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견갑골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5초

단독 후외측 견봉 골절에 대한 내고정술 - 증례 보고 - (Internal Fixation for Isolated Posterolateral Fracture of the Acromion - A Case Report -)

  • 권영호;정구희;차상원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1호
    • /
    • pp.62-65
    • /
    • 2008
  • 견갑골의 견봉에서 일어나는 골절은 오구돌기, 관절와와 같은 다른 견갑골 부위의 골절과 동반되거나 견봉쇄골 관절 탈구와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며, 이들 대부분의 골절은 전위가 많지 않아 보존적인 방법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저자들은 견갑부 주위 골절의 동반 없이 단독으로 견봉 후외측부위에 골절 및 전위가 있는 환자에서 유관나사 및 K-강선을 이용한 내고정으로 좋은 기능적 결과를 경험하였기에 견봉 골절 내고정을 위한 술기적 특징 및 문헌적 고찰을 보고하고자 한다.

우측 흉벽에 발생한 탄력섬유종 (Elastofibroma Dorsi in the Right Chest Wall)

  • 류상우;송상윤;오상기;나국주;안병희;최유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532-535
    • /
    • 2008
  • 71세 여자 환자로 우측 견갑골 하방의 종물을 주소로 내원하여, 적출술 시행하였으며 탄력섬유종으로 진단되었다. 탄력섬유종은 양성의 연조직 종양으로 견갑골 하방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느린 성장과 탄력소를 포함한 섬유질이 증식하는 특성이 있다. 탄력섬유종은 발생이 드문 질환이며 원인이 아직 잘 밝혀지지 앎은 종양이다. 상기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견갑부에 발생한 양측성 배부 탄성섬유종 - 증례 보고 - (Bilateral Elastofibroma Dorsi of the Shoulder - Case Report -)

  • 이우승;김택선;김영배;강종우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2호
    • /
    • pp.241-245
    • /
    • 2007
  • 86세의 고령의 남자 환자에서 발생한 견관절부 양측성 배부 탄성섬유종을 침 생검으로 확진하고 2년간 경과 관찰한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배부 탄성섬유종은 주로 고령의 환자에서 견갑골 하각 주변부에서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저자에 따라 발생 빈도에 대한 보고가 다양하다. 이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으며, 제한적인 경우에서도 변연부 절제술만으로 충분하다. 노인의 견갑골 하각 주변부에 발생한 종괴의 감별진단 시에는 반드시 배부 탄성섬유종을 포함하여야 하며,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수술적 치료는 피해야 한다.

견갑골의 방골성 연골지방종: 증례 보고 (Parosteal Chondrolipoma of the Scapula: A Case Report)

  • 장연;유지영;공준석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676-681
    • /
    • 2024
  • 방골성 지방종은 뼈에 매우 인접한 위치에 생기는 지방종으로 전체 지방종의 약 0.3%를 차지하는 드문 종양이다. 한편 연골지방종은 지방종에서 연골 화생이 발생한 것으로 성숙한 지방조직과 연골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방골성 지방종과 연골지방종의 특징을 모두 보이는 경우는 더욱 드물다. 저자들은 우측 견갑골 부위에 만져지는 덩이 및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55세 여자 환자가 광범위 절제술 후 조직병리검사에서 방골성 연골지방종으로 진단된 증례를 영상 소견을 중심으로 보고한다.

관절경하 AO 무두 압박 나사를 이용한 견갑골 전방 관절와 분쇄 골절의 치료 - 증례 보고 - (Treatment of Anterior Glenoid Rim Fracture with Comminuted Fragment Using Arthroscopic Reduction and AO Headless Compression Screw Fixation - A Case Report -)

