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검교정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4초

칼라필터 렌즈(ChromaGenTM)를 이용한 읽기능력 향상에 대한 임상연구 (The Study on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y for Dyslexia Wearing Color filter lens (ChromaGenTM Lens))

  • 이석주;박지훈;이소희;황광하;유근창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5-74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시각적 난독증 증상을 나타내는 호소군을 대상으로 칼라필터렌즈인 크로마젠($ChromaGen^{TM}$)렌즈를 착용함으로써 읽기능력의 향상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설문을 통한 난독증 의심 학생 52명을 대상으로 윌킨스 독서속도검사법을 이용하여 난독증 교정렌즈인 크로마젠 렌즈를 착용 전과 후 그리고 3개월 동안 착용한 후 읽기능력의 향상정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1분 동안의 읽은 단어 숫자는 크로마젠 렌즈 착용자가 평균 110.26${\pm}$22.07 단어를 읽었고, 나안 또는 교정안경 착용자는 평균 106.42${\pm}$22.70의 단어를 읽었다. 크로마젠 렌즈 3개월 착용 후에는 평균 114.16${\pm}$21.86 단어를 읽었고, 나안 또는 교정안경을 착용한 학생은 109.96${\pm}$21.67 단어를 읽었다. 크로마젠 렌즈 착용 전과 후에 대한 3개월 동안 크로마젠 렌즈를 착용한 후의 읽기능력은 각각 3.70%${\pm}$0.29(p=0.01, t=2.26), 4.50%${\pm}$0.10(p=0.01, t=2.78)의 향상을 보였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크로마젠 렌즈의 교정 3개월 후 난독증 증상의 개선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전체 대상자 중 88.4%가 크로마젠 렌즈에 의해 난독증 증상이 개선되었다고 답하였다. 결론: 시각적 난독증의 증상이 의심되는 대상자에게 난독증 교정안경렌즈인 크로마젠 렌즈는 읽기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5).

고정원을 위한 micro-implant 매식시 drilling 유무에 따른 안정성에 관한 연구 (Effects of drilling process in stability of micro-implants used for the orthodontic anchorage)

  • 장영일;김종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2호통권91호
    • /
    • pp.107-115
    • /
    • 2002
  • 본 연구는 교정적 고정원을 얻기 위하여 micro-implant(Osas$^{(R)}$, Epoch medical)를 drill method와 drill-free method로 매식시, 조기 교정력에 대한 각각의 경우 micro-implant의 역학적 안정성 및 조직학적 생체 적합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두 마리의 실험견(beagle dog)을 대상으로 상, 하악 협측과 구개부위에 좌우측을 구분하여 drill method 군과drill-free method 군으로 나누어 매식하였다. 매식 한 재료는 직경 1.6 mm의 micro-implant를 사용하였으며, drill method 군 16개, drill-free method 군 16개, 총32개의 micro-implant를 식립하였다. 교정력은 매식 후 1주 뒤에 Ni-Ti coil spring(Ni-Ti springs-extension$^{(R)}$, Ormco)으로 200 gm - 300 gm의 힘을 적용하였다. 동요도 검사는 희생 전에 Periotest$^{(R)}$(Siemens)로 측정하였다. 매식 12주 후에 관류고정 하였으며 시편은 레진 포매하여 Exakt system$^{(R)}$(Exakt)을 이용하여 비탈회 표본을 제작하였다. 표본은 H-E 염색한 뒤, 광학 현미경 상에서 검경하여 조직학적 소견을 분석하였고 조직계측학적 측정은 골접촉률과 골밀도로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실험을 통하여 매식한 micro-implant의 탈락률과 동요도, 골접촉률 및 골밀도로 drill method 군과 drill-free method 군의 역학적 안정성 및 조직학적 생체 적합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icro-implant와 골의 계면은 기계적 접촉 뿐만 아니라 골유착도 있었다. 2. micro-implant의 탈락은 drill method 군이 더 높았다. 3. 동요도는 drill method 군이 전반적으로 더 컸다. 4. micro-implant와 골접촉 정도는 전반적으로 drill-free method 군에서 양호했다. 5. micro-implant 나사산 사이 내에 존재하는 골밀도는 전반적으로 drill-free method 군에서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micro-implant는 매식시 drill-free method가 drill method보다 탈락률과 동요도 및 골접촉률과, 골밀도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보여 drilling 과정이 안정성과 골조직 치유 및 골유착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주시각도에 따른 조절기능의 변화 (A Study on the Changes of Accommodative Function in Respect to the Viewing Angle)

