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결절

검색결과 938건 처리시간 0.031초

서울시 쇼핑.위락 목적통행으로 본 지역체계 (A Regional System of Seoul in Terms of Trip for Shopping and Leisure)

  • 김가은;임태선;홍현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545-55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424개 단위지구의 쇼핑 위락통행의 결절지역을 설정하고 상층으로 연계되는 지역체계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결절지역의 수직구조를 나타내는 고층인자분석을 이용하여 쇼핑 위락 통행을 분석한 결과, 쇼핑통행보다는 위락통행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며 1차 계층의 각 결절지역은 주요 발착지가 중앙에 위치하고 인접한 주변 단위지구에 발지 또는 착지가 연계되는 패턴을 보인다. 인자의 고유치가 클수록 공간적 범위가 넓게 나타나며 외곽에 위치한다. 고층으로 갈수록 결절지역을 형성하는 공간적 범위가 넓게 나타나며, 3차 계층 이상에서 양극인자에 따른 비지적 연계와 강남 강북 간 연계가 확연해진다. 또한 일반적인 쇼핑 위락 중심지로 여겨지는 종로 중구, 강남구, 영등포구를 중심으로 하는 결절지역의 연계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특히 종로 금천 결절지역은 2차 계층 이후 타 결절지역과의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상층으로 연계된다.

  • PDF

정상 아동과 성대 결절 아동의 음성 오용 및 남용 행동의 발생 빈도 비교 (Comparison on Frequency of Vocal Misuse and Abuse Behavior in Normal and Vocal Nodules Children)

  • 이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29-436
    • /
    • 2011
  • 음성 오용이나 남용이 후두염, 성대 결절, 성대 폴립 등과 같은 후두 질환 뿐 아니라 음성 문제의 원인이 된다는 사실을 여러 문헌들에서 밝히고 있지만 음성 환자들이 음성을 오 남용하는 양이나 비율에 관해서 이루어진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성대 결절 환자의 이러한 음성 오 남용 비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실험 도구를 개발하였고, 정상 아동과 성대 결절 아동의 음성 오 남용 행동의 발생 빈도를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실험은 초등학교 저학년(1학년~3학년) 남자 아동 가운데, 정상 아동 5명과 성대 결절 아동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성대 결절 아동의 음성 오.남용 빈도수는 평균 5,411(${\pm}145$)회, 정상 아동은 평균 3,133(${\pm}257$)회였으며, 성대 결절 아동이 정상 아동 집단 보다 음성 오 남용 행동의 발생 빈도수가 1.5배 정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요추부 후종인대에서 발생한 결절종 (Spinal Ganglion Cyst of Lumbar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 노성우;임승철;이호규;강신광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4호
    • /
    • pp.543-549
    • /
    • 2000
  • 결절종은 말초 관절이나 인대에서 비교적 흔히 발견되나 척추 내 결절종은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5예의 요추후종인대에서 발생한 결절종을 경험하고 이들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특징, 수술소견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저자들의 예에서 요추 내 결절종은 요통 및 하지통증을 유발하여 임상적으로 요추간반탈출증과 유사한 소견을 보였다. 요추 MRI상 진단이 가능하였고 5예 모두에서 특징적으로 요추디스크의 퇴행성 변화와 연관되어 있었으며 결절종이 요추디스크와 바로 인접된 부위에 위치하였다. 본 소견으로 저자들은 요추후종인대에서 발생한 결절종은 디스크의 퇴행성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추론하였다. 수술은 5예 모두에서 완전절제가 가능하였고 전 예에서 수술 후 증상호전을 보였다.

