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겉보리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9초

영남지방 농산물에 대한 위생학적 연구(제3보) 무기성분 함량에 관하여 (Hygienic Studies on Agricultural Products in Youngnam districts (Part III) On the contents of Inorganic Compound)

  • 정덕화;김성영;정혜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77-184
    • /
    • 1989
  • 1989년 5월 중 영남지방에서 생산된 쌀 : 62점, 보리 : 39점, 대두 : 58점 그리고 겉보리 : 59점 등 총 218점을 수집하여 곡류별로 무기질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연의 지역별 평균함량은 쌀 : 46.91-76.28 ppm, 보리 : 42.24-77.06 ppm, 대두 : 73.39-103.69 ppm 그리고 겉보리에 있어서 48.03-272.49 ppm을 나타내었고, 망간의 경우는 쌀 : 4.96-14.75 ppm, 보리 : 10.62-16.28 ppm 대두 : 23.32-42.48 ppm 그리고 겉보리에 있어서 각각 23.52-30.15 ppm으로 나타났다. 또한 철의 지역별 평균함량은 쌀 : 65.38-141.33 ppm, 보리 : 59.22-133.25 ppm , 대두 : 106.32-240.20 ppm, 겉보리 : 66.44-108.63 ppm이었으며 , 칼슘의 경우는 쌀 : 10.25-33.67 ppm, 보리 : 68.84-136.62 ppm , 대두 : 492.20-967.84 ppm 그리고 겉보리 : 75.30-165.85 ppm으로 대두>보리>겉보리>쌀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한편 나트륨의 지역별 평균함량은 쌀:291.60-453.60 ppm, 보리 : 462.25-773.60 ppm, 대두:463.83-792.67 ppm 그리고 겉보리 : 777.90-950.90 ppm으로 나타났고, 칼륨은 쌀 : 716.00-1180.60 ppm, 보리 : 1363.60-1686.00 ppm, 대두 : 2233.83-2792.67 ppm그리고 겉보리 : 2042.10-2141.46 ppm을 각각 함유하여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 PDF

보리품종의 Amylose함량, 수분흡수율 및 호화조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mylose Content, Water Absorption and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of Barley Varieties.)

  • 박문웅;조장환;김흥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8-98
    • /
    • 1978
  • 메보리 (겉보리 10품종과 발보리 12품종)와 찰보리 8품종 및 벼, 밀을 공시하여 Amylose함량, 수분흡수율, 호화조건등에 관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Amylose함양은 메보리 23.4∼31.5%, 찰보리 5.4∼9.5%였다. 2. 수분흡수율은 찰보리에서만 Alkaline수분흡수율, 분수분흡수율, 곡립수분흡수율간에 상관관계가 있었다. 맥종간 3가지 수분 흡수율은 모두 찰보리>겉보리>찰보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3. 찰보리는 메보리보다 최고점도와 최저점도의 차가 훨씬 크고 메보리는 점도가 떨어지다가 다시 올라가는데 찰보리에서는 다시 상승되는 경향을 볼 수 없었고 호화된 용액을 식했을때 찰보리는 gel상태로 굳지 않고 액체상태로 있었다. 4. 호화온도는 쌀보리의 경우가 제일 높았으며 다음이 겉보리 다음이 메벼, 찰벼, 밀의 순서였으며 쌀보리의 경우가 제일 낮았다. 5. Amylose함양과 호화온도, 호화시간, 점도와는 .상관이 없었다. 6. 호화시간은 호화온도가 낮은 것은 길고 높은것은 짧아서 최고점도에 도달되는 시간이 맥종별로 거의 일정하였다. 7. 호화온도는 최고점도시온도, 호화시간. 최고점도, 최저점도와 상관이 있었고 호화시간과 최고점도와도 맥종간 모두 고도의 정의 상관이 있었다. 8. 호화시간과 최저점도, 최고점도와 최저점도는 겉보리와 쌀보리에서는 상관이 있었으나 쌀보리에서는 상관이 없었다. 9. 쌀보리에서는 경도와 수분흡수율, 정맥비율과 고도의 상관관계가 었었다.

