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결혼기간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의 배우자 선택과 결혼적응의 메커니즘 : 인간 발달 생태학적 모형의 중매, 연애 결혼에의 적용 (A Person-Process-Context Model of Mate Selection and Marital Adjustment in Arranged and Love-Based Korean Marriages)

  • 전효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9-41
    • /
    • 1998
  • 본 연구는 개인-환경 상호작용 가정을 바탕으로 한국의 두 가지 결혼 유형에 따른 배우자 선택과 결혼 적응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하여 개인, 과정, 맥락의 역할을 포함안 연구 모델 (person-process-context model)을 적용시켰다. 배우사 선택, 이에 따른 부부간 유사성과 결혼적응에 있어 개인과 사회적 특성의 상대적 기여도와 그 매커니즘을 조사하기 위해 154쌍의 한국 부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중매결혼과 연애결혼의 결혼유형에 관계없이 모두 동질혼의 경향을 보였다. 개인적 특성이 결혼 적응도와 높은 상관을 보인 반면, 부부간 유사성은 결혼 적응도와 유의한 상관이 업었다. 이는 결혼 적응에 있어서 환경적 요소(e. g. dyadic similarity)보다 개인적 요소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결혼유형에 따른 동질혼의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또한 동질혼의 정도에 따른 결혼적응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애결혼과 중매결혼의 중요한 차이는 결혼전 교제기간 이었다. 연애 결혼한 부부는 비교적 오랜 교제 기간을 통해 더 만족한 결혼생활을 영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전 교제기간의 효과를 통제한 후 두 결혼 유형의 결혼적응도에 대한 차이는 사라졌다. 연구결과들을 결혼과 성격에 관한 이론을 비탕으로 논의하였다.

  • PDF

국제결혼 부부의 연령 및 교육수준 격차와 결혼안정성: 국제결혼개방성 가설의 검증 (Spousal Dissimilarity in Age and Education and Marital Stability among Transnational Couples in Korea: A Test of the Transnational Openness Hypothesis)

  • 김두섭
    • 한국인구학
    • /
    • 제35권1호
    • /
    • pp.1-30
    • /
    • 2012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상이성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국제결혼이 연령과 교육수준이 동질적인 선택혼(positive assortative matching)의 형태로 이루어지는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그리고 외국인 아내의 출신국가별로 부부의 연령상이성과 교육상이성 지수를 계산하고, 이 지수들과 평균 결혼지속기간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또한 미시수준에서 부부의 연령 및 교육수준 격차가 결혼만족도, 결혼지속기간과 이혼확률의 편차를 설명하는데 얼마나 도움이 되는가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 국제결혼 부부의 연령과 교육수준 격차가 내국인 부부들의 경우보다 현저하게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외국인 아내를 구하는 한국 남자들이 배우자와의 사회인구학적 격차에 대해 보다 개방적이고 융통적일 것이라고 가정한 국제결혼개방성 가설(the transnational openness hypothesis)이 지지되었다.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격차가 커질수록 결혼의 해체가능성이 높아지고 결혼지속기간이 짧아질 것이라는 기존 연구의 가설은 한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부부들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배우자 선택 메카니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ate Selection Mechanism)

  • 한희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3권3호
    • /
    • pp.144-155
    • /
    • 1995
  • 본 연구는 배우자 선택과정에서의 만남의 유형, 만남의 유형에 따른 교제량(기간, 횟수) 배우자선택진행과정(처음 만날 때, 결혼을 의식하면서 만날 때, 결혼을 결정할 때의 여과망)을 밝힘으로써 배우자 선택의 메카니즘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368명의 결혼 1년 이상 5년 미만의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남의 유형은 의도적인 것과 우연한 만남이 비슷한 수준이었고, 23-26세에 처음 교제를 시작하여 평균 한 달에 10회 2년 이하의 교제기간을 거치며 6-12개월에 결혼하고 싶다는 생각과 함께 결혼을 결정하며 결혼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제진행과정에 있어서 각각의 단계를 지속시키는 여과망을 살펴본 결과, 첫만남의 시기에는 근접성 여과망이나 매력 여과망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반면, 결혼의식과 결정단계에서는 의견일치나 상호보완 등의 내면적인 기준이 중요한 여과망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이 Udry의 이론과 같이 6단계로 나뉘어 여과되지 않고 동시적.압축적으로 여과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노동시장통합과 결혼 이행 (Labor Market Integration and Transition to Marriage)

