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결근율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5초

제조업 근로자들의 결근요인 분석 (A Study on the Factors of Absenteeism among the Manufacturing Workers)

  • 이동배;이태용;조영채;이영수;오장균;박암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4호
    • /
    • pp.574-586
    • /
    • 1993
  • 산업장 근로자들의 결근실태와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대전시내에 위치한 제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1,184명을 대상으로 1992년 6월에서 8월 사이의 3개월간 결근양상에 대한 조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총결근자율은 20.1%, 질병결근자율은 6.9% 였으며 총결근율은 1.2%, 질병 결근율은 0.5%로 나타났다. 2. 결근자의 평균결근일수는 2.8일이었으며 이중 질병으로 인한 경우가 4.4일, 질병이 아닌 원인으로 인한 경우는 1.4일로 나타났다. 원인별 질병결근의 평균결근일수는 두부, 사지, 체간의 상해로 인한 경우가 $13.2{\sim}18.6$일로 다른 원인에 비해 높았으며, 총 결근일수는 사지상해, 체간상해, 몸살, 두부상해, 근골격계 증상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3. 결근여부에 관련있는 변수로서 총결근여부에는 고용구분, 교육정도, 유해요인 노출여부, 1일 근무시간, 직종의 변수였으며, 질병결근여부에는 고용구분, 교육정도, 직종 변수였다. 4. 결근자군에서 결근율에 영향있는 변수로서 총결근율에 작업분위기, 비만지수, 작업환경, 1일 작업시간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총결근율에 대한 설명력은 13.1 % 였다. 질병 결근율에는 1일 작업시간, 교육정도, 작업분위기의 순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질병결근율에 대한 설명력은 25.4% 였다.

  • PDF

산지삼포에서 면삼율 결주율 및 토양화학성의 상호관계 (Relationship among Dormant Root Rate Missing Root Rate and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in Ginseng Plantations)

  • 박훈;김갑식;변정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80-183
    • /
    • 1985
  • 산지삼포에서 면삼율과 결근율을 조사하여 토양의 화학성과 단순상관 관계를 보았다. 면삼율은 근령에 관계가 없었고 결근율과 정상관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면삼율은 토양의 유효인산함량 및 인산일수분비와 유의정상관을 보였다. 결근율은 토양 수분 및 Ca과 유의부상관, 인산일수분비와 유의정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면삼과 결근의 공통요인으로 토양인산의 과다와 토양수분의 부족임을 시사한다.

  • PDF

간호사의 건강문제에 따른 프리젠티즘과 결근율의 관계 (Presenteeism and Absenteeism According to Health Problems on Nurses)

  • 이영미;정문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59-468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senteeism and absenteeism in relation to the health problems of nurses. Method: Informed consent was provided befor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January 7 to March 6, 2008 by Stanford Presenteeism Scale-13. Data was collected from 3 hospitals in Seoul Gyeonggi area. The response rate of the questionnaires was 96.2%. Incomplet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program. Results: Shoulder, back and neck pain were the highest reported health problems and primary health Problem of nurses. Impaired presenteeism was ranked in this order: depression or anxiety, cold, and uterus or ovary disorder. Absenteeism was ranked in this order: uterus or ovary disorder, cold, and dermatological problem. Impaired presenteeism was significantly increas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health problems. But Absenteeism was not. Presenteeis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educational level, religion, whether or not the worker lived with their family, marital status, whether or not the worker has children, time spent in the workforce, experience of turnover, shift work, night work, and level of satisfaction with salary. But absenteeism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given these criteria. Conclusions: Health problems of nurses can negatively effect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and productivity at hospital. Therefore the hospital administrator should control the presenteeism and absenteeism through the management of health problems of nurses.

