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년화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alysis of River Channel Morphology and Riparian Land Use Changes using Multi-temporal Aerial Photographs and Topographic Maps of the Early 20th Century in Gyeongan-cheon Watershed (시계열 항공사진과 20세기 초 지형도를 이용한 경안천유역의 하천형태 및 하천부지 변화추세 분석)

  • Park, Geun-Ae;Lee, Mi-Seon;Kim, Hyeon-Jun;Kim, Seong-J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5 s.154
    • /
    • pp.379-390
    • /
    • 2005
  • This study is to trace the change of stream shape using the past series of aortal photographs and topographic maps, and to compare the land use changes of inland along the stream. For the Gyeongan first & second class of local stream, aerial photographs of 1966, 1981 and 2000 were selected and ortho photographs were made with interior orientation and exterior orienta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topographic maps of 1914 - 1915 were used to compare with stream of 1966, 1981 and 2000. As apparent changes of the stream, the consolidated reaches of stream with levee construction were straightened and their stream width widened. Especially the stream width of inlet part of Paldang lake was widened almost twice because of the rise of water level by dam construction in 1974. The land use maps (1966, 1981, 2000) of riparian areas were also made, respectively and classified into 6 categories (water, forest, agricultural land, urban area, road, sandbar) by digitizing, The main changes of land use were agricultural land, urban area, road and sandbar.

Evaluation of Dam Inflow Predictability Using Hybrid Seasonal Forecasting System (하이브리드 계절예측 시스템을 이용한 댐 유입량 예측성 평가)

  • Cho, Jaepil;Kim, Chul-Gy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7-27
    • /
    • 2017
  • 신뢰성 있는 수개월 선행시간의 댐 유입량 예측은 가뭄 상황으로 진입하는 시점에서 효율적인 댐 운영을 위해 필수적이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량의 경년 및 계절 내 변동성이 증가됨에 따라서 기존의 과거 통계치를 이용한 댐 운영 의사결정은 많은 도전을 받고 있다. 최근 엘리뇨-남방진동(ENSO) 등의 전구기후지수와 지역수문기후와의 원격상관성을 활용하여 수개월 이후에 대한 수문조건을 통계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또한 매월 제공되는 역학적 예측모형으로부터 생산된 월단위 예측정보를 유량예측을 위한 유역모형에 활용하기 위하여 편이보정 및 상세화 기법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댐 유입량 예측을 위해 SWAT 모형을 선정하였고 최장 6개월 선행 강수량 및 기온의 예측을 위해서 하이브리드 계절예측 시스템을 활용하였다. 이 시스템은 전지구역학적 예측모형의 자료를 편이보정을 거쳐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단순 편이보정(Simple Bias Correction, SBC) 방법에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통계적인 방법으로 예측자료를 생산하는 전구기후지수 기반의 Climate Index Regression (CIR), 실시간 재분석자료 기반의 Observation-based Moving Window Regression (MWR-Obs), 역학적 예측모형의 예측자료 기반의 Moving Window Regression (MWR) 방법을 통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충주댐을 대상으로 우선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SWAT 모형을 검 보정한 후, 관측기간에 대하여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의한 예측 기상자료를 적용하여 모의된 댐 유입량과 관측 유입량과의 비교를 통해 예측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기후정보를 활용하여 댐 유입량 예측에 있어서 예측성을 높이고자 시도되었으며, 도출된 결과는 향후 충주댐 운영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Formation of River Sandbar and Management of River Forestation & Aggradation - Focusing on the Jang-Hang Wetland on the Han River - (하천의 사주 형성과 하도 수림화 및 육역화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한강 장항습지를 중심으로 -)

  • Hong Kyu Ahn;Dong Jin Lee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11 no.2
    • /
    • pp.43-54
    • /
    • 2024
  • Recently, most of the rivers in Korea are experiencing various problems in dimension and river environment, such as expansion of stable area where disturbance does not occur during flood, increase of excessive trees in river channel, fixation of river channel, reduction of sand bar. When the soil supplied by the flood is deposited in the river, the plant is settled in the formed terrain, and when another disturbance of the scale that does not erode there occurs after the plant is settled, the river gradually grows and the vegetation zone is formed there. In particular, in terms of river management, river forestation and river aggradation are objects that must be managed because they are disadvantageous in terms of flood control by lowering the flow rate and raising the water leve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rea of vegetation occupied by the year of sandbar was analyzed in the process of river aggradation in Jang-Hang wetland.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owth of Jang-Hang wetland was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low rate and the flooding frequency that directly affect the growth of Jang-Hang wetland. Through this, the management plan of Jang-Hang wetland, which is registered in Ramsar Wetland but has been river forestation and is undergoing river aggradation, was proposed.

