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사변화

Search Result 1,73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Numerical Simulation for Behavior of Debris Flow according to the Variances of Slope Angle (비탈면 경사 변화에 따른 토석류 거동의 수치모의)

  • Kim, Sungduk;Yoon, Ilro;Oh, Sewook;Lee, Hojin;Bae, Wooseok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3 no.6
    • /
    • pp.59-6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behavior and the mechanism of debris flow on the slope, which has specially various gradient plane. The numerical simulation was performed by using the Finite Differential Element method (FDM) based on the equation for the mass conservation and momentum conservation. The mechanism of flow type for debris flow is divided into three flow types which are stony debris flow, immature debris flow, and turbulent water flow, respectively. First, flow discharge, water flow depth, sediment volume concentration was investigated by variable input of flow discharge at the straight slope angle and two step inclined plane. As the input of flow discharge was decrease, flow discharge and water flow depth was increased, after the first coming debris flow only reached at the downstream. As the input of flow discharge was increased, the curve of flow discharge and flow depth was highly fluctuated. As the results of RMS ratio, the flow discharge and flow depth was lower two step slope angle than the straight slope angle. Second, the behavior of debris flow was investigated by the four cases of gradient degree at the downstream of slope angle. The band width of flow discharge and flow depth for $14^{\circ}$ between $16^{\circ}$ was higher than other gradient degree, and fluctuation curve was continuously high after 10 seconds.

Analysis of Trench Slope Stability in Permafrost Regions According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 of Slope (동토지반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 사면의 경사에 따른 트렌치 안전성 분석)

  • Kim, Jong-Uk;Kim, Jung-Joo;Jafri, Turab H.;Yoo, Han-Kyu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1 no.1
    • /
    • pp.27-33
    • /
    • 2017
  • In this study, the stability of trench slope was analysed in summer and winter seasons for the construction of pipelines in permafrost regions. The construction standards of Korea, Russia and UK were compared for obtaining an optimum trench shape for a pipeline of 30 in. diameter. Using the geotechnical properties of soil in Yakutsk (Russia), the stability of trench slope was analysed using Strength Reduction Method (SRM) according to the horizontal slope angle values of $0^{\circ}$, $10^{\circ}$, $20^{\circ}$ and $30^{\circ}$ and vertical slope angle values of $20^{\circ}$, $30^{\circ}$ and $40^{\circ}$. In both seasons, an increase in the slope angle results in a decrease in the factor of safety. The results show that horizontal slope angle of $30^{\circ}$ was not safe in summer season. At the vertical slope angle of $20^{\circ}$, trench side failure was observed, whereas, ground slope failure was observed at the vertical slope angles of $30^{\circ}$ and $40^{\circ}$. Due to the solidification of pore water at temperatures below $0^{\circ}C$, cementation of soil particles take place. Therefore, the trench slope was found to be stable in the winter season at all vertical and horizontal slop angles, except for special load cases and abrupt temperature changes.

Analysis of the road surface runoff at the continuous section (연속구간 도로의 표면흐름 분석)

  • Kim, Jung Soo;Jo, Jun Beom;Kim, Soo Youl;Lee, S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42-242
    • /
    • 2020
  •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른 유출환경의 변화로 인해 도심지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유출은 도로표면을 따라 이동하고 도로변에 설치된 빗물받이에 의해 배수된다. 이 때 빗물이 원활하게 배수되지 않아 노면수가 정체되고, 이 노면수가 인근 주택지로 유입되어 침수 피해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유출량이 집중되는 도심지 저지대에서 주로 발생하며 설계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정상적인 강우 조건에서도 빈번히 나타나고 있다. 이는 최근의 기후 변화로 인한 집중 호우 등을 고려하여 설계 기준이 지속적으로 조정되어야 함과 동시에 도로 노면수의 배수 능력 평가를 위한 실제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로 빗물받이의 효율은 주로 종경사 및 횡경사 등의 도로 조건, 표면 유출 우수량, 빗물받이의 형상 등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상향된 설계빈도 및 도로 조건을 고려한 도로 표면 유출에 대한 흐름 분석과 빗물받이 특성을 고려한 실증연구의 분석 및 설계 해석 알고리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노면수의 배수 능력 증대를 위해 연속 설치된 빗물받이 조건 및 도로 경사조건을 고려하여 도로 배수시설의 표면 유출 모델 설계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표면 유출 유량은 도로의 차선(2~4차선), 경사(종경사 2~10% 및 횡경사 2~10%) 및 설계빈도(최대 30년)를 고려하였으며 유량이 노면 진행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부등류 흐름 해석 방법을 채택하였다. 또한, 빗물받이 설치간격(L)과 도로의 폭(W)의 곱으로 계산되는 단순 직사각형 형태의 노면 형상이 아닌 도로 종경사 및 횡경사에 따른 유달거리를 산정하여 평행사변형 형태의 노면 형상을 계산하고 이에 따른 면적(A), 도달시간(tc) 및 강우강도(I)를 산정하였다. 이와 같은 1차원 흐름분석을 통해 도로 표면흐름 및 빗물받이 설치 간격을 제시하고 기존의 제시된 빗물받이 설치 간격과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설계 알고리즘을 검증하였다. 또한, 수리 실험을 통해 측정된 빗물받이 차집효율을 이용하여 연속 구간에서의 도로 표면 유출 모델의 적용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빗물받이 유입구를 통해 모든 유량이 유출된다고 가정하고 단독 구간에서의 수리분석 결과만을 고려하여 이를 확장시켜 개발된 기존의 도로 표면 유출 모델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설계 알고리즘을 적용한다면 도로 전체 구간에서의 흐름 변화 분석과 배수효율의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하므로 향후 도로 표면 침수 피해 저감 및 배수능력 증대를 위한 실증적이고 정량적인 분석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Streamflow using measured Slope and Slope length at Doam Dam Watershed (실측 경사도 및 경사장을 고려한 도암호 유역의 유출량 평가)

