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게임성 평가

Search Result 32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On-line Game Characteristic Evaluation System by a Heuristic Evaluation Item (사용성(Heuristics) 평가 항목을 통한 온라인 게임성 평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ang, Ki-Ho;Choi, Hwan-Eon;Jung, Chool-Gon;Hong, Soo-Bo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9 no.1
    • /
    • pp.63-74
    • /
    • 2009
  • This paper mainly focused on research developing online game characteristic evaluation system based on game characteristic evaluation model design. Online game characteristic evaluation system is a system that evaluates game online in real-time using evaluation elements defined by model design. Game characteristic evaluation system uses heuristic evaluation method, which is used to execute evaluation in four parts, technical element, manage element, social element, and competitive element. To verify objectivity and validity of game characteristic evaluation, assessment was performed by three groups of beginners, intermediates, and professionals to increase the trust. And game characteristic evaluation forum was hosted to collect opinion from diverse classes.

  • PDF

A Study on improvement of education effectiveness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serious games (교육용게임의 확산을 촉진시키기 위한 교육효과성평가모형의 개선)

  • Leem, Eek-Su;Wohn, Kwang-Y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330-1336
    • /
    • 2009
  • 게임의 교육적 목적으로의 활용에 대해 관심이 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도 불구하고 교육 분야에서 교육용게임의 채택은 더딘 편이다.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을 위해서는 교육용게임을 교육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학습자와 학부모, 교사들에게 제공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교육용게임의 효과성평가는 게임의 교육적 효과 및 가능성을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효과성평가방법을 사용한 연구는 학부모와 같은 의사결정권자에게 신뢰받지 못하고 있어, 교육용게임의 확산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모형을 사용한 효과성평가 결과는 개발자들에게 게임개선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할 수 없게 되어 있어 개발을 위한 개선자료로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용게임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효과성 연구방법개선 또는 수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교육효과성모형을 교육용게임개발을 이루고 있는 두 이론적 배경인 게임설계이론과 학습이론에 근거하여 기존 효과성평가방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두 이론에서 공통적인 요소를 도출하여 게임에서 학습결과와 과정을 모두 평가하는 개선된 평가모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효과성평가가 단순히 학습량을 측정하여 단순하게 효과성의 유무만 보여주고 있다면, 개선된 모형은 효과성 유무와 함께 게임에서 학습의 과정을 보여줌으로서 게임의 관찰 가능한 효과성을 보여줌으로서 혁신의 확산을 촉진할 수 있는 지각된속성(Perceived Attributes)에 대한 정보를 효과성평가의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모형을 학부모 교사와 같은 교육 분야의 사람과 게임기획자 와 같은 개발자가 모두 만족 할 수 있는 결과를 보여 주는 효과성평가 모형으로 개선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교육용게임의 채택과 확산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Quality Evaluation of Mobile Puzzle Game using AHP (AHP를 이용한 모바일퍼즐게임의 게임성 평가에 관한 연구)

  • Lee, Han-ho;Jung, In-Hoo;Lee, Jong-Wouk;Lee, Min-Seop;Noh, Ghee-You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6 no.1
    • /
    • pp.43-50
    • /
    • 2016
  • This research tried to evaluate the competitiveness of a mobile game in the aspect of emotional value which was developed on the purpose of improving specific emotional features. An evaluation of emotional value of a game before its commercial service will provide an effective advice for its marketing and service. The target game to be evaluated on this research is a mobile puzzle game of match-3 genre. We compared the game with Candy crush saga and Poko pang, and the indicators used to evaluate emotional features were flow, challenge, and intention of use. The importance values of indicators were calculated using AHP. And the three games were evaluated by pair-wise comparison method. Finally, the importance values of each indicators were applied to the evaluated results to make overall game quality value.

A Study on the Fun Factor Evaluation Model for Online Game (온라인 게임의 재미요소 평가모델 연구)

