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관심의

Search Result 12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alysis of Operational Status the Landscape Committee by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Landscape Law -Focused on Deajeon City- (경관법 개정 전·후 비교를 통한 경관위원회 운영 실태 분석 -대전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Kang, Hyun-Wook;Eo, Sang-Jin;Ryu, Kyung-Moo;Kim, Young-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3
    • /
    • pp.594-600
    • /
    • 2018
  • Landscape law was enacted in 2007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 Planning Support System (KOPSS) in 2006. In addition, KOPSS was utilized by many local governments to improve reliability and optimization in 2010. In 2014, landscape law was fully revised, and it is likely to have a considerable impact on municipal ordinances and deliberations, which may have a considerable effect on the results of landscape reviews.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changes in the subject of deliberation by the amendment of the law and system, the method of deliberation, the composition of the scenery committee, and the introduction of KOPSS. We also propose a direction for improving the landscape deliberation system. As a result, the change of the number of deliberation items repeatedly increased and decreased due to the change of the deliberation subject and deliberatio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total revision of the resultant laws and institutions. In sum, it affected the deliberation decisions.

An Analysis of the Government Officer's Understanding on Landscape Law and Institutions (경관제도에 대한 경관담당 공무원 인식조사)

  • Joo, Shin-H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5 no.3
    • /
    • pp.54-6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landscape law and institution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landscape systems.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importance and achievement of various landscape systems, and examined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government officers in landscape plan, landscape project, landscape agreement, landscape reviews and landscape committees, landscape ordinance, and landscape administrati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verall, the landscape administration system was highly interested, and it was also positive about the utility of the landscape law and the landscape charter.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IPA, the landscape plan and the landscape policy plan need to be intensively improved. 2. The landscape plan is mostly used for the purpose of responding to the scenery review or complaint request, but about 10.8%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did not refer it at all, so it is urgent to make the contents of the landscape plan real and improve the performance. Although many officers thought that less than 18 months would be quite enough for landscape plans, bu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is duration issue. 3. In order to improve landscape projects and landscape agreements, it seems that budget securing, experts, and promotional organizations should be improved first. 4. It is urgently necessary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about overall landscape law and systems of landscape review committee in order to supplement the landscape review and the landscape committee. 5. Administrative support such as personnel recruitment is required for landscape ordinance and landscape administration, and it is also found that many officers also have a great burden in making subjective judgment as the person in charge. There could be a positive bia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because the survey was conducted only for public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But the result will be helpful to look at the overall tendency of the landscape system. I hope that it will help improve the landscape system in the future much more realistic.

Expectation-performance Analysis on Natural Landscape Review Program in Korea (자연경관심의제 도입의 기대-성과 분석)

  • Lee, Gwan-Gyu;Hong, Jeong-K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13 no.3
    • /
    • pp.103-113
    • /
    • 2010
  • 본 연구는 환경부 주관으로 2006년부터 시행되어 온 자연경관심의제도의 제도 도입 당시의 기대수준과 현재의 성과수준을 분석함으로써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진행되었다. 동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얻고자 하였던 목표와 효과를 분석변수로 설정하고 당시의 기대수준과 제도도입 약 4년이 지난 2010년도 시점의 기대치 달성 성과수준을 비교하였다. 자연경관심의위원 전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분석하였으며, 비교결과 도출된 기대와 성과의 불일치 수준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제도 도입시 기대수준은 3.79, 성과수준은 3.09으로 나타나 당초 기대에 비해 그 성과가 다소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 주요 항목은 자연경관을 고려한 개발사업계획 수준 제고(-2.91), 경관개선 실천성 제고(-2.97), 자연경관자원 주변경관의 개선(-3.00)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고찰하여 동 제도의 발전방향으로 심의절차개선과 홍보강화, 자연경관심의위원 전문성 확보, 심의내용과 범위 개선, 심의기준 객관화, 전문가 참여 의무화를 단기적 발전과제로 도출하였다. 중장기적으로는 계획적 접근에 의한 경관관리 및 심의와 자연경관보전자원의 대상과 개념을 시각적 자원 뿐만 아니라 생태적 자원으로도 확장시켜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for Making of Landscape Simulation Model for Landscape Design Review (경관심의를 위한 경관시뮬레이션 모형 작성 기법에 관한 연구)

  • Lee, Dong-Hwa;Kim, Jae-Myung
    • Journal of KIBIM
    • /
    • v.9 no.3
    • /
    • pp.54-60
    • /
    • 2019
  • After Landscape Act was enacted, as awareness of landscape has increased and the need of expanding targets of landscape design review and improving landscape examination in terms of quality, this study aims to describe a technique of creating three dimensional landscape simulation model which is used for landscape design review. For this, the author of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in terms of function and use of programs and compatibility with programs to find a way of creating models with the most efficient and optimum process. For creation of landscape simulation models, initial creation is important but in case that changes occur by operator changing or discussing development plans, rapid correction and change are needed. Therefore, this study described how to build more accrurate and efficient simulation at initial review and how to create a landscape simulation model for rapid response to changed plans during reconsideration.