  • Park, Geonwoo;Lee, Seoro;Lee, Gwanjae;Choi, Yujin;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14-114
    • /
    • 2019
  • 최근 들어 집중호우 및 토지이용 변화로 인한 고탁수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탁수 및 수질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경부는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을 선정하였으며, Best Management Pratices(BMPs), Low Impact Development(LID) 등 다양한 저감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비점오염원의 발생원인과 발생위치를 정확하게 증명할 수 없으므로 유역 내 수문 및 수질을 모의할 수 있는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 모델이 다양한 비점오염원 연구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SWAT 모델은 Hydrologic Response Unit(HRU)의 경사도와 경사장을 산정할 때 소유역 내 평균 경사도를 이용하여 토양유실량 및 유출특성을 모의에 필요한 매개변수들을 산정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SWAT 모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제 경작지를 기준으로 HRU를 생성하고, 실측 경사도와 경사장을 적용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술을 고탁수로 인해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으로 지정된 도암호 유역에 적용하여 실측 경사도와 경사장을 적용하여 모의한 유출량과 기존의 SWAT 모델을 통해 모의한 유출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기존 모델의 결과와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술을 적용하여 모의한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수문 컴포넌트 중 중간유출과 기저유출에 있어서 차이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도암호 유역에서 비교적 정확한 토양유실과 Suspended Solids(SS) 모의 결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도암호 유역만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다른 비점오염 관리지역에 확대 적용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 PDF

Development of 2D Finite Volume Model for Applying Natural Channels (자연하천에 적용 가능한 2차원 유한체적 모형의 개발)

  • Kim, Byung-Hyun;Han, Kun-Yeun;Kim, Tae-Hyung;Kim, You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575-578
    • /
    • 2009
  • 자연하천에 적용가능한 수치모형은 지형의 변화를 합리적으로 계산할 뿐 아니라, 하도의 초기상태가 마름상태이거나 혹은 계산과정 중에 마름상태가 나타나더라도 충분히 계산할 수 있을 만큼 안정적이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 및 비구조적 격자를 사용하여 지형변화를 고려한 흐름해석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보존변수의 재구성을 수면경사법과 MUSCL 기법을 연계하였으며, 하상경사항은 발산정리를 이용하여 이산화 하였다. 개발 모형의 정확성, 적용성 그리고 보존특성 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해석해가 존재하는 불규칙 하상이 존재하는 하도 및 실험자료가 존재하는 실험하도에서의 댐 및 제방 붕괴와 같은 다양한 조건의 흐름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자연하천에 대한 적용 및 검증을 위해 Malpasset 댐 붕괴 모의를 수행하여 계산결과를 관측자료와 비교하였다.

  • PDF

A Basic Study of Development of Miniature Size Electrostatic Induction Motor (초소형 정전유도형 전동기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이동훈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0 no.5
    • /
    • pp.57-65
    • /
    • 1996
  • 초고속 정전유도형 정전전동기의 개발의 위한 기초연구로서 회전자 물질의 표면저항률, 비유전율 및 전하완하시정수의 변화에 따른 회전자의 회전속도특성을 조사하였다. 회전자표층물질의 비유전율 및 표면저항률은 클수록 회전자의 회전속도는 증가하였으며, 또한 이 두 요소를 곱한 회전지표면에 유도된 전하의 완화시정수가 클수록 회전속도는 증가하였다. 한편 회전자표층물질로서 도전성물질(Ti)을 폴리프로필렌 위에 불연속적으로, 즉 띠의 모양으로 증착한 시료를 사용하여 띠의 폭 및 경사각의 변화에 따른 회전자의 회전속도특성 및 토크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경우 띠의 폭이 적어질수록 회전자의 회전수는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등간격으로 세분화한 것을 회전자의 축에 대해서 회전방향으로 경사각$\theta$만큼 기울였을 때 $\theta$=60。 및 150。일 때 회전자의 회전속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경사각 $\theta$=0。일때에 비해서 약 125[%]정도 높은 회전속도를 보였다. 최대토크 및 최대출력은 각각 {{{{25$\times$ { 10}^{ -6} [Nm]}}}}및 11.5[mW]이었다.