  • Lee,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187-188
    • /
    • 2012
  • 전반적인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게임산업은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매년 새로운 게임이 계속 쏟아져 나오지만 시장에서 성공하는 게임은 드물다. 이는 게임의 핵심적 요소인 재미요소를 제대로 구현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게임의 재미요소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제안한다. 이 평가모델은 재미요소를 게임연출, 사운드, 조작성, 그래픽, UI, 기획성, 기술성 등 7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각 영역별로 세부 평가항목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설문을 개발하였다. 실험결과 논문에서 제안한 평가영역으로 게임의 재미요소를 수치화할 수 있으며, 여러 게임의 재미요소 정도를 비교하는 것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평가영역을 기반으로 해당 게임의 특성에 맞게 항목을 조절하여 게임의 재미요소 평가에 활용할 수 있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f the Critical Factors for MMO Game Design based on Usability Evaluation (MMO게임 디자인을 위한 사용성 평가 핵심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Song, Seung-Keun;Lee, Joo-Hye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131-139
    • /
    • 2006
  • 컴퓨터 게임 산업의 급속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게임 타이틀만이 과도한 생산비를 감당하면서 수익을 내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마케팅 이론 에 의하면 제품의 성공과 실패는 고객의 선호도, 필요, 기대에 대한 만족도 에 의존한다고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게임에서도 사용자의 만족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이 무엇을 원하고, 좋아할지를 파악하여 이를 게임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MMO 게임 디자인을 위한 사용성 평가 핵심 요인을 고찰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게임 관련 HCI / 사용성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하여 사용성 평가 핵심 요소를 도출하고 게임 플레이 과 제와 사후 설문결과를 통하여 MMO게임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여 18가지 사용 성 문제 점과 그 권장사항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게임 인터페이스, 게임 플 레이, 게임 서사, 게임 메커니즘으로 구성된 54 개의 사용성 평가 핵심 요 소를 도출 하고 MMO 게임을 위한 새로운 사용성 평가 체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MMO게임 디자인 프로세스의 초기 단계에서 효과적인 디자인 의 사결정을 지원하고 게이머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 할 것 을 기대 된다.

  • PDF

A Study on Elements of Usability Assessments for Hand-Held Games (휴대용 게임의 사용성 평가요소에 관한 연구)

  • Kim, Se-Gyu;Lee, Seung-Hun;Rhew, Sung-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942-945
    • /
    • 2010
  • 국내 비디오 게임 시장규모는 휴대용 게임을 중심으로 날로 성장하고 있다. 사용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게임은 비디오 게임 시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게임의 사용성에 대한 평가 모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HCI이론을 기반으로 휴대용 게임의 사용성에 대한 평가요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휴대용 게임 SW의 사용성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HCI 사용성 요소와 기존 품질모델의 사용성 요소를 바탕으로 게임SW의 사용성 평가요소를 도출하고 휴대용 게임의 특성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휴대용 게임 SW의 평가요소를 제시하였다.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Web based Game Evaluation System (웹기반 게임평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ang, Kie-Ho;Kim, Pyeoung-Kee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6 no.4
    • /
    • pp.75-85
    • /
    • 2011
  • Effective and Economic game evaluation before game publishing is very important for game development company.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developed an effective web based gam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ree major game genre including MMORPG, FPS, and web game. The proposed evaluation model consists of five evaluation items such as game interest, competitiveness, technology, earning power, and market value and has common evaluation items and independent ones according to game genre. To reflect characteristics of each game genre, we divided evaluation items into common evaluation elements and individual ones according to game genre. We applied the proposed system to two real games of a game development company and showed the result.

A Study on the Game Characteristic Evaluation Model for Game Software (게임 소프트웨어를 위한 게임성 평가 모델에 관한 연구)

  • Kim, Hyo-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239-241
    • /
    • 2012
  • 오늘날 스마트 시대의 새로운 소프트웨어 페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는 IT 산업의 환경에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공급하는 개발자 모두 품질 향상에 대한 중요성과 복잡성은 더욱 강조되어 가고 있다. 특히, 국내 게임시장의 절대적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온라인 게임의 경우 게임 사용자들과의 지속적인 관계 유지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 제품이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품질보증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게임 품질관리를 위한 정량적/정성적 게임성 평가 항목을 연구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게임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모델을 제시한다.

  • PDF

The Quality Evaluation Elements for Educational Serious Game : Focusing on Non-technical Elements (교육용 기능성게임의 품질 평가 요소 : 비기술적 요소를 중심으로)

  • Yoon, Seo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111-112
    • /
    • 2012
  • 게임의 순기능을 이용해 교육, 훈련, 치료 등의 목적으로 개발된 기능성 게임은 이용자들의 게임 선택을 위해 게임의 품질과 관련된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다. 기능성게임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기술적, 비기술적 영역 가운데 비기술적 영역은 기능성게임의 종류를 반영한 요소들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교육용 기능성 게임의 비기술적 품질 평가 영역을 추출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방법론은 다른 종류의 기능성 게임의 품질평가 요소 추출을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 후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교육용 기능성 게임의 품질 평가 메트릭을 개발할 예정이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valuation Tool for Serious Games (기능성 게임 평가 도구 개발 및 적용)

  • Jung, Hana;Lee, Changhoon;Jhun, You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8 no.3
    • /
    • pp.401-412
    • /
    • 2014
  •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d apply an evaluation tool of serious games for science learning. To develop the evaluation tool, probing references and analyzing previously generated evaluation tools and softwares were carried out. After that, 17 experts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ppraised serious games, 'milc & seereal', made by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with the evaluation tool. The findings on the characteristics of good serious games from assessments are as follows; The learning objects of the games are coincident wi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y strongly stimulate the students' motivation, the interfaces are neat and pretty useful for users to get informations, games are easy to maintain, inexpensive, and moral. When we develop or select serious games for science class, the strengths of good games should be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