  • PDF

근로자의 건강문제에 따른 경제적 손실정도 (Economic Impact according to Health Problems of Workers)

  • 이영미;정문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612-619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ealth problems and to estimate economic impact based on health problems of worker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01 workers who received a group occupational health service. Data was collected from February 1 to March 30, 2006. The questionnaire contained questions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Stanford Presenteeism Scale.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using SPSS program. Results: The primary health conditions as reported by workers were ranked in order as stomach or bowel disorders, back or neck disorders, or liver function disorders. The reason of absenteeism per worker was ranked in order as asthma, or a breathing disorder. The reason of presenteeism was ranked in order as asthma, insomnia or a sleep disorder. The cost of the total economic impact on the workplace in this study was 8,851,838 won. The cost of absenteeism per worker was 8,390 won. The cost of presenteeism per worker was 941,732 won. Conclusion: Presenteeism had a strong correlation to health conditions of the workers. Therefore, improving the work conditions of the workers is very important. If employers improve the health condition of workers, they will benefit from improved productivity in their business.

한국과 일본 근로자의 프리젠티즘과 스트레스, 건강문제, 결근율, 생산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stress, health problems, absenteeism, productivity and presenteeism in Korean and Japanese workers)

  • 이영미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2-212
    • /
    • 200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tress, health problems, absenteeism, productivity and presenteeism in Korean and Japanese workers. Methods :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12 to July 18, 2008 in both countries. The content of questionnaires was demographic factors, stress and the Stanford Presenteeism Scale. Korean data from 810 workers was collected and Japanese data from 822 workers was collected by same questionnaires of both language. SPSS 12.0 and AMOS 5.0 program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The major health problems in relation to the impaired presenteeism of Korean workers were dizziness, allergy, headache and dysmenorrhea, and for Japanese workers were arthritis, depression, and diabetes mellitus. Impaired presenteeism was increasing when the numbers of health problems were increasing in both countries. In Korean workers, job-related stress and the numbers of health problems directly affected presenteeism. In Japanese workers, job-related stress, life-related stress and the numbers of health problems directly affected presenteeism. Conclusions : Health managers should includ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management programs for presenteeism control in workplace. They can obtain a greater benefit through both programs.

볏짚부초가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 및 인삼(人蔘)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traw Mulching on Soil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Ginseng Plant)

  • 박훈;목성균;이종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2-37
    • /
    • 1985
  • 볏짚부초의 인삼(人蔘) 근부(根部) 및 지상부생육(地上部生育)에 대(對)한 효과(效果)와 토양(土壤)의 물리(物理) 및 화학성(化學性)에 주는 영향(影響)은 포장조건(圃場條件)에서 조사(調査)하였다. 볏짚부초는 수량(收量), 경장(莖長)과 엽면적(葉面積)을 증대(增大)하고 낙엽주율과 결근율을 감소시켰다. 볏짚부초는 토양(土壤)의 경도(硬度), 공극율(孔隙率)을 좋게 유지시켰다. 볏짚부초는 보수력(保水力)을 증대(增大)시키고 지온(地溫)을 강하(降下)시켰으며 후행(後行), 전행(前行) 중간행(中間行)의 순(順)으로 그 효과가 적어졌다. 볏짚부초는 토양의 유효인산(포장에 따라 극심하게), 치환성 칼리, 유기물 함량을 증대시키고 치환성 칼슘함량을 감소시키고 pH 강하를 억제하였다. 볏짚부초는 잡초발생(雜草發生)을 크게 억제하였고 토니(土泥)의 오염을 막았으며, 골가토, 두둑다짐, 상면가토 등의 작업을 배제하였다.

  • PDF

일반 성인 남성과 직업군인의 보건의식 행태 및 의료이용 현황 비교분석 (Comparison of Health Behaviour and Medical Utilization between Citizen & Soldier Study)