  • PDF

발아조건에 따른 보리의 GABA 함량 및 영양성분 변화 (The Effects of Germination Conditions on GABA and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Barley)

  • 차미나;전현일;송근섭;김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1-47
    • /
    • 2012
  • 본 연구에서 보리의 GABA 함량을 높일 수 있는 제조조건(수침과 발아)을 확립하여 GABA 고함유 발아보리를 제조하고, 발아에 의한 영양성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분흡수량과 수침용액의 pH는 수침 초기 6시간까지 급격하게 변화하였고, 보리종류 및 수침온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보리 원맥의 GABA 함량은 쌀보리 4.1 mg/100 g, 겉보리 1.4 mg/100 g 및 찰보리 2.5 mg/100 g이었으며, $25^{\circ}C$에서 24시간 수침 후에 쌀보리 10.4 mg/100 g, 겉보리 14.1 mg/100 g 및 찰보리 10.9 mg/100 g으로 증가되었다. 한편, 발아보리의 GABA 함량은 쌀보리 15.8 mg/100 g (48시간, $25^{\circ}C$), 겉보리 20.9 mg/100 g(36시간, $15^{\circ}C$) 및 찰보리 14.3 mg/100 g(36시간, $5^{\circ}C$)으로 보리 품종에 따라 발아조건은 다르게 나타났다. 수침과 발아 후에 원맥보다 쌀보리는 3.9배, 겉보리는 14.6배 및 찰보리는 5.8배 GABA 함량이 증가하였다. 발아에 의한 보리의 영양성분 변화는 일반성분에서 원백보다 조지방, 조회분, 무기질 및 ${\beta}$-glucan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지방산 조성에서 원백보다 linoleic acid는 증가하고 oleic acid는 감소하였다. 한편, 보리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이었고, ${\beta}$-glucan 함량은 발아에 의하여 쌀보리 0.84배, 겉보리 0.94배 및 찰보리 0.94배 감소하였다.

간장양조용 원료대체에 관한 연구 -III. 옥수수와 겉보리의 이용- (Studies on the Substitution of Raw Material for Soy Sauce -Part III. Use of Corn and Barley-)

  • 이제문;김유삼;홍윤명;유주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82-186
    • /
    • 1972
  • 간장제조용 원료 중 밀을 옥수수나 겉보리로 대체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국중효소활성의 견지에서 검토하고 검토된 제국조건으로 실제 간장을 담금하여 발효중 성분변화를 분석 비교하고 숙성된 간장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옥수수는 옥수수 가루를 볶아서 제국하는 것이 좋았으며, 밀 (전 원료의 50%에 해당)의 60%정도를 옥분으로 대체하거나 밀의 70%(전체 원료중 35%)를 겉보리로 대체하여 성분상으로나 관능면에서 우수한 간장을 얻을 수 있었고 이때 제국조건은 두 경우 모두 신수 130%, 3일국이 적당하였다. 우리나라의 밀의 년간 생산량은 1969년 말 현재 약 37만톤이고 수입량은 약 135만톤인데 밀제품의 수요는 급증하고 있어 가능한 한 자급자족이 필요하지만, 밀의 자급자족은 실현이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므로 밀의 일부를 옥수수나 겉보리로 대체하므로써 우리나라에서 년간 약 82만톤이나 생산되는 겉보리와 68만톤이 생산되는 옥수수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동시에 밀의 수입량을 줄일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현재 옥수수나 겉보리의 가격은 밀보다 싸지 않지만 밀의 원조가 중단된 후에 밀을 수입하게 되면 밀의 가격이 높아지리라는 것을 예상할 때 옥수수나 겉보리의 이용이 경제성도 밝은 것 같다. 또한 옥수수나 겉보리의 이용이 증가되면 옥수수나 겉보리의 경작을 장려하므로써 산악지대 등 농민소득이 낮은 농가의 수 입을 증가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보리 단백질의 특성과 지역간 변이 (Quantity and Quality of Seed Protein and Its Regional Variation in Barley)

