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결혼 만족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28초

정보서비스와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통합 (Developing Information Services and Social Integration of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 김안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631-1638
    • /
    • 2018
  • 오늘 날 한국사회는 세계화와 함께 빠른 이주민의 증가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급격히 증가하는 국제결혼과 다문화가족의 확대는 한국사회 내 이주민의 사회 적응과 통합 문제를 제기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주민의 사회통합과 정보서비스 및 기술교육 서비스와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서베이조사를 활용하여 이들의 삶의 만족과 고용형태에 정보서비스 및 기술교육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다항 및 로짓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서비스를 사용한 경험은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고 있다. 즉 정보서비스 및 기술교육의 경험은 결혼이주여성의 고용기회를 확대하였으며 그들의 창업 혹은 취업의지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사회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통합을 위해 정보서비스, 기술교육프로그램 및 기술교육서비스의 제공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보여준다.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변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Marriage Immigrant Women's Satisfaction with Digital Information Change)

  • 김준수;조우홍;장영은;최대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년도 제6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2권1호
    • /
    • pp.207-210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 이주 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변화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실시한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 중 결혼이주여성 응답을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결혼 기간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마트폰 이용일수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정보화기기 활용 역량 중 PC 활용 능력은 부(-)적 영향을 미쳤고,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은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디지털 정보활용 역량 중 취미여가에 활용은 결혼 이주 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변화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디지털 사회자본 중 가교형 사회자본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은 결혼 이주 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변화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전통무용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rticipation in Korean Traditional Dance on the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Married Immigrant Women)

  • 이문숙;이형일;이정주;윤민숙;김상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567-257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통무용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생활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2009년 현재 대전, 충남에 소재하고 있는 이주여성지원센터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결혼이주여성으로, 실험집단은 3개월간의 한국무용프로그램에 참가하고 통제집단은 한국무용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는 결혼이주여성들을 집단별 각각 24명과 30명을 선정하였다.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Sandhu and Asraba(1994)가 개발한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와 이를 번역한 이승종(1995)의 문화이입과정 스트레스 척도를 보완하여 사용한 신근영(2006)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생활만족도 측정은 Lehman(1982)의 생활만족도 척도(Life Satisfaction Scale)를 수정 보완한 백은령(2003)의 척도를 이주민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여 사용한 최현(2008)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평균차 검증을 통한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전통무용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감소시켰으며, 둘째, 한국전통무용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를 증가시켰다. 따라서 한국전통무용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결론 지을 수 있다.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 Strengths in Dual-Income Teachers)

  • 최정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63-173
    • /
    • 2006
  • 이 연구는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조사대상은 경남지역의 맞벌이교사 289명이며,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는 7점 만점에 평균 5.22점으로서 결혼만족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맞벌이 기혼교사들의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관련변인은 성별, 교육수준. 종교 유무, 가족형태, 가사조력자, 자아존중감, 직업만족도 등으로 나타났다. 2. 맞벌이교사들의 가족건강성은 5점 만점에 3.88점으로 가족건강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맞벌이 교사들의 가족건강성에 유의한 관련변인은 가정의 월수입정도, 자아존중감, 직업만족도. 결혼만족도 둥으로 나타났다. 3.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가족건강성도 높아져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간의 불가분의 관계를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는 양호하며 가족건강성도 높아서 직장과 가정생활을 잘 양립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의 가족건강성이 좀 더 강화되어 학생들에게 더 나은 삶의 본보기가 될 필요가 있다하겠다.

  • PDF

노인부부의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onvergence program to improve marital satisfaction of elderly couples)

  • 김인숙;박선희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7-1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노인부부들의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급속한 고령화와 이혼율 증가에 따른 노인부부들의 이혼위기를 극복하고 이혼예방을 위한 기초방안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P시에 위치한 S노인복지관 70세 이상의 읽고 쓰기가 가능한 부부 총 9쌍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노인부부들의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융합 프로그램은 사전검사 61.7점(결혼생활 불만누적)에서 사후검사 32.1점(결혼생활 건강)으로 52%의 결혼만족도 향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관찰기록의 한 질적평가의 결과는 프로그램을 통해 노인부부간의 공동체험과 의사소통이 부부관계를 원만하게 하는 기술을 습득하게 하여 부부의 결혼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그동안 소원했던 노인부부의 관계가 자신이해와 배우자의 이해의 결과로 노인부부의 결혼만족도가 향상되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융합 프로그램은 노인부부들에게 결혼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혼이주 여성과 한국인 여성의 결혼만족도 비교연구 (Comparison of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Immigrant Wives and Korean Wives of Korean Men)

  • 그레이스정;임지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33-4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409명의 결혼 이주여성과 474명의 한국인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평등한 의사결정방식은 결혼 이주여성들만의 결혼만족도를, 우울 수준은 한국인 여성들만의 결혼만족도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남편의 의사소통 양식은 결혼 이주 여성과 한국인 여성 두 집단 모두의 경우에 결혼만족도를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변수였다. 결혼 이주 여성의 경우 문화적 맥락(한국에서의 거주기간, 인종차별 경험) 또한 결혼만족도를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결혼이주 여성과 한국인 여성의 결혼만족도를 설명하는데 있어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고, 결혼이주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있어서 문화적 맥락 변수들의 고유한 기여점을 설명함으로써 결혼 이주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