  • 양동현;이무식;홍지영;배석한;장민영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26-330
    • /
    • 2009
  • 본 연구는 일반 성인남성과 직업군인의 건강형태 및 의료이용에 대해서 2005년도 국민건강 영양조사의 자료를 질병관리본부로부터 획득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보면 전체조사 대상자는 8,384명으로 21세~55세의 일반성인남성과 직업군인만을 선정하였으며, 직업군인은 76명, 일반 성인 남자는 8,308명이었다. 보건의식 행태 분포에서 보면 현재 흡연상태는 일반인에 비해 직업군인이 높고, 주관적 체격인식은 일반인의 경우 비만 또는 매우 비만이라 인지하는 비율이 직업군인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지만, 실제로 지난 1년간 체중조절 여부는 일반인이 오히려 직업군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업군인의 보건의식 행태는 평균 연령(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간 침상와병일수는 직업군인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월간 결석, 결근일수는 오히려 낮게 나타났다. 더불어 월간 결석, 결근일수(p<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연간 입원이용율은 일반인이 높았으며, 평균 재원일수, 건당 평균 입원기간은 일반인에 비해 직업군인이 길었다. 2주간 외래 이용율은 일반인이 17.2%, 직업군인이 21.6%로 직업 군인의 외래이용이 많았고, 평균 외래이용 횟수에서도 일반인이 1.92, 직업군인이 2.44로 직업군인이 많았다. 이용한 보건의료기관의 종류에서는 일반인은 의원급이, 직업군인은 병원급의 외래이용이 많았고 2주간 약국 이용율은 직업군인이 16.2%로 일반인 22.0% 에 비하여 낮았다. 연간 사고 및 중독 발생자율은 직업군인이 9.5로 일반인 7.9에 비하여 높게 나타 났으며, 사고 및 중독 발생횟수에서는 일반인이 직업군인에 비하여 높았다. 의도성별 분포(p<0.05), 주치료기관(p<0.05)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적 특성, 보건의식행태, 건강수준의 분석 및 일반적 특성을 보정한 상태에서 일반 성인남성과 직업군인의 보건의식 행태와 의료이용 분포를 비교 분석한 것으로 향후 직업군인의 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과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 PDF

치과기공사의 호흡기 질환 자각증상과 유병상태 관련 요인 (Statistical Analysis of Subjective Symptoms of Respiratory Disease and Factors Related to Prevalent Status among Dental Technicians)

  • 오선미;권은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55-369
    • /
    • 2011
  • 본 연구는 치과기공사의 호흡기 질환의 자각증상과 관련되는 작업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 경기도 지역의 치과기공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데이터를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분석결과 연구 대상자의 평소 기침 호소율은 성별, 현재 흡연유무, 총 기공경력, 주당 근무일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둘째, 연구대상자의 평소 가래 호소율은 주당 근무일수 항목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셋째, 연구대상자의 가래나 담이 지속되는 호소율은 주당 근무일수, 통증 증상 호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넷째, 연구대상자의 평소 코막힘, 코감기 호소율은 성별, 연령, 주당 근무일수, 업무 중 휴식시간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다섯째, 연구 대상자의 평소 숨참 호소율은 성별, 운동정도, 운동 평균시간, 주된 업무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여섯째, 연구 대상자의 폐질환 증상으로 인한 결근 경험율은 주된 업무 항목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비철금속제조업 생산직 남성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관련요인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Male Workers in a Nonferrous Manufacturing Industry)

  • 정연옥;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552-3560
    • /
    • 2012
  • 본 연구는 한 비철금속 제조업 생산직 남성 근로자들의 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별 근골격계 자각증상호소율을 파악하고 그의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한 비철금속 제조업체 근로자 30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1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무기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부위별 증상 호소율은 어깨부위의 증상이 42.7%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허리부위 36.8%, 목 부위와 손/손목/손가락 부위가 각각 30.5%, 다리/발 부위 30.1%, 팔/팔꿈치 부위 20.9%의 순위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근골격계 자각증상 호소율은 연령, BMI가 낮을수록,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관련 행위 특성별 자각증상 호소율은 질병으로 인한 결근한 적이 있다는 군, 외래 진료를 받은 적이 있다는 군, 입원진료를 받은적이 있다군, 규칙적인 운동이 비운동군, 수면시간이 부적당한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직업관련 특성별 자각증상 호소율은 업무의 신체적 부담정도가 힘들다는 군, 허리를 구부리는 작업을 하는군, 직장생활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군, 근속기간이 10년 이상인 군, 허리를 구부리는 작업을 한다는 군, 반복 작업을 한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생산직 남성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자각증상은 여러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행위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