Temporal Adjustment of Channel Geometry and Spatial Changes in Riverbed Materials along the Downstream Channels of Large Dams in the Geum River basin (금강유역 대형댐 하류 하도지형 경년변화 및 하상재료 종적변이 연구)

  • Ock, Giyoung;Choi, Mikyoung;Park, Hyung-Geu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6 no.4
    • /
    • pp.287-294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longitudinal changes in riverbed materials properties and temporal alteration of river channel geomorphology in the Geum River basin, where two multipurpose dams(Yongdam Dam and Daecheong Dam) were built in upstream area. We carried out grain size distribution analyses and measured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of riverbed materials taken at the upper and lower sites of the two large dams. We also estimated the channel width, bar area and vegetation encroachment using the oldest map and aerial photographs taken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dams. The results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understandings of dam induced habitat alteration in river ecosystem.

Analysis of the Changes for Natural Environment by Geo-Spatial Information Database of Aerial Photo (항공사진의 지형공간정보 자료기반에 의한 자연환경변화의 분석)

  • Kang, In-Joon;Kwak, Jae-Ha;Park, Kie-T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 no.2 s.2
    • /
    • pp.159-166
    • /
    • 1993
  • Decrease of forest is seriously caused by urbanization. Photographic interpretation is the act of examining photographic images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objects and judging their significance. A systematic study of aerial photographs usually involves a consideration of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photographic images. Seven of these characteristics are shape, size, pattern, shadow, tone, texture, and site. Aerial photographs contain a detailed record of the ground at the time of exposure. Authors blow the changes of natural environment by database for interpretation of aerial photo. In this paper, authors choose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located at the Kum-Joung Koo, Pusan as model area. Ten year of interval in 1980 and 1990, authors know the rate of forest decreasing is approximately 41 percents and the necessity of the protection of foreast. Authors suggest the combination of construction and protection of environment.

  • PDF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Evapotranspiration (증발산량 측정 현황 및 특성 분석)

  • Lee, JungHoon;Park, YongHee;Lee, YeonKil;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28-528
    • /
    • 2015
  • 수문 순환 및 물 수지에 관한 연구는 강수량, 지표유출량, 지하수,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에 대한 정량화가 이루어질 때 실제적으로 규명될 수 있다. 그러나, 수문 순환 및 물수지 평가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증발산량의 경우 관측값보다 단순한 가정이나 경험식에 의한 추정값을 사용하고 있어 그 자료의 신뢰성에 대해서도 꾸준히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수문 순환 및 물수지의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수문 순환 과정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증발산량의 측정(실측)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의 기초수문자료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에디공분산 기술을 사용하여 증발산량을 직접 관측하고 있다. 관측지점은 한반도의 약 70%를 차지하는 산림지 중 대표적 식생 기능 형태인 혼효림으로 구성된 지점(설마천 관측지, 2007년 8월부터)과, 인위적인 관개가 이루어지는 논경지(청미천 관측지, 2008년 8월부터)에서의 증발산량 측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두 지점에서 증발산량의 계절 및 경년 변동 특성을 파악 할 수 있었다. 혼효림(설마천 관측지)에서 산정된 증발산량은 2008년 471.7mm, 2009년 408.4mm, 2010년 489.4mm, 2011년 387.0mm, 2012년 323.3mm, 2013년 293.3mm, 2014년 360.9mm이고, 강수량 대비 증발산량은 18.9%~56.2%를 보였다. 논경지(청미천 관측지)에서 산정된 증발산량은 2009년 571.8mm, 2010년 608.5mm, 2011년 523.9mm, 2012년 509.8mm, 2013년 467.9mm 2014년 533.9mm이고, 강수량 대비 증발산량은 34.7%~59.3%를 보였다. 비율의 최대값은 모두 2014년에 발생한 것으로 적은 강수량에 의한 것이고, 평균 증발산량 비율은 산림지인 설마천 관측소보다 논경지인 청미천 관측소가 평균 약 14%정도 높게 나타났다.

