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겉보기

검색결과 709건 처리시간 0.031초

Aspergillus nidulans가 생산하는 Naringinase에 관한 연구 (제4보) DEAE-Sephadex A-25에 의한 Naringinase의 고정화 (Studies on Naringinase Produced from Aspergillus nidulans (Part 4) Immobilization of Naringinase on DEAE-Sephadex A-25)

  • 송충석;변유량;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41-147
    • /
    • 1979
  • Aspergillus nidulans가 생산하는 naringinase를 DEAE-Sephadex A-25를 사용하여 이온결합법으로 고정화시키는 조건과 그 고정화효소의 성질 및 column reactor 에서의 연속 반응에 대하여 연구 검토한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화 효소를 조제할 때에 효소가 담체에 흡착되는 최적 pH는 6.0이었고 건조된 담체 1g에 대해 이상적인 수용성 효소의 량은 110 units이였다. 고정화 naringinase의 반응 최적 온도와 pH 는 각각 5$0^{\circ}C$와 7.0이며, 그 pH 안정성과 열 안정성은 수용성 효소보다 모두 높았다. 고정화 naringinase의 활성화 에너지는 Arrhenius plot에 의해 7.96kca1/mo1e이었고 겉보기 Km 값은 5.88$\times$$10^{-4}$M 이었다. 고정화 naringinase를 column 내에서 연속 반응시킬 때 Bar-Eli등의 Michaelis-Menten식의 적분형을 변형하여 유속과 가수분해도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 유속이 증가하면 가수분해도가 감소되었고 동시에 겉보기 Km값도 감소하였다. 또한 반응량 (colum reaction capacity)은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서 서서히 감소하였다.

  • PDF

연료전지의 수소저장용 합금에 대한 수소확산반응의 속도론적 해석 (Kinetic Parameter Analysis of Hydrogen Diffusion Reaction for Hydrogen Storage Alloy of Fuel Cell System)

  • 김호성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45-49
    • /
    • 2006
  • 본 논문은 마이크로 전극 시스템에 의하여 연료전지 및 Ni-MH 전지로의 응용을 가정한 $AB_5$계 수소저장합금인 $MmNi_{3.55}Co_{0.75}Mn_{0.4}Al_{0.3}$의 단일 입자에 대하여 전기화학적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즉 Carbon fiber 마이크로 전극을 합금 입자 한개 위에 전기적인 접촉을 이루도록 조정하고, 합금 입자 내에서 수소원자의 겉보기 화학적 확산계수를 계산하기 위하여 Potential-Step 실험을 실시하였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합금입자는 치밀하고 전도성이 있는 구형이므로 데이터 해석을 위해 구형확산 모델을 적용하였다. 실험결과로서 겉보기 확산계수($D_{app}$)는 수소 흡장 및 방출되는 전 과정에서 $10^{-9}$$10^{-10}[cm^2/s]$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이크로 전극 측정 시스템에 의한 단일 입자의 전기화학적 평가는 기존의 Composite Film 전극에 비해 수소저장합금에 대해 보다 상세하고 정확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었다.

된장 현탁액의 리올로지적 성질 (Rheological Properties of Doen-Jang(Korea Fermented Soybean Paste) Suspensions)

  • 이철원;황응수;이신영;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1-115
    • /
    • 1990
  • 원료 성분조성이 다른 시판용 정맥 및 소맥된장의 두 종류 시료를 대상으로 하여 여러 농도의 물 현탁액 (50-200v/w%)을 조제하고 각 현탁액의 리올로지적 거동을 검토하였다. 각 시료 된장 현탁액은 모두 thixotropic 거동을 보였으며, 가수량이 125% 이하인 고농도 현탁액의 경우 전단상승곡선과 하강곡선이 교차하는 Figure-eight 현상을 나타내었다. 시료 모두 가열에 따라 겉보기 점도가 뚜렷한 증가 경향을 보였으며 단백질의 등전점 부근에서 겉보기 점도가 가장 높은점, 가수량 200%의 묽은 현탁액의 경우 $60^{\circ}C$이상으로 가열했을 때 Figure-eight 현상을 보이는 점 등을 종합하여 볼 때 점성거동은 단백질 존재상태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순천시 생활쓰레기의 계절별 조성 및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nicipal solid wastes generated in the sunchon city)

