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결실

Search Result 74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사과, 배 인공수분과 적과요령

  • 김점국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10 no.3 s.90
    • /
    • pp.90-96
    • /
    • 1989
  • 과수재배에 있어 결실조절이란 안정된 수량과 좋은 품질의 과실을 생산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충분한 결실량의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과종에 따라서 그해의 기상조건이나 격년결과에 의해 결실불량이 문제되는 경우가 있으나 정상적인 재배관리하에서는 대부분의 과수가 결실이 과다하여 과실품질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많으므로 적기에 합리적인 결실조절이 이루어져야 좋은 품질의 과실을 생산할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결실조절중 인공수분과 적과에 관하여 사과, 배를 기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 PDF

Analysis of Acorn Production of Quercus spp. in Mt. Jiri National Park (지리산국립공원 참나무류의 결실량에 대한 연구)

  • Kim, Jeong-Jin;Kim, Jeong-Woon;Jung, Hye-Ran;Chung, Jae-Min;Kang, Mee-Young;Cho, Min-Gi;Moon, Hyun-Shik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6 no.4
    • /
    • pp.1-8
    • /
    • 2012
  • Acorn production of some oak species from 2008 to 2010 in Mt. Jiri national park(Pia, Bitjeom, Jangdang, Baemsa, Hansin, and Chilsun) was measured and compared among study area, altitude and aspect because acorns are an important wildlife food resources. Acorns were produced the most in Jangdang and Bitjeom area at year of good fruiting, and those of Bitjeom and Hansin area were produced the most at bad fruiting year. In terms of altitudinal characteristics on acorn production, acorn production in 1000 and 900 m was the most at good fruiting year, and 800 and 900 m at bad fruiting year showed the most production of acorn. Throughout the study period, acorn production on southern slopes was larger than that of northern slopes.

VD Special-벤처인에게 들어보는 올해의 결실

  •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 Venture DIGEST
    • /
    • s.60
    • /
    • pp.24-24
    • /
    • 2004
  • 벤처인들의 큰잔치 벤처코리아 2004가 벤처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성황리에 끝이 났다. 이번 행사에서 알찬 결실을 일군 벤처인들을 만나 기억에 남는 올해의 결실에 대한 얘기를 들어보았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and Fruiting and the Factors Affecting Fruiting Degree of Acer pictum subsp. mono (고로쇠나무 개화·결실 특성 및 결실등급에 영향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Kim, Hoi Jin;Kim, Gab T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4 no.2
    • /
    • pp.179-186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and the factors affecting fruiting grades of Acer pictum subsp. mono(APSM),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and fruiting in various natural APSM forest, and investigated annual fruiting grade, DBH, tree height, number of APSM trees within 30 m on 29 selected trees in the natural broadleaved forest in Mt. Jungwang in Gangwon-do, from 2009 to 2014. APSM has heterodichogamous sexual system consist of protoandry and protogyny. Eight trees have changed their sex morphs; 3 trees change the sex morph PA to PG, and 5 trees does the sex morph PG to PA. Early fall of young ovary is concentrated until early July. Initially, the small samaras are common, and was gradually increased the samaras suffered insect damage. Most flowers of APSM are pollinated by Andrenidae sp., Syrphidae sp. and Tachinidae sp.. Number of early fall samaras and the status of fallen samara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year and region. Corymbose panicle and young leaves developed on the top of APSM twigs. Newly grown opposite twigs of APSM did not grow sufficiently and had no floral buds. The highest fruiting grade of tree was 9.0, and the mean values was only 3.8. The highest fruiting grade of year was 4.55 in 2013, and the lowest did 0.07 in 2014. Highly significantly correlated and regressed between mean of annual fruiting rates and rates of crown under sun light. This results would imply that thinning for tree growth through improved light absorption might be a method to enhance seed production of APSM in the seed production forest.