  • 남중현;이은섭;홍병희;김기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87-392
    • /
    • 1990
  • 보리 양질 다수성품종 육성을 위하여 단백질 함량의 품종별, 지역별 변이, 품종별 아미노산조성 및 단백질 함량과 농업형질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단백질이 양과 질을 개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리의 단백질 함량은 겉보리 12.0-15.7%, 쌀보리 9.2-15.4%, 맥주보리 11.4-15.9% 범위의 변이를 보이고, 겉보리 품종이 맥주보리나 쌀보리 품종들 보다 높았다. 2. 보리중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쌀보리가 맥주보리, 겉보리에 비해 높았다. 3. 단백질 함량은 재배지역에 따라 큰 변이를 보였는데 3맥종 모두 중부지방에서 생산한 것이 남부지방에서 생산한 것보다 높았다. 4. 단백질 함량과 출수기와의 관계는 겉보리에서는 유의성 있는 부의 상관을 보였으나 쌀보리, 맥주보리에서는 뚜렷한 경향이 없었다. 5. 찰보리 및 통보리 001의 숙기 isogenic line을 이용하여 숙기에 따른 단백질 함량의 변이를 조사한 결과 조숙이 만숙보다 단백질 함량이 높은 편이었다.

  • PDF

겉보리와 쌀보리의 교잡 F1 세대에서 생육 및 수량형질의 잡종강세와 정역간 교잡효과 (Hybrid Vigor and Reciprocal Effect of Several Growth and Yield Characters in Fls crossed between Hulled and Naked Barley)

  • 정원복;정영주;정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56-263
    • /
    • 2002
  • 정역교잡에 따른 보리의 겉보리와 쌀보리의 $F_1$세대에 대한 잡종강세의 정도와 이들의 유전적 작용을 평가할 수 있는 heterosis나 heterobeltiosis의 검정과 유전력 및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겉보리$\times$쌀보리, 쌀보리$\times$겉보리의 교배조합에 따른 heterosis는 간장, 수장, 망장, 엽장, 엽폭, 주당수수, 수당립수, 천립중 등의 모든 형질에서 정의 강세율을 보였다. 쌀보리$\times$겉보리의 교배조합이 겉보리$\times$쌀보리의 교배조합보다 heterosis나 heterobeltiosis가 간장, 엽장, 엽폭, 주당수수, 수당립수 등에서 강세의 정도가 다소 높았고, 피과성의 우성정도는 피성이 과성에 대하여 우성이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교배조합간의 유전력은 엽폭에서 94.5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각 조사형 질 대부분 76.7-94.5 %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겉보리와 쌀보리의 정역교배조합간 상관 관계는 정교배의 경우, 염장과 주당수수(0.970$^{**}$ ), 간장과 수당립수$(0.963^{**})$, 망장과 엽장$(0.862^{**})$이 정으로 높은 유전상관을, 역교배의 경우, 간장과 수장$(0.926^{**})$, 망장과 엽장$(0.922^{**})$, 주당수수와 수당립수$(0.713^{**})$가 높은 유전상관을 나타내었다.

겉보리 및 쌀보리의 무기질과 아미노산 함량 (Contents of Minerals and Amino Acid of Husked and Naked Barley)

  • 이종숙;김성곤;김춘수;조만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0-92
    • /
    • 1983
  • 겉보리(올보리와 강보리) 및 쌀보리(세도하다가와 백동)를 각각 도정수율 60 및 70%로 도정하고, 무기질 및 아미노산을 분석하였다. 무기질 함량은 대체로 $P>K>Ca{\geqq}Mg>Na$의 순이었다. 쌀보리의 무기질 함량은 인을 제외하고는 모두 겉보리의 무기질 함량과 비슷하였다. 아미노산 함량은 올보리가 낮았고, 기타 품종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단백질의 아미노산 값은 올보리가 70, 기타는 60 근처이었다.