  • 윤자영
    • 한국인구학
    • /
    • 제35권2호
    • /
    • pp.159-184
    • /
    • 2012
  • 본 연구는 노동시장 통합이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결혼 시점과 결혼 3년 전의 일자리 유무와 고용형태를 가지고 일자리의 안정성과 지속성이 초혼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1997년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에 노동시장에 진입했을 가능성이 높은 두 집단을 코호트별로 나누어, 거시적인 사회경제적 변동 과정에서 노동시장통합이 결혼에 미친 차별적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한국노동패널을 사용하여 2008년도 기준으로 18세 이상인 성인 남녀의 결혼 이행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취업상태와 정규직 근무는 남성의 초혼 형성 해저드는 높이는 반면 여성의 초혼 형성 해저드는 낮추었다. 장기무직, 즉 교육이나 군대 기간을 제외하고 결혼 전 3년 동안 2년 이상 무직 상태에 있을 때 남녀 모두 결혼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았다. 정규직 근속기간이 2년 이상인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결혼 해저드가 높아졌다. 정규직 근속기간이 긴 남성에게서는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코호트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어 최근의 사회경제적 불확실성과 노동시장 불안정화의 부정적 영향이 더욱 강화되었음을 시사했다.

  • PDF

결혼보조금이 결혼에 미친 영향: 2004-2018 한국의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arriage Subsidy on Marriages: Focusing on Marriage Immigrants in South Korea 2004-2018)

  • 박지현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2호
    • /
    • pp.1-39
    • /
    • 2020
  • 이 연구는 2006년부터 한국의 일부 지자체에서 지원된 결혼보조금이 결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한국 남성과 외국인 여성 간의 국제결혼을 대상으로 한 결혼보조금은 국제결혼에 대한 경제적 유인을 증가시킨다. 2004-2018년 기간의 한국의 인구동향조사의 혼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초지자체(시군구) 및 연도별 결혼보조금 차이 및 이중차분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결혼보조금은 비혼 한국 남성이 외국 여성과 결혼하는 확률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한국 여성과의 결혼에 대한 구축효과(crowd out effect)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결혼보조금이 전체결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양으로 나타났다. 세부그룹 분석 결과 결혼보조금이 나이가 많고 학력이 고졸인 남성에게 있어 가장 뚜렷하게 국제결혼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 PDF

여성결혼이민자의 다문화가족지원사업 이용과 결혼의 안녕 및 희망의 관계 -문화상대주의와 강점관점에 기반한 지원사업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Utiliz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Services and Marital Well-Being and Hope among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A Focus on Participants of the Support Project Based on Cultural Relativism and a Strengths Perspective-)

  • 현경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2호
    • /
    • pp.127-157
    • /
    • 2014
  •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사회 정착과 결혼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실시되고 있는 다문화가족 지원사업의 이용이 실제로 이 여성들의 긍정적 변화를 도와 부부갈등인식 감소와 결혼의 안녕 및 희망에 기여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상대주의와 강점 관점에 기반 한 지원사업을 수행해 온 전국의 36개 기관들을 통해 수집된 여성결혼이민자 558명의 설문조사 자료가 이용되었다. 구조방정 식모형 분석결과, 예측대로, 지원사업 이용기간, 서비스 이용 빈도 및 이용서비스의 수로 측정된 지원사업 이용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이 보고한 긍정적 변화와 정적으로 연관되었고, 그런 변화는 이어서 부부갈등인식과 부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결혼만족과 결혼안정으로 측정된 결혼의 안녕 및 희망에 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또 긍정적 변화는 결혼의 안녕을 저해하는 부부갈등인식을 낮추어 결혼안녕을 강화하고, 이어 결혼안녕은 희망에 기여하여 이러한 간접경로로 희망을 도왔다. 이 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는 국내거주기간 및 한국어 능력이 지원사업 이용과 긍정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통제했을 때 지지되었지만, 아울러 지원사업 이용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다문화가족지원사업의 이용이 여성결혼이민자의 긍정적 변화를 도와 희망을 키우며 성공적인 결혼 생활을 촉진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 부부갈등을 야기할 수 있는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지원사업 이용의 순기능을 강화하면서 부부갈등을 초래할 수 있는 역기능적 요소들에 대처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들이 끝으로 논의되었다.