  • 이학준;김정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14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근거리 작업자의 주시선 각도 변화에 따른 조절효율과 순목횟수, 조절래그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독서, 컴퓨터나 TV등을 오랜 시간동안 주시할 때 두통을 동반하거나 눈의 피로를 호소하는 원인 및 안정피로를 완화시키는 적합한 주시각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컴퓨터 등의 근거리 작업을 많이 하는 20세에서 36세까지의 대학생 남자 12명과 여자 15명 총 27명을 대상으로 근거리 작업자의 주시선의 각도 변화에 따른 조절효율과 눈 깜빡임 횟수, 조절래그량의 크기를 조사하였다. 굴절이상을 완전교정한 후 포롭터를 근거리 모드로 전환하여 40 cm에 근거리 시표를 위치시키고 수평면을 기준으로 $40^{\circ}$ 아래방향, $20^{\circ}$ 아래방향, 수평방향, $20^{\circ}$ 윗 방향을 주시하였을 때 각각의 주시방향에서 1분 동안의 조절효율성, 눈의 깜빡임 횟수를 측정하였고 검영기를 이용하여 동적검영법으로 조절래그를 측정하였다. 결과: 주시선이 $40^{\circ}$ 하방보다 윗 방향쪽으로 이동할수록 조절효율은 감소하였고, 눈 깜빡임 횟수와 조절래그량은 증가하여 근거리 작업 시 눈이 건조해지고 조절반응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근거리 작업 시 책이나 컴퓨터 화면의 위치를 수평방향보다 $40^{\circ}$ 하방에 위치시키면 눈의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 PDF

칼만 필터 기반의 스마트 해양기상관측 파고 시스템 연구 (A Study on Ocean Meteorological Observation Wave Meter System based on Kalman-Filter)

  • 박상현;박용팔;김희진;김진술;박종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377-138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개발 분야가 취약한 해양관련 기상기후와 파고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해양기상관측 파고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해양파고 측정 장치가 없으며 대부분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대부분 수입 제품은 긴 시간 동안 측정이 불가능 하고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스마트 해양기상관측 파고 시스템은 데이터로거 방식으로 실시간 해양기상을 관측하고 기존의 데이터로거가 가지고 있는 기능과 해양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을 동시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해양파고 측정은 칼만 필터 알고리즘을 적용하였고 실시간 파고를 측정할 때 발생되는 노이즈와 정확도를 높였다. 본 논문에서는 검교정 장치와 실제 해양 테스트를 통하여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을 때와 적용하지 않았을 때를 실험하였고 실험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해양에서 사용되는 시스템으로 충전이 가능한 리튬 인산철 배터리를 개발하였고 최적의 사용을 위하여 RTC 기반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소비 전력을 최소화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측정 주기에 따른 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배터리 사용과 측정값을 도출하였다.

Flight model development of the NISS structure for NEXTSat-1 payload

  • 문봉곤;고경연;이덕행;정웅섭;박성준;이대희;표정현;박원기;김일중;박영식;김민규;남욱원;김민진;고종완;임명신;이형목;이정은;신구환;채장수
    • 천문학회보
    • /
    • 제42권2호
    • /
    • pp.87.3-88
    • /
    • 2017
  • 한국천문연구원은 차세대소형위성 1호의 근적외선 영상분광기 NISS (Near-infrared Imaging Spectrometer for Star formation history) 탑재체를 개발하여 2017년 6월 30일에 최종 비행모델을 납품하였고, 이 발표는 탑재체 NISS 구조체의 비행모델 개발 결과를 보고한다. NISS는 0.9 - 2.5um (R~20) 근적외선 파장에서 관측을 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체의 배경잡음을 없애기 위해서 200K까지 passive cooling으로 냉각되며, H2RG 검출기는 소형 냉동기에 의해 약 88K에서 운영된다. NISS 구조체의 passive cooling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방열판, Kevlar 지지대, MLI, 표면제어용 필름 등을 조립하였고, 실제 지상 시험을 통해서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NISS 구조체는 최종 시스템 조립 과정에서 전자부 하네스 조립을 함께 수행했으며, 온도 모니터링 센서를 부착하고 소형 냉동기 피드백 온도를 반복 시험을 통해서 결정하였다. NISS 구조체는 미러 및 렌즈를 지지하는 광기계부를 함께 포함하기 때문에 발사 및 우주환경에서 광학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설계를 거쳐서 제작 되었으며, 최종 시스템 검교정 시험, 진동 및 열진공 시험을 통해서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NISS를 탑재한 차세대소형위성 1호는 2018년 상반기에 미국의 Falcon 9 발사체에 실려서 발사될 예정이다.