  • PDF

Minimum Velocity of Sewer Line (오수관의 최저유속)

  • Kim, Tae-Won;Park, Jong-Pyo;Lee, Kil-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84-1188
    • /
    • 2007
  • 하수관거는 장기간 사용에 의해 오염물질 퇴적 현상이 발생하여 관거 유하능력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관내 오염물질 제거 방법 중 관거 Flushing 방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유입유량, 유입시간, 관경사 변화에 따른 유속 및 수위 변화를 분석하여 하수관거 내 부유물질의 퇴적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유속기준을 만족하는 관거 유하 길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관거 내의 수리학적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서 SWMM 및 FLOW-3D 모형을 이용하여 관거 내 수리학적 거동 현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수리모형실험 자료를 이용하였다. $5\;{\textperthousand}$ 관경사에 대하여 유입유량 $0.16\;m^3/min$을 3 분 동안 Flushing 하였을 경우 최대유속은 0.58 m/s로 최소유속 0.6 m/s를 만족하는 관의 누가거리는 확보할 수 없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또한 관경사가 증가함에 따라서 최대유속 및 최대유량도 증가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관 내 부유물질의 퇴적을 방지하기 위해 Flushing 방법을 수행하였을 경우, 보다 효과적이며 경제적으로 Flushing 방법을 수행할 수는 설계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ensitive Analysis of GRM Parameter (GRM의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 Choi, Yun-Seok;Kim, Ky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14-111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HyGIS(Hydr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환경에서 구동되는 물리적 분포형 모형인 GRM(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 모형(HyGIS-GRM)에서 사용자에 의해 추정되는 주요 매개변수인 초기포화도, 하도 최소경사, 하도 조도계수에 대한 민감도를 분석하고, 모형의 보정을 위한 각 매개변수의 추정 과정을 고찰하였다. 매개변수 민감도 평가는 초기포화도, 하도 최소경사, 하도 조도계수를 대상으로 각각을 기준 값에서 ${\pm}2%$ 간격으로 ${\pm}10%$까지 변화시킨 후 이를 유출모의에 적용하고, 첨두유량, 첨두시간 및 총유출량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민감도 분석 결과 초기포화도는 첨두유량, 첨두시간 및 총유출량에 대해서 모두 가장 민감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도 조도계수는 첨두시간에 대해서는 초기포화도와 유사한 민감도를 나타내었으며, 첨두유량과 총유출량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하도 최소경사는 첨두시간에 대해서는 초기포화도 및 하도 조도계수와 유사한 민감도를 나타내었으며, 첨두유량에 대해서는 하도 조도계수와 유사한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총유출량에 대해서는 민감도가 매우 작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THREE-DIMENSIONAL SPACE CHANGES AFTER PREMATURE LOSS OF THE PRIMARY FIRST MOLAR: A LONGITUDINAL STUDY (제1유구치의 조기 상실로 인한 공간 변화에 대한 3차원적 분석)

  • Kim, Ji-Yeon;Jung, Da-Woon;Kwak, So-Youn;Yoo, Seung-Eun;Park, Ki-Tae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5 no.2
    • /
    • pp.297-30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3-Dimensional laser scanner for the space analysis after loss of a primary first molar. Six children with premature loss of a primary first molar were examined using study models taken before and after the extra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change in primary molar space after the extraction of a maxillary primary first molar However, 2 out of 3 children experienced primary molar space loss in extraction side of a mandibular primary first molar. 2. Arch width and arch perimeter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initial and final model. 3. All primary canines did not show any changes in inclination. Maxillary primary second molars had similar changes in both extraction and control side. However, 2 out of 3 mandibular primary second molars in extraction side showed more lingual tipping compared to control side. Mandibular permanent first molars tipped more lingually in extraction side. 4. In angulation, primary canines showed nothing of significance. Mandibular primary second molars tipped more mesially in extraction side than in control side. Maxillary permanent first molars have increased distal angulation after extraction of primary first molars in both side.

  • PDF

Characteristic of the Flow in Tidal Affected River (감조하천 구간에서의 흐름특성 분석)

  • Lee, Sin-Jae;Jung, Sung-Won;Choi, Hong-Yun;Park, S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946-1950
    • /
    • 2010
  • 감조하천은 조석파의 영향으로 자연하천과 달리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흐름특성을 보인다. 흐름이 하류에서 상류 방향으로 흐르기도 하며, 유속분포는 왜곡되어 수면 근처보다는 하상 근처의 유속이 큰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또한 만조시 수면경사는 바다의 조위가 하천의 수위보다 높은 역경사를 보이고, 수위변화량은 조위의 변화에 따라 변동하게 되는 복잡한 흐름특성을 보인다. 이와 같은 흐름특성은 감조구간의 하상변동, 생태환경, 수질 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조사,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조하천 구간에서 3차원 유속측정장비인 ADCP(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로 측정된 자료 및 수위관측소의 수위자료를 활용하여 시간변화에 따른 수위변화량 및 유속분포 특성을 분석하고, 수면경사, 수위변화량 등과 유량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향후 다양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