Optimum Culture Condition and Seed Harvesting Time For the Superior Seed Production in Wild Vegetable (산채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적정재배 조건 및 채종시기)

  • Ahn, Song Hee;Moon, Jung Seob;Lee, Yong Mun;Yang, Jin Ho;Kim, Dong Won;Ahn, Min Si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84-84
    • /
    • 2019
  • 산채류의 종자 및 종묘는 시중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산채 꾸러미에 분류되는 작물 중 개미취(Aster tataricus), 섬쑥부쟁이(Aster glehnii ), 우산나물(Syneilesis palmata)은 주로 종묘의 형태로 공급되어 수급이 안정치 못하다. 이에 본시험은 개미취, 섬쑥부쟁이, 우산나물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 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시험작목을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6년 4월에 종묘를 노지에 정식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8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처리구별 각 작물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각 작물별 개화 후 50일, 70일, 90일, 110일, 130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과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개화가 시작된 일자는 개미취의 경우 하우스재배, 노지재배, 차광재배 순으로 빨랐으며 섬쑥부쟁이는 노지재배에서 개화시기가 가장 늦었다. 모든 작물의 개화가 종료되는 시점은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개화율은 개미취와 섬쑥부쟁이는 노지재배,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순으로 많았으며 우산나물은 노지재배시 개화율이 9.3%로 매우 낮았다. 개화기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개미취는 초장과 엽폭이 차광재배, 하우스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커지는 경향이었으며, 섬쑥부쟁이는 하우스 재배에서 타 재배방법에 비해 우수하였다. 우산나물은 차광재배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결실률은 개미취와 섬쑥부쟁이는 재배방법에 상관없이 결실률이 60%이상이었다. 반면 우산나물은 평균 31%로 타작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결실률이 낮았으며 차광 재배일 때 43%로 가장 결실률이 좋았다. 개미취는 개화 50일 이후부터 종자 결실률이 65%이상으로 높았으며, 섬쑥부쟁이의 결실률은 개화 후 50일이 가장 좋았으며, 그 이후로 점차 결실률이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우산나물은 개화 후 90~110일경에 가장 결실률이 높은 경향이었다. 개미취는 개화 후 70일일 때 가장 발아율이 낮았으며, 90일일 때 가장 발아율이 좋았다. 섬쑥부쟁이의 발아율은 개화 50일 이후부터 최종 채종시기까지 80%이상으로 우수하였다. 우산나물은 채종시기에 따라 발아율 정도가 매우 상이하여,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발아율이 높아졌다. 따라서 개미취는 하우스 재배를 통해 개화 후 90일 때 채종하는 것이 가장 발아율이 좋았으며, 섬쑥부쟁이는 차광재배일 경우 개화 50일 이후에는 발아율이 90% 이상이므로 이때부터 종자비산 전까지가 채종적기로 판단된다. 우산나물은 타작물에 비해 다소 결실률이 떨어지나 차광재배 시 개화 110일 후 우량종자를 채종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

나무이야기 - 조경수의 다양한 활용(10) - 나무의 결실

  • Jo, Su-Yeon
    • Landscaping Tree
    • /
    • s.113
    • /
    • pp.28-31
    • /
    • 2009
  • 길을 걷다보면 간혹 바닥에 떨어져 있는 은행을 만나기도 하고(도시에서는 이미 누군가의 발에 밟혀서 뭉개져 있기 십상이지만), 몇 개 아슬아슬 남겨져 있는 감이 담장 너머로 보이기도 하는 요즘이다. 나무가 열매로 자신의 결실을 보이는 가을. 물론 잡지가 발간되었을 지금은 가을이라기보다는 겨울이라는 느낌이 강하겠지만, 원고를 위해 사진을 찍던 11월 말은 늦가을의 느낌이 더 강했던 시기였다. 가을은 때론 쓸쓸하고, 때론 아름답고, 가끔은 처연(凄然)하지만, 강한 인상에 비해 그 기간은 매우 짧아서 금세 기억에서 잊혀진다. 여름이나 겨울처럼 강렬하지 못하기 때문일까. 곧 더 추운 겨울이 닥칠 것이다. 12월이면 지난 1년을 되돌아 보아야할 때다. 올 한해의 결실을 점검하구 내년도의 목표를 세우는 시기. 과연 여러분들은 어떠한 결실을 이루었다고 생각하시는지.