  • PDF

전신 방사선치료(Total Body Irradiation, TBI)를 위한 한국인에 맞는 환자 고정장치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Patient-Immobilizing Device for Total Body Irradiation (TBI))

  • 김명세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3권3호
    • /
    • pp.114-119
    • /
    • 2002
  • 조사 선량의 분포를 저해하지 않으면서 정확한 차폐가 가능하며, 짧은 시간 내에 쉽게 환자를 고정할 수 있으며, 치료 중에 환자가 의식을 잃는 경우에도 다치지 않고 지지될 수 있는, 한국인의 체형에 맞는 전신방사선치료를 위한 고정장치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230 cm의 키, 100 kg의 체중을 가진 성인 환자도 지지될 수 있도록 지름 5 cm의 스텐레스 원형 봉을 사용하여 프레임을 제작하였고, 의자는 환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환자의 키, 몸의 두께에 맞추어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안하였다. 가슴부위의 전면 지지대는 1 cm 두께의 아크릴을 사용하여 지지의 기능과 차폐물의 고정 기능을 겸하게 하였고, 등면의 지지대는 1 cm 두께의 아크릴을 5 mm 두께, 3 cm 넓이의 스텐레스 스틸로 테를 둘러 환자의 지지와 엑스선 필름 카세트 고정장치를 겸하도록 고안하였으며 2개의 상부 도르래와 측면의 핸들로 쉽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머리 고정장치는 비닐과 특수 스펀지를 사용하여 쇠약한 환자의 작은 흔들림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환자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데 평균 4분 25초가 소요되었고 반복되는 분할조사의 검교정 필름에서 폐의 차폐물의 위치에 차이가 없었으며, 펜텀 실험과 환자치료에서 $\pm$5%의 선량차이를 보였다. 치료중 환자가 의식을 잃은 경우도 수차 있었으나 쓰러지지 않고 지지할 수 있었다.

  • PDF

조절마비제로 정시안이 된 눈의 조절마비 효과 (The Effect of cycloplegia in Emmetropia with Use of Cycloplegia)

  • 심현석;심문식;장성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01-20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조절마비제 점안 후(CR상태) 정시가 된 소아(6~13세)들의 현성굴절상태(MR상태)와 나안시력을 측정해 봄으로써 조절마비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력검사와 교정을 원하여 내원한 소아 중에서 CR상태의 값이 등가구면굴절력(SE값) ${\pm}0.50D$ 이하이며 난시도수가 ${\pm}1.00D$ 미만인 경우를 정사안으로 간주하여, CR상태 정시안 소아 105안을 대상으로 MR상태와 CR상태에서 각각 자동굴절검사기(NIDEK ARK-700)를 이용하여 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CR상태 정시안의 MR상태 굴절이상량은 남자는 -0.67D, 여자는 -0.92D로 CR과 MR의 차이는 남자 0.5D, 여자 0.81D 전체는 0.69D로 여자가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나안시력은 남자는 0.82, 여자는 0.74 전체는 0.77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평균 0.69D였고 13세에서 1.1D로 CR과 MR의 차이가 가장 많았다. 시력은 10세에서 0.86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CR상태 정시안의 조절마비제 효과는 $0.69D{\pm}0.79$, 나안시력은 $0.77{\pm}0.21$ 정도임을 알 수 있었다. 조절마비제를 사용할 수 없는 안경사들은 소아의 초기 안경착용을 처방할 경우 MR상태에서 -0.75D 이하의 근사상태인 경우와 시력이 0.77 이상인 경우에는 불필요한 안경처방과 근시의 과교정 처방을 주의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인도메타신의 투여가 치아 맹출 시 기질금속단백분해 효소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domethacin on the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canine permanent tooth eruption)