A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of Landscape Management System through Analysis of the Landscape Review Results - Focused 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Landscape Review- (경관 심의결과 분석을 통한 경관관리제도의 현황에 대한 연구 - 제주특별자치도 경관 심의를 중심으로 -)

  • Park, Hye-Jung;Park, Chul-M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20 no.4
    • /
    • pp.9-17
    • /
    • 2018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Landscape Review system and Landscape Management System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rough Analysis of the Landscape Review Results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Ordinanc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methods were reviewed for preliminary study and reviewing the laws and ordinances related to landscape, and 318 cases of landscape review, which have been implemented since 2010, were analyzed by item by item along with the result of the review.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hich currently operates an enhanced ordinance of development project review, is experiencing problems such as building the wrong construction projects due to the weak legal basis for follow-up management after landscape Review. Seco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expects efficient management of the province through expansion of the scope of the landscape review. Third, the current status of the decisions by the Landscape review showed that 57.7% of the bills passed, the lowest at 41.9% for the development projects. Fourth, analysis of the landscape review contents by categorization by item showed that ' Landscape Control Guideline' and 'Document not completed' are relatively high. Thus, eight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tart of the Landscape Management System and the Landscape Review, but systematic institutional stability is not sufficient, so it is necessary to make the Landscape Control Guideline easier to understand.

Luminaous Characteristics of Bridges in Cheonggyecheon (청계천 교량의 경관조명 특성 분석)

  • Shim, In-Bo;Yu, In-Hye;Shin, Hye-Mi;Kim, Jeo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23-28
    • /
    • 2005
  • 청계천의 경관조명은 하천을 가로지르는 다리 22개를 비롯하여 다양한 경관요소에 대하여 주변경관에 알맞는 경관조명으로 청계천의 특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특히 수변공간의 경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교량의 경관조명이 야간 청계천 경관의 아름다움을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다양한 구조형태 및 특징을 가진 22개의 교량은 특색에 맞는 조명연출로 인지도를 주어 보행자로 하여금 청계천에 대한 방향감 및 공간감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청계천 교량의 경관조명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청계천 8개의 교량을 대상으로 휘도, 색온도, 색도분포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피스 지역에 위치해 있는 교량은 배경과 교량의 휘도대비가 시각적으로 명확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온도는 차가운 느낌과 따뜻한 느낌의 조명이 조화를 이루며 교량의 온열감을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업지역에 위치해 있는 교량의 경우 오피스 지역의 교량보다는 휘도대비가 작게 나타났지만 시각적 측면에서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온도는 안정감 있는 느낌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지역에 위치해 있는 교량의 경우 교량자체의 휘도평균은 낮게 나타나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밝지 않게 조명된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청계천 교량의 경관조명 특성은 교량의 주변 환경에 따라 다른 효과가 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 Analysis on the Landscape Structure of Anuisamdong-Dongcheon in the 19th Century (19세기 안의삼동(安義三洞) 동천(洞天)의 경관구조 해석)

  • Kim, d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83-84
    • /
    • 2016
  • 본 연구는 안의삼동을 대상으로 19세기 관찬지리지와 관련 문헌에서 추출한 동천의 경관구조를 살펴본 결과 화림동 5개소, 심진동 9개소, 원학동 17개소가 확인되었으며, 동천 내 주요지점들은 각각 경구집합형, 경점연속형, 복합형 등의 경관구조 분포를 지님과 동시에 동천의 집합체로서 세거지와의 격리, 주머니 공간 형성을 통해 선계로서의 장소성을 부여하였다.

  • PDF

Regional Learning utilizing 상Landscape상 and 상Semiotic상 Representations (경관상과 상기호상 표상을 활용한 지역 학습 -수도권을 사례로-)

  • 박승규;심광택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1
    • /
    • pp.85-98
    • /
    • 1999
  • 이 논문은 '경관'과 '기호'표상에 근거한 지역학흡의 실제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경관'과 '기호' 표상은 오랜 역사적인 과정을 통해서 그 지역에서 구성된 지역적인 담론을 보다 구체적인 형태로 보여주는 것이므로 지역정체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오랜 역사적인 과정 속에서 형성된 지역담론은 각각의 시대적인 맥락에 따라 다양한 층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지역 담론은 지역의 변화된 모습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오늘날의 지역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어 지역학습의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나아가 '경관'과 '기호'표상은 그 지역 사람들의 생활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학습자의 삶과 유리되지 않는 지역학습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가 있다고 본다.

  • PDF

Luminous Characteristics of Cheonggyecheon(stream)'s Essential Elements during the Day and the Night (청계천 구성요소에 대한 주.야간 빛환경 분석)

  • Shin, Hae-Mi;Yu, In-Hye;Shim, In-Bo;Kim, Jeo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29-34
    • /
    • 2005
  • 본 연구는 청계천의 구성요소에 대해 경관연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주요구성요소 4곳을 상대로 경관현황을 조사하였다. 도시에서의 빛연출은 도시의 아이덴티티를 형성하고 또한 청계천 같이 6km에 다다른 하천은 관광자원으로써도 활용된다. 따라서 청계천 빛환경을 분석하기 위해 경관에 있어서 조명학적으로 중요한 물리량 평가요소로 휘도, 색도, 색온도를 선정하였다. 디지털 광학 계측기인 Radiant Imaging Prometric 1400에 의해 측정된 휘도, 색도, 색온도 등의 물리량 측정결과 주야간 모두 주변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휘도대비가 16:1을 넘지 않아 시각적으로도 적절한 것으로 판단됐다. 따라서 청계천 주요수성요소의 경관연출은 주 야간 모두 이용자들에게 안락한 경관을 제공할 것으로 사려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