  • 김형식;고일현;김성국;천용민;김성재;강호정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94-98
    • /
    • 2011
  • 목적: 견갑골 전방 관절와 분쇄 골절에 대해 관절경하 정복 및 AO 무두 압박 나사를 이용하여 골편을 고정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31세 남자로 내원 2주 전 추락 후 발생한 좌측 견관절의 전방 관절와 분쇄 골절에 대하여 관절경하에서 골절을 정복한 후, 표준 전상방 삽입구를 통해 1.1 mm K 강선을 가이드핀으로 삽입하고 AO 무두 압박 나사로 골편을 고정하였다. 결과: 수술 후 12개월째 견관절의 운동 범위는 정상 범위로 회복 되었으며, 골절은 유합을 얻었고 일상 생활에 불편감은 없었다. 결론: AO 무두 압박 나사는 나사의 길이가 다양하여 작은 관절와 골편에 사용하기 적합하고, 가이드 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으나 1.1 mm K 강선으로 대체가 가능하며, 나사 돌리개 (screw driver)나 천공기 (drill bit) 등의 동반 기구의 길이가 길어 비교적 깊은 위치의 견갑과 골절의 고정에 사용하기 편리하여 관절경적 고정술 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여대생의 체중감량이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 제2보. 혈액성분 및 신체 계측치를 중심으로 (A Study on Nutrition Status by Diet of Female College Students of Masan City - 2. Focus on Blood Componsents and Anthropometric Data -)

  • 김종현;김성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92-199
    • /
    • 1998
  • 1. 조사 대상자들의 평균 키와 체중은 각각 161.00$\pm$4.15cm, 50.45$\pm$8.15kg이었으며 BMI는 19.81$\pm$3.98, 체지방율은 26.12$\pm$4.12, skinfold thickness는 40.40$\pm$12.56mm로 나타났다. 2. 조사 대상자들의 혈액성상은 적혈구 수,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치, albumin, globulin,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총 중성지방을 측정하였으며 헤마토크리트치를 제외한 나머지 성상들은 모두 정상 범위에 속하였다. 헤마토크리트치는 정상범주에 미달되는 것으로 나타나 이로 말미암아 철분 결핍성 빈형에 노출될 확률이 아주 많음을 보였다. 3. 용돈별로 체지방율을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한달 용돈이 평균 20~30만원을 쓰는 group의 체지방율이 22.00%로서 정상 수준 이었으며, 30만원 이상 사용하는 group은 비만으로 나타났다.(p<0.05) 한편, 그 외의 group들은 체내 체지방율 수준도 정상 수준인 20~25%를 넘어 체중으로 나타났다. 또한 30만원 이상 사용하는 group은 다른 group보다 RBC(million/㎣), Hb(g/이), Hct(%) 모두가 낮게 나타났으며, 빈혈로 판정될 수 있는 수준이었다. 4. 다이어트 빈도별 각 요인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이어트 시도를 자주 한다고 답변한 group이 거의 실시하지 않는다., 실시해 본 적이 없다라고 대답한 group보다 체중과 BMI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그러나 skinfold thickness(mm)와 체지방율은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비록 다이어트 실시를 자주할 경우 절대적인 체중감량은 감소되지만 체내 지방량이 감소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5. 다이어트 실시기간에 따라 혈액 성상을 분석한 결과, 4개월 미만 다이어트를 실시하였으나, 1개월 전부터 현재(설문지에 응답한 시점)까지 기간 중에는 다이어트를 실시한 적이 없다고 대답한 group의 Alb(g/dl)과 Glo(g/dl)의 수치가 다이어트를 실시한 적이 없다고 대답한 group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6. 체중은 BMI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BMI는 견갑골과도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상완부는 견갑골, skinfold thickness(mm), 체지방율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반면 Hb(g/dl), Hct(%)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견갑골은 BMI 뿐 아니라 skinfold thickness(mm), 체지방율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skinfold thickness(mm)는 체지방율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7. RBC(million/㎣)는 Hb(g/dl) 및 Hct(%)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Hb(g/dl)도 Hct(%)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Alb(g/dl)은 Glo(g/dl) 및 TCH(mg/dl), HDL(mg/dl)과도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Glo(g/dl)은 TCH(mg/dl)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TCH(mg/dl)은 Alb(g/dl), Glo(g/dl)이에도 TTG(mg/dl), LDL-cho(mg/dl) HDL-cho과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TTG(mg/dl)은 LDL-cho(mg/dl)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HDL-cho(mg/dl)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견갑골 관절와 골절의 수술적 치료 (The Operative Treatment of Scapular Glenoid Fracture)