  • PDF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Evapotranspiration (증발산량 측정 현황 및 특성 분석)

  • Lee, JungHoon;Lee, YeonKil;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24-224
    • /
    • 2016
  • 수문 순환과 물 수지에 관한 연구는 강수량, 지표유출량, 지하수,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 등에 대한 관측이 이루어질 때 실제로 규명될 수 있다. 하지만, 수문 순환과 물수지 평가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증발산량의 경우 관측값보다 단순한 가정이나 경험식에 의한 추정값을 사용하고 있어 그 자료의 신뢰성에 대해서도 꾸준히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수문 순환과 물수지의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수문 순환 과정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증발산량의 측정(실측)과 자료의 축척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의 기초수문자료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수문자료의 다양화 목적을 가지고 에디공분산 기술을 사용하여 증발산량을 직접 관측하고 있다. 관측지점은 한반도의 약 70%를 차지하는 산림지 중 대표적 식생 기능 형태인 혼효림으로 구성된 지점(설마천 관측소, 2007년 8월부터)과, 인위적인 관개가 이루어지는 논경지(청미천 관측소, 2008년 8월부터)에서의 증발산량 측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두 지점에서 증발산량의 계절 및 경년 변동 특성을 파악 할 수 있었다. 혼효림(설마천 관측소)에서 산정된 증발산량은 2008년 471.7mm, 2009년 408.4mm, 2010년 489.4mm, 2011년 387.0mm, 2012년 323.3mm, 2013년 293.3mm, 2014년 360.9mm, 2015년 419.6mm이고, 강수량 대비 증발산량은 18.9%~56.2%를 보였다. 논경지(청미천 관측소)에서 산정된 증발산량은 2009년 571.8mm, 2010년 650.6mm, 2011년 523.9mm, 2012년 509.8mm, 2013년 467.9mm 2014년 533.9mm, 2015년 600.5mm이고, 강수량 대비 증발산량은 25.6%~71.4%를 보였다. 강수량 대비 비율의 최대값은 설마천 관측소는 2014년, 청미천 관측소는 2015년에 발생하였다.. 평균 증발산량 비율은 산림지인 설마천 관측소보다 논경지인 청미천 관측소가 평균 15.5%정도 높게 나타났다.

  • PDF

Algorithm Deciding Offshore Cable Layout Valid for Integrated Power Supply Between Adjacent Islands (근거리 도서간 통합전력공급에 유효한 해저케이블 포설 방안 결정 알고리즘)

  • Kim, Mi-Young;Rho, Dae-Seok;Moon, Guk-Hyun;Seo, In-Y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2
    • /
    • pp.28-36
    • /
    • 2018
  • Islands are supplied with power from diesel generation or from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nd problems with offshore environmental impacts (age deterioration, salt pollution), environmental pollution (exhaust gas, noise, dust) and power generation costs (installation, maintenance) have increasingly emerged. In 2016, the cost recovery rate was only 27%, and deficits reached 73% on 65 islands managed by KEPCO. In terms of deficits, the costs incurred in the power generation sector accounted for 91%, with the ratio of fixed costs at about 60%. Analysis suggests that operating costs can be reduced with an optimal power supply system that improves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d makes operating systems more effici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implify fuel transportation and facility maintenance, because one island integrates the power plants of remote islands, and offshore cable is used to supply power to the other islands. From the economic evaluations in this paper, an algorithm deciding offshore cable layout validity for an integrated power supply between adjacent islands is presented. Simulation results based on the proposed algorithm confirmed that an integrated power supply is economical for existing stand-alone operations on islands having diesel generation, low peak power, and near distances.

Analysis of River Disturbance Using GIS techniques and aerial photographs (항공사진 및 GIS기법을 이용한 하천 교란 실태의 분석)