  • 강윤구;남종현;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1-102
    • /
    • 2006
  • 이 연구는 치낭과 그 주위 조직 세포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3과 -9의 발현에 대한 인도메타신의 영향을 관찰하여 인도메타신이 치아의 맹출에 미치는 영향의 일단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생후 10-12주된 10마리의 개를 실험군 8마리와 대조군 2마리로 나누고 실험군은 인도메타신을 체중에 대하여 통상적 복용량인 인도메타신 2 mg/Kg/day을 7일간 및 14일간 투여한 군과 과량의 8 mg/Kg/day을 7일간 및 14일간 투여한 군으로 나누고 대조군은 빈 캅셀을 placebo로 투여한 후 희생하고 맹출 중인 영구치 치배를 적출하여 조직 처리하고 H-E 염색 및 MMP-3과 -9에 대한 면븐염색 시행 후 광학현미경으로 검경하였다. 관찰결과 대조군에서는 파골세포, 조골세포, 치주인대 세포, 법랑모세포 및 상아모세포에서 모두 MMP-3과 -9의 발현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대조군에 비해 인도메타신 투여군에서 파골세포, 조골세포, 치주인대 세포는 MMP-3과 -9의 발현이 억제된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인도메타신의 투여기간이 길수록 투여량이 많을수록 더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법랑모세포와 상아모세포는 대조군과 실험군의 MMP-3과 -9의 발현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prostaglandin (PG) 생합성 억제제인 인도메타신은 치낭의 파골세포, 조골세포 및 치주인대 세포에서 MhfP-3과 -9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인도메타신 투여로 치아 맹출이 억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증상이 심한 신생아 Ebstein 기형의 양심실성교정 -1례 보고- (Biventricular Repair of Critically III Neonate with Ebstein′s Anomaly - Report of 1 case -)

  • 공준혁;김웅한;류재욱;이석기;백만종;임청;김수철;오삼세;나찬영;김수진;박영관;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4호
    • /
    • pp.303-306
    • /
    • 2002
  • 심한 Ebstein기형이 있으면서 신생아시기에 증상이 있는 경우, 심한 심비대를 보이며 이로인해 폐발달의 장애가 생기고 기능적 폐동맥판폐쇄를 보이며, 동맥관의존 폐혈류를 보인다. 지금까지 이런 경우 양심실성교정은 실망적이었으며 근래에 와서 Fontan술식을 목표로 하는 Stames술식으로 좋은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본원에서는 생후 4일째 심한 심비대와 함께 해부학적 폐동맥판폐쇄가 동반된 Ebstein기형의 환아에서 심방화된 우심실을 수직적 주름성형술, 삼첨판막륜성형술, 우심실유출로재건, 심방중격결손부분폐쇄, 우심방축소술로 양심실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환아는 심홉곽비의 현저한 감소와 심초음파검사상 경도의 삼첨판폐쇄부전을 보이며 10개월째 건강한 상태로 외래추적관찰중이다.

$^{90}Sr$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전리함의 대기 보정계수 측정 (Air Density Correction of Ionization Chamber using $^{90}Sr$ Radioactive Check Device)

  • 박성용;김우철;신동오;지영훈;권수일;이길동;조영갑;노준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267-271
    • /
    • 1998
  • 전리함을 사용한 흡수선량 측정시 대기 보정계수의 측정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일반적으로는 기압계 및 온도계를 이용하여 대기 보정계수를 얻고 있는데 본 실험에서는 $^{90}Sr$ 방사성 등위원소를 사용하여 보정계수를 얻고 그 값들을 비교하고자 한다. PTW 사의 Radioactive Check Device, Unidos Elecetrometer 및 0.6 co Ion Chamber를 이용하여 각각의 다른 환경 조건하에서 대기 보정계수를 구하고 온도계와 기압계를 사용하여 구한 대기 보정계수를 비교해 본 결과 그들은 0.2 % 이내로 잘 일치가 되었다. 이론적으로 온도계 및 기압계를 사용할 경우 전체 선량의 불확정도는 ${\pm}$1.2 - 1.6 % 인데 반하여 $^{90}Sr$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할 경우 전체 선량의 불확정도는 ${\pm}1.02%$로 계산할 수 있다. $^{90}Sr$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한 방법은 온도계 및 기압계의 정기적인 검교정이 없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보정계수를 얻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