  • PDF

수세안정 결실조성 품질향상 -과수의 정지$\cdot$전정요령-

  • 한국농약공업협회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5 no.10
    • /
    • pp.88-95
    • /
    • 1984
  • 과수를 심고 자연상태로 두면 햇빛의 투여량과 통풍이 불량해진다. 이렇게되면 수관 외부에만 과실이 달리게 되고, 가지의 생육도 약하게 되어 병충해의 발생이 많게 된다. 정지전경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과수의 생리상태를 조절하므로서 나무의 골격을 형성하고 나무의 생장과 결실의 균형을 유지시키므로서 수세의 안정을 얻고, 결실을 조정하며 과실의 질을 향상시키고 병해충의 발생억제와 여러가지의 작업능룰을 좋게하는데 있는 것이다.

  • PDF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n fruit set in Epipactis thunbergii (Orchidaceae) from southern Korea (한국남부 자생 닭의난초 (난초과)의 시 공간에 따른 결실률 변이)

  • Chung, Mi Yoon;Chung, Myong Gi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5 no.4
    • /
    • pp.353-361
    • /
    • 2015
  • Spatio-temporal variation in fruit set in orchids would affect long-term population viability and will influence genetic diversity over many genera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reeding system of the nectariferous terrestrial orchid Epipactis thunbergii, to specifically determine levels of fruit set in terms of time and space under natural conditions. We examined pollination under natural conditions and conducted hand pollination experiments during a 2-year survey in four populations located along 1.5 km of coastal line in Jinguiri (rual village) [Jeollanam-do (province), southern Korea]. We found that, over a 2-year period, levels of percentage of fruit set were similar within patches of the four populations. By contrast, we detec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 of fruit set among patches. We also found that plants with larger inflorescence size produced significantly more fruits than plants with fewer flowers. Over a 2-year period, the percentage of fruit set for E. thunbergii was similar but low (14.1%) compared to that averaged for eighty-four rewarding species (37.1%). However, an increase in fruit set was achieved by hand-pollinations: artificial self-pollination (90.5-95.2%), artificial geitonogamy (94.7-95.0%), and cross-pollination (artificial xenogamy, 91.3-91.4%). No emasculated flowers produced fruits and no automatic pollination was found in E. thunbergii. Our findings suggest that E. thunbergii is a self-compatible terrestrial orchid that depends on pollinators (insects) to achieve fruit set in natural habitats, and that local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similar over a period of 2 years in the study area. Our results also highlight the cryptic variation of fruit production in time, but more pronounced variability in space.

Characteristics of Self-compatible Variety from Native Lilium tigrinum Thunberg (우리나라 자생 참나리에서 선발된 자가결실성 2배체 품종의 특성(特性))

  • Ha, Yoo-Mi;Kim, Dong Yeob;Han, In Song
    • FLOWER RESEARCH JOURNAL
    • /
    • v.18 no.4
    • /
    • pp.284-290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breed a self-compatible variety of Tiger Lily from the seedlings originated from Chinju city, Gyeongsangnam-d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loidy, and the resistance of seedlings to virus infection were investigated. A progeny test was also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propagated progenies had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mother plant. The self-compatible diploid lily variety developed in this study showed a tall type like native triploid lily, Lilium tigrinum, and bulbils were formed on both lily varieti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s and leaves were not much different between the varieties, while the size of the bulbils and bulb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percentage of seed generation by self-pollination was 72.6% for the self-compatible variety, while there was no seed generated for native triploid lily. The number of chromosome was 2n = 26 (x = 13, diploid) for the self-compatible variety, while 2n = 39 (x = 13, triploid) in native lily variety. The progenies of the self-compatible diploid lily variety showed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ose of its mother plant in morphology, seed germination, and polyploidy. The mother plant of the self-compatible diploid lily variety showed 58% pollen germination and the 2-year-old and 3-year-old progenies showed similar germination percentages. The pollen grains of Korean native triploid lily, however, never germinated.

식물체내 sapogenin의 계절적변화

  • 백근제
    • YAKHAK HOEJI
    • /
    • v.1 no.1
    • /
    • pp.19-22
    • /
    • 1948
  • Yucca schotti, Samuela carnerosana, Agave strita 각부분에 있어 결실전후의 steroidal sapogenin 분포상태를 연구하여 결실후에는 monohydroxy steroid는 존재치 않고 단지복합 polyhydroxy steroid만이 존재함을 증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