  • Park, Eun-Ji;Kim, Kye-Hyun;Park, Tae-Og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268-272
    • /
    • 2007
  •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하천정비와 하도정비는 하천 흐름의 특성을 간과한 채 일괄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그 결과로 하천의 인공화는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천 및 하도의 물리, 화학, 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심각하며, 그 동안 인위적인 하천교란의 요인과 하천교란에 따른 영향, 즉 하상변동, 외래종 식생 침입, 생태서식처 변화 등의 정량적 평가 기술의 수립은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뿐만 아니라 하천 교란 극복을 위한 저감기술, 복원기술 및 적응관리 기술 또한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못하여 하천과 댐 관리당국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하천 교란에 대항하는 회복관리 기술 개발을 위한 교란 평가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진 및 GIS기법을 이용하여 국내 주요하천의 원인별 교란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하천교란 조사기술 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댐 하류의 하천교란 및 적응현장 시범지역을 선정한 후 대상 지역의 항공사진을 GIS화하여 하천 교란 실태를 분석하는 데에 필요한 자료를 생성하였으며 생성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천의 평면 및 단면의 변화특성을 조사할 수 있었다. 또한 경년별 저수로 형태와 하천 중심선 비교 분석을 통하여 저수로의 이동 및 변화 양상을 규명해 낼 수 있었으며 그 결과 댐 하류지역에서 하도안정문제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인 하도안정문제에 관한 대책수립이 가능하리라 보며, 이를 위해서는 하천 교란 조사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 결과 본 기법으로 유휴시간에 프로세서를 저전력모드로 바꾸는 기존의 고전적인 전력 관리 기법보다 전체 시스템 전력 소모를 9% 더 절약할 수 있었다. 위성영상과 DEM 개발기술이 87% 이상의 점수를 받아 가장 시장성 및 활용성이 높은 기술로 평가되었으며, 초다분광영상에 대한 기술은 70%를 겨우 넘는 수준에서 평가가 되었다. 멀티센서 공간영상정보 통합처리 기술 개발은 다목적 실용위성의 보유, 국가 NGIS 사업의 결과물이 상당히 축척이 되어 있고, 라이다(LiDAR) 기술의 도입을 위한 환경이 조성되었기에 다른 국가에 비해 멀티센서 기술의 적용과 산업화가 가시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멀티센서 자료의 수급이 용이하지 못하고, 법 제도적인 한계, 시장의 성숙도가 기대이하라는 점 등의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a var. sieboldii 3. Pinus densiflora, Q. aliena, Q. acutissima, P. thunbergii, Q. acuta 4. Carpinus laxiflora, Camellia japonicas. C. tschonoskii community의 5개 그룹으로 나타났다. 하류의 부착돌말류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수질을 가지고 있는 정점 1에서 다양한 생물상을, 탄천의 영향을 받는 정점 2는 상대적으로 수질이 악화되어 호오염성 종들이 높은 분포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부착돌말류 중 Cymbella minuta는 다른 부착돌말류에 비해 강한 오염지표성을 나타내고 있었다.p=0.000, $4.76{\pm}3.31$

  • PDF

Micro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bserved from the Flux Tower in Gwangneung Forest Watershed (플럭스 타워에서 관측된 광릉 산림 소유역의 미기후학적 특징)

  • Choi Taejin;Lim Jong-Hwan;Chun Jung-Hwa;Lee Dongho;Kim J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7 no.1
    • /
    • pp.35-44
    • /
    • 2005
  • Microclimate of Gwangneung forest watershed is characterized by analyzing wind, radiation, profiles of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soil and bole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soil water content measured at and around the flux tower from April 2000 to September 2003. Mountain-valley wind was prevalent due to the topographic effect with dominant wind from east during daytime and relatively weak wind from west during nighttime. Air temperature reaches its peak in July-August whereas monthly-averaged incoming shortwave radiation shows its peak in May due to summer monsoon. Albedo ranges from 0.12 to 0.16 during the growing season. Monthly-averaged bole temperature is in phase with monthly- averaged air temperature which is consistently higher. Monthly-averaged soil temperature lags behind air temperature and becomes higher with leaf fall. With the emergence of leafage in April, maximum temperature level during midday shifts from the ground surface to the crown level of 15-20m in May. Profiles of water vapor pressure show a similar shift in May but the ground surface remains as the major source of water. Vapor pressure deficit is highest in spring and lowest in winter. Monthly averaged surface soil temperatures range from 0 to 20℃ with a maximum in August. Monthly averaged trunk temperatures of the dominant tree species range from -5.8 to 21.6℃ with their seasonal variation and the magnitudes similar to those of air temperature. Annual precipitation amount varies significantly from year to year, of which >60% is from July and August. Vertical profiles of soil moisture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t may suggest an important role of lateral movement of soil water associated with rainfall ev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