  • 강호정;정성훈;정민;한수봉;김성재;김종민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2호
    • /
    • pp.212-219
    • /
    • 2007
  • 목적: 견갑골 관절와 골절의 치료로 관혈적 수술을 시행했던 예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치료 결과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한 관절와 골절 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의 분류는 변형 Ideberg씨 분류를 이용하였으며 제 1형이 1예, 2형 3예, 3형 2예, 5형 1예, 6형 2예였다. 정복에 사용된 내고정물은 재건 금속판 6예, 소형 금속판 1예, 1/3 원통형 금속판 3예, 소형 나사 3예, 유관 나사 1예였다. 수술 후 견관절의 기능 평가는 Constant score 및 Adam의 기능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수술 후 평균 7주에 골유합 소견을 보였다. 임상적 평가에서 우수가 4예, 양호가 3예, 보통이 2예 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나사의 관절와 침범, 관절와 하방에 안정성에 지장이 없는 골소실이 각각 1예가 있었다. 결론: 관절의 불안정성이 있거나 골편의 전위가 큰 관절와 골절의 경우에 수술적인 치료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골절 양상이 분쇄가 심할수록 나쁜 결과를 보였다.

생활습관 및 자세가 골반과 견갑골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the Pelvic and the Scapular Level on the Life Habit and the Position)

  • 박윤기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7권1호
    • /
    • pp.69-73
    • /
    • 1995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valuate for the life style and the position of the pelvis and the scapular on the coronal plane among 78 students at the April, 7. 1995/ In this result the right scupular elevation was observed more 28 cases $(28\%)$ than the left scupular elevation, But the left pelvic tilt was observed more 38 cases $(48.7\%)$ than right pelvic tilt. There was no significant between the posture and the difference of scapular elevation and pelvic on the coronal plane.

  • PDF

오십견이 있는 53세 여성환자에게 견갑골 안정화 운동 적용 후 견부 통증, 능동관절가동범위, 견갑골의 위치 변화에 미치는 영향-사례연구 (A Case Study of a 53-year-old Female Patient with Frozen Shoulder for Effect of Scapular Stabilizing Exercise on Shoulder Pain, Active Range of Motion and Position of Shoulder Blade)

  • 정민근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3-86
    • /
    • 2012
  • Background: The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a scapular stabilizing exercise on shoulder pain, active range of motion (AROM) and changes in the position of the shoulder blade of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Methods: General physical therapy and a scapular stabilizing exercise were applied to a 53-year-old female patient with frozen shoulder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measurements were made on the visual analog scale (VAS) and of the AROM, and a lateral scapular slide test was conducted. Results: Following the therapy, VAS fell from 7 to 3. Before therapy, flexion, abduction, internal rotation, and external rotation recorded $133^{\circ}$, $102^{\circ}$, $45^{\circ}$, and $53^{\circ}$ respectively; after the therapy they increased to $150^{\circ}$, $123^{\circ}$, $55^{\circ}$, and $65^{\circ}$ respectively. The lateral scapular slide test showed sliding distances before therapy of 8.5cm at $0^{\circ}$, 9.2cm at $45^{\circ}$, and 11.3cm at $90^{\circ}$; after therapy, the distances decreased to 6.8 cm at $0^{\circ}$, 8.2 cm at $45^{\circ}$, and 9cm at $90^{\circ}$. Conclusion: The scapular stabilizing exercise was effective in alleviating shoulder pain, increasing AROM, and reducing changes in the position of the shoulder blade of frozen shoulder patients.

  • PDF

수동 견갑골 거상 검사에 따라 분류된 경부통 환자의 견갑골 안정화운동 효과 비교 (Effect of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on Patients With Neck Pain Classified According to Passive Scapular Elevation Test)

  • 김하연;김선엽;장현정;주명규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1-60
    • /
    • 2012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classifying patients with neck pai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passive scapular elevation test. We classified 21 patients with neck pain into positive (n=12) and negative (n=9) groups on the basis of passive scapular elevation test; the 2 groups then equally performed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for 30 min, 3 times a week, for 4 weeks. Visual analogue scale (VAS), neck disability index (NDI), and range of motion (ROM) were recorded both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for both groups. Paired t-test was used to determin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independent t-test was used for analyzing changes between two groups of dependent variables. After 4 weeks of training, we observed significant decrease in pain and disability (p<.05)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rotation, flexion, extension, and side-bending ROM (p<.05) in both groups. Further,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evaluations, we observ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ain and disability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rotation and flexion ROM in the positive group than in the negative group (p<.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assive scapular elevation test may be used to identify mechanical disorders of the cervicoscapular muscle in patients with neck pain. Therefore, we recommend the use of passive scapular elevation test to determine appropriate treatment intervention when treating patients with neck p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