  • PDF

특발성 폐섬유증에서 발견된 폐결절의 악성여부 감별에서 F-18 FDG PET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F-18 FDG PET to Discriminate between Malignant and benign Nodule in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 김범산;강원준;이동수;정준기;이명철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3호
    • /
    • pp.163-168
    • /
    • 2006
  • 목적: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에서 폐암의 발생빈도가 정상인에 비하여 증가되어 있음이 알려져 있다. IPF 환자의 흥부전산화단층촬영(chest CT)에서 폐 결절이 관찰되는 경우 폐암의 발생과 IPF자체의 결절을 감별하기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IPF 환자의 chest CT에서 관찰된 결절의 악성 여부를 FDG PET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IPF로 진단된 환자 중, chest CT에서 악성 결절이 의심되어 FDG PET을 시행한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16명 (남: 14, 여: 2, 나이: $67.53{\pm}9.83$세)의 환자에서 관찰된 28개의 결절에 대하여 FDG PET과 CT소견을 분석 하였다. 대상 환자 중 2명은 소세포암과 성문하암으로 치료 받은 병력이 있었으며, 나머지 환자는 악성종양의 기왕력이 없었다. 결절의 악성도 여부는 조직검사와 CT 추적검사로 판정 하였다. 결과 : 10개 의 결절은 폐암으로 진단되었고, 18개의 결절은 양성 결절로 판정되었다(조직병리검사: 6예, chest CT 추적검사: 22예). FDG PET의 예민도는 100%이었으며 특이도는 94.4%이었다. 크기와 형태 및 크기 변화 등을 참고한 CT의 예민도는 70%이었고.특이도는 44.4%이었다. 악성 결절의 maxSUV는 $7.68{\pm}3.96$, 양성 결절은 $1.22{\pm}0.65$ 이었다(p<0.001). 폐섬유증부위에서 측정한 maxSUV는 $1.80{\pm}0.43$로써 악성 결절보다 낮은 값이었으며, 양성 결절보다는 높은 값이었다(p<0.001; p<0.001). CT에서 측정한 악성 결절의 크기는 $23.95{\pm}10.15mm$, 양성 결절은 $10.83{\pm}5.23mm$이었다(p<0.02). 결론 : FDG PET은 IPF 환자의 CT에서 발견된 폐 결절을 감별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폐 결절에서 FDG-PET의 유용성과 표준섭취계수와 혈당농도의 상관관계 (Utility of FDG-PET in Solitary Pulmonary Nodul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andardized Uptake Values of PET and Serum Glucose)

  • 김규식;임성철;고영춘;박경화;주진영;조계중;김수옥;오인재;김유일;김영철;김성민;송호천;범희승;박경옥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6호
    • /
    • pp.589-596
    • /
    • 2003
  • 연구배경 : 고립성 폐 결절의 양성과 악성의 감별은 치료와 예후를 결정하는데 중요하지만 결핵성 육아종의 빈도가 높은 국내에서는 감별진단이 쉽지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고립성 폐 결절의 진단에 정확성이 높다고 알려진 PET의 유용성과 혈당농도와 결절의 표준섭취계수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병원에서 시행한 단순 흉부사진상 발견된 고립성 폐 결절과 타 병원에서 이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 중 FDG-PET 및 조직학적인 검사로 진단된 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61례에서 악성 결절은 48례(편평상피세포폐암 23례, 선암 16례, 소세포폐암 9례), 양성 결절은 13례(염증성 육아종 9례, 결핵종 3례, cryptococcosis 증 l례) 이었다. 침상형을 가진 경우는 모두 악성 결절을 보였으나 분엽성과 침상형을 모두 갖지 않은 경우에서도 악성 결절을 보여 이러한 결절의 변연으로 악성과 양성 결절을 명확히 구분할 수 없었다. PET의 경우 SUV cut-off value를 3.0으로 하였을 때 13례의 양성 결절 중 10례에서 3.0 이하의 수치를 보였으며 3례에서 SUV가 3.0 이상으로 증가되었다. 악성 결절 48례는 모두 SUV가 3.0 이상의 값을 보였다. 악성 결절의 평균 SUV는 $9.52{\pm}5.20$, 양성 결절은 $1.61{\pm}3.60$으로 두 군간에 의의 있게 차이를 보였다. 폐암 환자에서 당뇨병을 가진 환자 군과 당뇨병이 없는 군의 평균 SUV에선 $9.10{\pm}4.51$, $9.65{\pm}5.46$으로 두 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FDG-PET 검사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치 및 음성 예측치는 100%, 77%, 94% 및 100%의 결과를 보여 다른 검사에 비하여 진단적 정확성은 높았으나 상대적으로 특이도는 낮았다. 결 론 : 고립성 폐 결절에 대해 FDG-PET 진단검사는 비침습적인 검사로 다른 검사에 비하여 높은 정확도를 보여 주고 있으며 혈중 포도당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특이도가 낮은점은 결핵종 등이 많은 우리나라에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견갑골 관절와의 골내 결절종: 증례 보고 (Intraosseous Ganglion of the Scapular Glenoid: A Case Report)

