)이었다. 3년 무진행 생존율은 37.2%였다. 추적 관찰 중 24명(64.9%)이 재발하였는데 국소 재발이 17명(46%), 원격 전이가 6명(16%), 국소 재발과 원격 전이가 동시에 나타난 경우가 1명(3%) 있었다. 국소 재발의 구제 요법으로 근치적 방광절제술이 시행된 경우는 없었고 TURB만 시행하거나 항암화학치료가 병행되기도 하였다. 치료 후의 반응 정도가 전체 생존율(p=0.006)과 무진행 생존율(p=0.001)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인자였고, TURB의 정도가 전체 생존율(p=0.091)과 무진행 생존율(p=0.081), 방사선 조사선량이 무진행 생존율(p=0.07)에서 통계적 의의에 접근하였다. 결 론: 방광 보존적 치료 시 치료 후 반응 정도가 전체 생존율과 무진행 생존율에 있어 중요한 예후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URB를 가능한 충분히 시행하고 병소 부위에 방사선 조사선량을 높이는 것이 방광보존 치료에서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방광보존 치료 후 치료 반응 판정에서 완전 관해가 오지 않은 경우는 수술 등의 적극적인 구제 치료가 필요하겠다. 향후 방광 보존을 위한 항암화학 방사선 병용치료 프로토콜에 따른 임상 경험을 더 쌓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