  • 허관;고오석;왕승호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4호
    • /
    • pp.105-110
    • /
    • 2001
  • 쓰레기의 효과적인 처리방안을 제시하고 장래 대책을 수립하는데 자료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해서 순천시 생활쓰레기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발생 쓰레기의 계절별, 성상별 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생활쓰레기의 겉보기밀도는 가연성쓰레기가 $219kg/m^3$, 비가연성쓰레기는 $391kg/m^3$로 나타났다. 가연성쓰레기 중에서 음식물쓰레기의 습윤질량 중량비 가중평균은 38.1%를 차지하였으며, 음식물쓰레기를 제외한 가연성쓰레기는 49.6%를 나타내었다. 음식물쓰레기를 제외한 가연성쓰레기의 수분함량, 가연분함량 및 회분함량의 가중평균은 각각 16.9%, 68.1% 및 15.0%로 나타나 소각처리의 특성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음식물쓰레기를 제외한 가연성쓰레기의 저위발열량은 2,962kcal/kg로 나타나 소각처리의 특성이 아주 양호하게 나타났다.

  • PDF

열처리 온도가 옥수수 전분의 리올로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ing Temperature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Com Starch)

  • 김성곤;서정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4호
    • /
    • pp.353-358
    • /
    • 1995
  • 옥수수 전분(초기 수분함량 11.4%)을 $130{\sim}220^{\circ}C$에서 건열처리하여 DSC로 열분석한 결과 $190^{\circ}C$이상에서 호화엔탈피는 감소하였고 알칼리호화시 열처리온도가 상승할수록 점도가 증가하였다. $170^{\circ}C$이상에서 열처리 온도가 높아질수록 원료전분에 비하여 최고점도를 포함한 아밀로그램상의 모든 값들, 전분호화액의 전단응력과 겉보기점도, 점조도지수 및 항복응력은 감소하였다. $90^{\circ}C$에서 호화진행에 따라 모든 시료들의 겉보기 점도와 항복응력은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190^{\circ}C$시료는 특히 초기에 급증하였으나, 점조도지수는 약간 증가한 반면에, 유동거동지수값들은 큰 차이를 보이지않았다. 그러나 $220^{\circ}C$의 경우 모든 값들이 다른 시료들에 비하여 크게 낮았다.

  • PDF

열압 성형법에 의한 폐목재-플라스틱 복합패널의 기초적 성질 (Basic Properties of Waste Wood-Plastic Composite Panels by Hot Press Molding Method)

  • 최낙운;문경주;최산호
    • 유기물자원화
    • /
    • 제12권4호
    • /
    • pp.95-10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가연성 건설폐기물 재활용의 일환으로, 폐발포폴리스티렌의 스티렌 용액에 가교제 및 개시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결합재와, 폐목재 칩을 이용하여, 폐목재-플라스틱 복합패널을 제조하였다. 전열 프레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결합재량 및 충전재-결합재 비를 갖는 복합패널 공시체를 제조하였으며, 그 겉보기 밀도, 흡수율, 흡수에 의한 팽창률, 휨강도, 내수성 등에 관한 일련의 실험을 행하였다. 폐목재-플라스틱 복합패널의 겉보기밀도는 결합재량 및 충전재-결합재비의 증가에 따라 증대하며, 그 휨강도 및 습윤 휨강도는, 결합재량 35%, 충전재-결합재비 0.8에 있어서 최대치에 이른다. 흡수율 및 흡수에 의한 두께 팽창률은, 결합재량 및 충전재-결합재비의 증가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한다. 결합재량 30%이상의 경우, 충전재-결합재비에 관계없이, 복합패널의 24h 상온 수중($20^{\circ}C$) 침지 및 2h 끓는 물중($100^{\circ}C$)+1h상온 수중($20^{\circ}C$) 침지에 의한 휨강도의 감소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높은 내수성을 발현한다.

  • PDF

해수침투 지역에서 소형루프 전자탐사 자료의 공간 분석 (Spatial analysis of small-loop electromagnetic survey data in a seawater intrusion region)

  • 송성호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9권1호
    • /
    • pp.114-120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해안지역의 소유역에 대한 해수침투 범위를 규명하기 위하여 소형루프 전자탐사 자료에 대하여 베리오그램을 이용한 공간분석 기법의 적용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차적으로 소유역 전체에 대하여 33 지점의 전기비저항 수직탐사와 두 곳의 관정에 대한 전기전도도 검층이 수행되었다. 수직탐사 역산에 의한 전기비저항과 관정들의 대수층 두께를 비교한 결과, 연구지역 소유역 전체에 대한 해수침투 범위가 파악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2년간 정기적으로 측정된 전기전도도 검층 결과로 확인되었다. 소유역 일부 지역에 대한 심도별 겉보기 전도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6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전자기 탐사를 수행하였다. 베리오그램을 이용한 공간분석 결과로 겉보기 전도도 분포도를 작성한 결과, 이 방법이 얕은 깊이에 대한 해수침투 범위를 효과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삼축압축실험에 의한 불포화 준설토의 전단강도 특성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s of Unsaturated Dredged Soils by Triaxial Compression Tests)