  • PDF

보리가루의 영양성분조성에 관하여(노오트) (Some Nutritional Composition of Barley Flours)

  • 최홍식;이남숙;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60-262
    • /
    • 1976
  • 한국산 쌀보리 2개품종 및 겉보리 2개품종을 Buhler test mill에 의하여 제분(제분수율은 쌀보리 약 70%, 겉보리 61%) 한 후 주요 무기질 및 비타민, 아미노산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무기질성분중 P의 함량(0.19-0.27%)이 높았고 K 는 0.18-0.27%, 그리고 미량의 Ca 및 Fe가 함유되고 있었다. 비타민중 A 및 C는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았고 $B_1,\;B_2$ 및 niacin은 각각 3.6-5.7, 0.9-1.6 및 $27-39{\mu}g/g$의 범위를 보였다. 보리가루류의 아미노산조성은 품종간에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제한아미노산은 lysine으로서 보리가루 단백질의 amino acid score(FAO 아미노산 표준구성 기준)는 부흥이 61.7, 기타는 모두 58 내외를 보이고 있었다.

  • PDF

보리류(類)의 제분방법(製粉方法)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illing Method of Barley and Naked-barley)

  • 김희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33-137
    • /
    • 1974
  • 밀 제분공정(製粉工程)을 이용(利用)한 보리류(類)의 제분성(製粉性)을 구명(究明)코자 하는 의도 하에 국산(國産) 보리류(類) 4종(種)과 미주산(美洲産) 수입(輸入)밀(혼합(混合)) 1종(種)에 대하여 Tempering 최적조건(最適條件), 제분수율(製粉收率), 제분공정(製粉工程)에서의 Stock의 흐름 등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보리류(類)의 최적(最適) tempering 조건(條件)은 겉보리가 수분(水分) 15%에서 24시간(時間), 쌀보리가 수분(水分) 14%에서 48시간(時間), 겉보리쌀과 쌀보리쌀은 수분(水分) 13%에서 48시간(時間)이다. 2) 보리류(類)의 가루는 밀 제분공정(製粉工程)에서 뒤로 밀리기 때문에 밀 제분공정(製粉工程)을 이용(利用)하려면 공정(工程)의 부분적(部分的) 재조정(再調整)이 필요(必要)하다. 3) 보리류(類)의 제분성(製粉性)은 겉보리쌀, 쌀보리쌀, 쌀보리, 겉보리의 순(順)으로 좋으나, 겉보리쌀과 쌀보리쌀은 정곡(精穀)인 까닭에 1차 도정(搗精, 2차 제분(製粉)의 두 단계(段階) 가공과정(加工過程)을 거쳐야 하므로 가공비용(加工費用)이 과중(過重)하게 되고 수율(收率)에 있어서도 조맥(粗麥) 대(對) 분(粉)의 비율(比率)이 조맥제분(粗麥製粉)에 비(比)하여 겉보리쌀은 13.6%, 쌀보리쌀은 12.5%가 떨어지므로 경제성(經濟性)이 불리(不利)하다. 4) 밀과 보리류(類)를 9 : 1로 혼합제분(混合製粉)한다면 밀 제분공정(製粉工程)을 그대로 이용(利用)할 수 있다. 5) 겉보리는 쌀보리에 비(比)하여 수율(收率)이 6% 떨어지고 제분공정(製粉工程)에서 거칠은 외과피(外果皮)가 부에 혼입(混入)되어 사료적(飼料的) 이용가치(利用價値)를 결정적(決定的)으로 떨어뜨린다. 6) 밀과의 혼합제분용(混合製粉用)으로는 쌀보리가 가장 좋다.

  • PDF

겉보리 및 쌀보리의 수화속도 (Absorption of Water by Husked and Naked Barley)

  • 이종숙;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20-224
    • /
    • 1983
  • 겉보리(올보리와 강보리) 및 쌀보리(세도하다가와 백동)를 각각 40 및 30%도정한 다음, 20, 30 및 $40^{\circ}C$에서 6시간 침지하면서 수화속도를 검토하였다. 수화속도는 수화시간의 평방근에 비례하였고, 확산계수 ($D,\;cm^{2}/min$)는 D = $D_{0}\;{\exp}\;(-E_{a}/RT)$로 표시되었다. 확산계수 값은 강보리가 돌보리보다 다소 높았으며, 세도하다가와 백동은 비슷하였다. 쌀보리의 확산계수는 겉보리보다 다소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