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 드로잉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초

해체주의 건축드로잉에 나타난 타이포그래피 특성 연구 -D. Libeskind의 건축드로잉을 중심으로- (Typographic Interpretation on D. Libeskind′s Architectural Drawing)

  • 이병주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347-358
    • /
    • 2002
  • 건축드로잉이 미래의 지어질 건축을 예상하기 위해 필요한 단순히 기능적인 그래픽이라는 전통적인 개념에서 변화하고 있다. 특히 해체주의 건축가들 사이에서 개성적인 그래픽 요소들은 그들의 자기표현적인 스타일을 실현시키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오로지 미학적인 이유에서 그래픽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 반면에 몇몇 경우는 드로잉이라는 작업 자체가 보다 근본적인 자기탐구과정의 성격을 갖기도 한다.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건축드로잉이 그러한 경우로서 타이포그래피적 성격은 그의 작업의 큰 특징을 이룬다. 타이포그래피적 요소를 그의 드로잉 전반에 걸쳐서 추상적 상징주의 표현의 메티포로서 즐겨 사용함으로써 보다 본격적인 타이포그래피적 접근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타이포그래피 요소들이 어떻게 그의 건축드로잉에서 해석될 수 있는가에 주목하고 어떤 상호연관성이 이질적인 두 영역 사이에 개입되는지, 또한 보조적 수단으로서가 아닌 적극적인 역할로서 그의 실제 건축에 반영되는강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더불어 활자 그 자체가 서로 다른 매체를 만나서 상징화 과정이 부여되는 유형적 분류들을 통해서 리베스킨트 건축드로잉의 해석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 PDF

조경 설계에서 손 드로잉 유형의 역사적 변천과 혼성화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Types of Hand-Drawing and Their Hybridization in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 이명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1-86
    • /
    • 2017
  • 이 연구는 손 드로잉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혼성화의 관점으로 해석하여 손 드로잉에 내재되어 있었던 창조적 성격을 발견하고자 한다. 조경 드로잉은 과학적 도구성과 예술적 상상성이라는 호환 가능하고, 상대적인 두 특성을 지니고 있고, 그러한 특성은 투사, 퍼스펙티브 뷰, 다이어그램이라는 구체적 드로잉 유형으로 구현되어 왔다. 하지만 드로잉 유형은 뚜렷이 구별된다기보다 오히려 상호 보완적으로 혼성화되면서 설계 경관에 대한 비전을 시각화해 왔다. 특히, 땅과 건축물을 그린 플랜에서 식물 소재는 퍼스펙티브 뷰나 엘리베이션으로 그려내는 플라노메트릭 기법이 이용되었다. 물론, 특정 지역과 시기에 특정 정원 양식에 적합한 드로잉 유형이 등장하고, 때때로 우세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16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정원과 17세기 프랑스 정형식 정원 설계에는 투사 드로잉이, 18세기에서 19세기 초 영국 풍경화식 정원 드로잉에서는 회화적 묘사가 강조된 퍼스펙티브 뷰가 중요했고, 19세기 중후반 미국 조경 설계에서는 공모전 드로잉, 사진, 맵 오버레이 등 용도에 따른 드로잉의 분화가, 20세기 초중반 미국의 모더니스트는 설계 전략을 시각화하기 위해 다이어그램을 이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러한 변천 과정에서, 플라노메트릭은 땅의 평면적 구성과 식재의 정면적 시각을 동시에 고려하는 조경 설계에 적절한 혼성적 시각화 기법으로 빈번히 활용되었다. 19세기 중엽에 탑뷰가 플라노메트릭을 대체하고, 20세기 들어 식재의 회화적 특성이 소거된 채 기호로 표준화되면서, 손 드로잉에서 상상적인 테크닉보다 도구적인 시각화 방식이 점차 일반화되었다.

특집: 건축설계의 패러다임 바꾸는 BIM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45호
    • /
    • pp.39-51
    • /
    • 2010
  • 현재 많은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2D 3D CAD(Computer-Aided Design)는 기하학적 요소들의 그래픽 구현에 주로 활용되어 왔다. CAD를 통해 이전의 수작업 도면작성에서 디지털 도면작성으로 설계 방법의 변화가 촉진됨으로써 설계오류를 크게 줄이는 한편 설계변경에도 많은 편리함을 가져 왔다. 지금 건축 설계의 패러다임은 단순한 기하학적 드로잉에서 '정보'를 만나, 건축의 전 과정뿐 아니라 사후 유지관리에 대한 각종 데이터까지 처리할 수 있는 BIM으로 발전되고 있다. 본지는 컴퓨터 지원 설계의 변천 과정과 건설시장의 새로운 프로세스로 부각되고 있는 BIM의 현황 및 설비업계와의 접목 가능성, 향후 전망 등에 대해 알아본다.