  • 신규호;조용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7-40
    • /
    • 2012
  • 골내 결절종은 양성 낭종으로서 주로 관절 근처의 연골하골에 위치하며 점액성으로 변화된 섬유성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골내 결절종은 다양한 골격 부위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경골 및 대퇴부의 원위부 등에서는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지만, 견갑골의 관절와에 위치한 골내 결절종 증례는 매우 드물며, 문헌 조사상 국외에서 14개 증례만 찾아볼 수 있다. 이에 본 교실에서는 견갑골의 관절와 골내 결절종에 대한 2예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임상적 증상이 없는 갑상선 결절에 대한 초음파영상 소견 (Ultrasonography findings on thyroid nodule with no clinical symptom)

  • 김화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8권3호
    • /
    • pp.211-21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건강검진센터에서 임상적 증상 없이 갑상선 초음파를 시행 한 30대-70대 838명을 대상으로 갑상선 결절(thyroid nodule) 유무와 연령 및 성별에 의한 결절의 수, 결절의 크기, 결절의 발생 부위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구 대상자 838명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가 368명(44%), 여자가 470명(56%)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1세 이었다. 2. 전체 대상자 838명 중 정상으로 진단된 경우는 590명(70%), 결절이 있는 유소견자는 248명(30%)으로 평균 30%의 갑상선 결절 유소견을 보였다. 3. 갑상선 결절의 연령대별 빈도는 $30{\sim}40$대 남자 $10%{\sim}14%$, 여자 $20{\sim}29%$, $50{\sim}60$대 남자 $27{\sim}33%$, 여자 $37{\sim}52%$, 70대 남자 46%, 여자 50%로 나타났다. 4. 갑상선 결절 유소견자 248명을 단일성 결절(solitary nodule)과 다발성 결절(multiple nodule)로 구분한 결과 단일성은 125명으로 50.5%, 다발성은 49.5%를 보여 거의 같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다. 5. 갑상선 결절의 크기는 모든 연령층에서 대부분 작은 크기의 결절을 가지고 있었으며 $1{\sim}10\;mm$의 크기가 유소견자 248명 중 187명(75%)으로 가장 많았고 $11{\sim}20\;mm$는 45명(18%), $21{\sim}30\;mm$는 14명(5.6%), 31 mm이상은 2명이었다. 6. 결절의 해부학적 발생부위는 우엽 93명(38%), 좌엽 67명(27%), 양엽 75명(30%), 협부 13명(5.3%)으로 나타나 우엽에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고 있으며 협부에는 적게 발견되었다.