  • PDF

도시형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식생활행태 분석 (A Study on the Dietary Patterns affecting Acculturation among Marriage Migrant Women in Urban Area)

  • 김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73-189
    • /
    • 2015
  • 한국 사회는 국제결혼 등의 원인으로 다문화사회로 급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형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식생활행태를 분석하고,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해 규명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시 거주 다문화가정 89가구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의 비율과 유사하게, 중국(39.3%), 베트남(28.1%) 그리고 일본을 제외한 기타 국가로 나타났다. 도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유형은 연령이 높을수록, 거주기간이 길수록, 자녀가 있을수록 통합유형 성향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기간과 자녀의 유무는 동화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주변화유형으로 나타났다.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행태 관련 변인을 분석한 결과, 식사 태도, 식사의 다양성 그리고 생활과의 균형성 및 식생활행동은 문화적응 유형 중 통합유형과 유의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식생활행태 변인의 문화적응에 대한 영향력 분석을 한 결과, 통합유형인 문화적응에서 거주기간(31.4% 설명력), 한국어 사용 능력(34.2% 설명력), 그리고 식사의 다양성(33.5% 설명력)이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도시형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은 통합유형에 있어, 식생활행태가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도시형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긍정적인 문화적응은 올바른 식생활행태 확립이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관련 분야에서의 다양한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고정관념 김지현 (A Study about Cultural Sensitivity and Stereotype about Immigrant Women among Nursing Students)

  • 김지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305-314
    • /
    • 2014
  •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D시에 거주하는 간호대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21.79세. 대상자의 68.1%가 외국방문경험이 있었고, 여행기간은 1개월 미만이 80.6%였다. 실습기간 중 외국인 환자를 만난 적이 있는 것으로 보고한 간호대학생들은 66.0%였고 대상자의 90.3%가 다문화관련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간호대학생들의 문화적 민감성은 4점 만점에 2.90점이었으며,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은 3.01점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민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임상실습 기간과 다문화 관련 교육 요구, 외국 방문 경험이었으며,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문화 관련 교육 요구이었다. 이에 다문화 시대에 대비하여 간호대학생들의 문화적 민감성 증진을 위한 교육 과정 개발을 제언한다.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rital Adjustment Among Marriage Migration Females)

  • 김현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2호
    • /
    • pp.135-159
    • /
    • 2010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가 조사한 "결혼이주여성의 자아탄력성과 결혼적응"이다. 분석은 각 독립변수와 결혼적응의 관계를 다변량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결혼만족은 배우자지지, 가족생활스트레스, 의사소통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혼 의도는 자녀수, 가족생활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간 애정은 결혼기간, 배우자 지지, 의사소통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에서 가족생활스트레스가 공통적이며,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들의 가족생활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체계적이고 구조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PDF

유배우율 변화에 따른 유배우 기대여명의 추이(1960${\SIM]$2000)

  • 진영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9-64
    • /
    • 2005
  • 유배우율과 생명표의 작성기법을 응용하여 작성된 결혼생명표를 이용하여 1960${\sim}$2000년까지의 연령별 유배우율의 추이, 평균적으로 부부가 함께 생활하는 기간인 유배우 기대여명의 변화, 유배우 잠재 기대여명과 유배우 기대여명의 관계 등을 알아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