  • 강종범;배우석;이봉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5호
    • /
    • pp.31-39
    • /
    • 2006
  • 일반적으로 흡수력은 불포화 흐름과 전단강도상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가 되며, 불포화토의 부 간극수압은 흙의 구조와 포화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불포화 준설토의 전단강도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정된 삼축압축시험이 수행되었다. 실험결과로서 전단강도의 변화는 배수조건보다 흡수력에 더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점차적으로 흡수력 100 kPa에 수렴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흙의 불포화 상태에서 내부마찰각과 점착력이 포화상태에 비하여 흡수력에 기인하여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불포화토에서 합리적인 지반강도정수의 산정을 위해서는 흡수력의 변화에 따른 겉보기 마찰각 ${\phi}^b$이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 PDF

폐스티로폼의 가공 형태에 따른 기포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 변화 (Physical Properties of Foamed Concrete up In the Manufacturing Waste Expanded Poly-Styrene)

  • 오세출;서치호;신상태;지석원;김봉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207-215
    • /
    • 2002
  • 본 연구는 기존 경량기포콘크리트의 문제점 및 역학적 성질의 개선을 위하여 산업폐기물인 폐스티로폼의 가공형태를 달리하여 기포콘크리트를 제조하고 그 역학적 특성의 변화를 구명해 봄으로써 현장타설 기포콘크리트의 효과적인 품질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현장 작업자에게 필요한 실험값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폐스티로폼은 지름이 3~5mm의 둥근형태를 유지한 것(Type A)과 1~2mm의 작게 파쇄한 것(Type B)을 사용하여 그 역학적 특성 변화를 고찰하였으며, 연구결과 Type A의 경우 흡수율의 개선과 경량성 및 단열성 향상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Type B의 경우는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내나 겉보기 비중이 증가하고 Type A에 비하여 플로우, 흡수율, 단열성에서 Type A보다 낮은 성능을 나타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로부터 폐스티로폼의 가공형태에 따른 것으로 폐스티로폼을 사용하지 않은 것보다는 적당량을 혼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현장타설 기포콘크리트의 물리적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폐스티로폼을 사용하여 현장타설 기포콘크리트를 제조할 경우 산업폐기물의 재활용이라는 측면과 함께 보다 우수한 성능의 기포콘크리트 생산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북동태평양 KODOS 해역의 유기탄소 및 겉보기산소량 특성 (Characteristics of Organic Carbon and Apparent Oxygen Utilization in the NE Pacific KODOS Area)

  • 손주원;손승규;김경홍;김기현;박용철;김동화;김태하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1호
    • /
    • pp.1-13
    • /
    • 2005
  • The samples for organic carbon analysis were collected between $5^{\circ}\;and\;17^{\circ}N$ along $131.5^{\circ}W$ in the northeast Pacific KODOS (Korea Deep Ocean Study) area. The mean concentration of total organic carbon (TOC) in the surface mixed layer $({\sim}50 m)$ was $100.13{\pm}2.05{\mu}M-C$, while the mean concentration of TOC in the lower 500m of the water column was $50.19{\pm}4.23{\mu}M-C$. A strong linear regression between TOC and temperature $(r^2=0.70)$ showed that TOC distribution was controlled by physical process. Results from the linear regression between chlorophyll-a and TOC, and between chlorophyll-a and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decreasing of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in the surface layer caused by non-biological photo-oxidation process. Below the surface layer, biological production and consumption occurred. DOC accumulation dominated in the depth range of $30{\sim}50m$ and DOC consumption occurred in the depth range of $50{\sim}200m$. TOC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apparent oxygen utilization (AOU) and TOC/AOU molar ratios ranged from -0.077 to -0.21. These ratios indicated that TOC oxidation was responsible fur $10.9{\sim}30.1%$ (mean 20.2%) of oxygen consumption in the NE Pacific KODOS area. In the euphotic zone, distributions of dissolved and particulate organic matter were controlled by photo-chemical, chemical, biological and physical proc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