  • PDF

초음파검사에서 갑상샘 결절의 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에 따른 분석 (Analysis of Fine Needle Aspiration Results of Thyroid Nodules in Ultrasonography)

  • 곽종길;한재복;송종남;문일봉;최남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290-297
    • /
    • 2016
  • 본 연구는 직장건강검진 수검자의 갑상샘 초음파 검사에서 발견된 결절 중 1 cm 보다 큰 결절이거나 초음파상 악성을 시사하는 경우의 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를 1군으로, 결절의 크기와 상관없이 초음파상 악성을 시사하는 경우의 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를 2군으로 나누어 세침흡인세포검사가 필요한 결절 양상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1군에서 15.8%가 악성이었고 2군에서는 28%에서 악성으로 나왔다. 악성을 시사하는 소견은 양성과 악성 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결절의 크기가 1 cm 이상이지만 고위험 인자를 동반하지 않으면서 초음파검사 결과 스폰지(spongiform) 형태 소견을 보일 때에는 거의 대부분 양성이므로 세침흡인세포검사가 불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이러한 초음파 소견의 의미는 갑상샘 결절에 대한 세침흡인세포검사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된다. 현재 갑상샘 결절에 대한 세침흡인세포검사 시행은 결절의 크기가 1 cm 이상이면 스폰지 형태라도 환자의 불안감에 편승하여 행하여지는 경우가 흔하다. 그러나 양성과 악성 결절을 감별하는데 있어서 갑상샘 초음파 소견을 정확히 숙지한다면 불필요한 세침흡인세포검사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초음파검사로 진단된 갑상선결절의 융복합 위험요인 (Convergence Risk Factors for Thyroid Nodules Diagnosed Ultrasound)

  • 이혜남;박연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305-310
    • /
    • 2016
  • 최근 초음파검사의 접근이 일반화되면서 한국에서는 갑상선암발생율의 연간변화율이 24.5%로 상승하였다. 이에 고식적 갑상선암의 위험요인인 전리방사선과 요오드식이 이외의 갑상선암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1년 1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종합검진센타에서 초음파검사 후 미세침흡인검사로 진단된 양성결절 260명과 악성 결절 151명의 여자를 대상으로 나이, 혈액학적 수치, 비만지수, 허리둘레, 폐경여부, 유방결절 유무, 자근근종 유무, 지방간 유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갑상선암 그룹에서 비만인 경우, 유방의 결절과 자궁근종이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갑상선자극호르몬 수치가 양성결절그룹보다 높게 나타났다. 향후 갑상선 및 갑상선암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정립시키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사람치주인대섬유모세포에 의한 골결절 형성시 Chlorhexidine의 효과 (The Effect of Chlorhexidine on the formation of bone nodules by Periodontal ligament Cells in Vitro)

  • 최희준;지숙;국중기;장현선;박주철;김흥중;김종관;김병옥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6권2호
    • /
    • pp.375-383
    • /
    • 2006
  • 사람치주인대섬유모세포(huma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 PDLF)의 기능 손상과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CHX)의 세포독성에 관한 분자적인 기전은 최근까지도 불명확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PDLF에 의한 골결절 형성에 있어서 CHX의 효과를 평가하고, 치주수술후에 치주병원균의 최소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CHX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MTT assay법을 실시하였다. CHX은 0.12%에서 0.00012%까지, 즉 10-1000배로 희석시킨 후 30, 60, 120초 동안 PDLF에 적용되었고, 석회화된 결절은 alizarin red 용엑에 염색되었다. 치주병원균에 대한 CHX의 MIC가 평가되었다. 이 연구 결과, 세포생존율 검사에서는, 단지 0.12% CHX 에 노출되었던 세포들만 세포 증식 소견을 다소 나타내었다. 모든 CHX 농도(0.12%-0.00012%)에서 PDLF에 의한 골결절 형성은 의미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치주병원균에 대한 CHX의 MIC는 0.0012%로 나타났다. PDLF의 골결절 형성에 영향을 주는 농도(0.00012%)는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농도(0.12%)보다 더 낮은 농도를 보였고, 치주병원균의 최소억제에 필요한 농도는 0.0012%로 나타났다. 이런한 결과들은 통상적으로 상용되는CHX이 PDLF에 의한 골결절 형성에 있어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