  • PDF

입자 패치 기반 가상 연필 및 에어브러시 가시화 알고리즘 (Virtual pencil and airbrush rendering algorithm using particle patch)

  • 이혜린;오건;이택희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101-109
    • /
    • 2018
  • 최근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형태의 기술이 제안되고 발전되고 있다. 특히 가상의 학습공간이나 가상의 건축 공간들을 위한 기술로서 원하는 형태의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가상 드로잉 툴은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기존의 래스터 기반 드로잉 알고리즘은 공간 이동이 잦은 가상 현실에서는 부적합 할 수 있는데, 가상 현실의 특성상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연필 및 에어브러시의 물리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실제 결과와 흡사하면서도 확대 및 축소에 강건한 가상의 드로잉 툴 렌더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캔버스로부터의 거리, 분사되는 잉크의 양, 움직이는 속도, 마찰력, 압력 등을 고려한다. 드로잉의 기본 단위는 정사각형 패치이며 각 패치는 슈도 랜덤값을 기반으로 하는 입자 형태의 이미지를 가진다. 이러한 입자 패치는 슈도 랜덤 식을 사용하고 매 프레임 마다 재 생성되기 때문에 확대 축소 시 깨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2차원 환경 및 가상 현실 환경에 구현되었다. 2차원 환경은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에서 구현하였으며 가상 현실 환경은 언리얼 엔진 4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구현 결과 확대 축소 시에도 이질감 없이 원래의 질감을 유지하는 렌더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리베스킨트 초기 드로잉 작업의 실험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mental Characteristics of Libeskind's Early Drawing Works)

  • 정태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97-104
    • /
    • 2013
  •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of Libeskind's early drawing works through comparisons of each drawing. The importance of his experimental drawing works is not only their uniqueness but also relationship to creation and development of his architecture. Libeskind's musical and educational background had great impacts on forming his early drawings. A series of drawings including 'Micromegas', 'Chamberworks', and 'Theatrum Mundi' shows variety and experiments about reconstruction of three dimensional architectural fragments, abstractive line drawing and plane oriented painting. Libeskind himself cease to experiment drawing techniques but their characteristics still remain in his sketches, diagram and conceptual drawings. In spite of influences of undergraduate design studios, theoretical background of graduate studies, their experimental features are due to his continuous endeavor to make and develop his drawing skills and contents. As a result, his early drawings act as media and way to communicate and develop his concepts.

콜하스와 츄미의 라 빌레뜨 공원 계획안 비교 분석 - 드로잉에 나타난 점, 선, 면의 구성과 작동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Parc de la Villette Project by Tshumi and Koolhaas - By Investigating the Actions of Points, Lines, and Surfaces in their Drawings -)

  • 김인성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4호
    • /
    • pp.115-134
    • /
    • 2011
  •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Parc de la Villette has evoked the old architectural question that is about the conflict between unchanging architecture and ever changing time. Tschumi and Koolhaas suggested well-known solutions for it, both of which had started from the criticism of general urban design approach that ignored changing factors in time.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the approaches of Tschumi and Koolhaas are even opposite to each other in spite of their common aims. Influenced by deconstructivists' theories, Tschumi tries to generate the 'text' on the surface of la Villette so that the different users of the park can read it differently. The text is built by 'superimposing' different systems such as points, lines, and surfaces. This study criticizes such formalistic approach since such 'forms' do not generate any dialogue with the real users but just stay as a backdrop for irrelevant events. Meanwhile, Koolhaas concentrates on the 'ground-ness' of la Villette. What he deals with is the real ground which embraces all the potentials on it already. His 'bands' express nothing but the metamorphosis of the ground, and the ground generates the 'differences' out of itself by repeating itself ceaselessly. This study tries to clarify all those happenings and meanings by intimate investigation of various drawing works for the la Villette project by Tschumi and Koolhaas.

모듈러 주거시설의 단위유닛 제작품질 확보를 위한 공장제작도서 개선 연구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Drawings for Manufacturing Quality Assurance of Modular Housing Unit)

  • 황현준;정찬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137-144
    • /
    • 2016
  • In modular architecture, manufacturing drawing which includes whole information for modular unit production is essential since works for modular unit have to be performed in manufacturing factory not construction field. Although the manufacturing drawing is important as known it is insufficient to utilize the manufacturing drawing in modular architecture project and this makes modular unit low-quality with re-work and work time delay. To prevent low-quality modular unit caused by insufficient manufacturing drawing, in this research firstly manufacturing drawing's current situation and error cases in manufacturing phase of past modular housing project were analyzed, and correlation between reduction of errors occurance frequency and improving manufacturing drawing was verified. Secondly manufacturing drawing improvement factors were deducted in interior, furniture, mechanical work phase which errors' occurance rate is high and the way of deducting manufacturing drawing lists and contents were suggested with light-weight work as an example in case of new type of errors occurance. A series of research process can contribute to good-quality modular unit by errors reduction. As a result of research, about half of errors occurance can be reduced with suggested manufacturing drawing improvement factors. And the manufacturing drawing process can contribute to modular production which have uniform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