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축물 화재안전

Search Result 30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Investigation of Fire Protection and Safety Measures of Escape in Hotel Buildings (호텔건축물의 방화의식조사 및 피난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 안태용;이영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11a
    • /
    • pp.233-241
    • /
    • 2001
  • 호텔 건축물은 현대적 기능요구에 따라 대규모화, 고급화, 복합용도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건물 이용자는 불특정 다수인으로 그 건물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화재시 인명 피해가 우려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호텔 건축물에는 화재·피난안전상 유의하여야 할 사항에 대하여 체계적인 방화시설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호텔의 이용실적조사, 화재관련통계 화재사례조사, 방화의식조사를 하였으며, 둘째, 호텔 건축물의 건축계획적인 사항을 검토하였으며, 셋째, 방재시설에 관한 법규정을 분석한 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화재시 인간 및 재산의 보호와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호텔공간을 건축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 PDF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Combustion Model for Fire Simulation in Building(III) (건축물 화재성상 시뮬레이션을 위한 연소확대 모델 개발 및 적용사례(III) - 외장재에 기인한 연소확대모델 -)

  • Kwon, Young-Jin;Kim, Dong-Eun;Hong, Hae-Ri;Kim, Se-Jong;Han, Jung-Chul;Seo, Yoo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32-36
    • /
    • 2011
  • 최근 건축물은 초고층화의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하중감소 및 에너지 절약을 위한 외장재를 사용하고 있으나 화재 안전성은 고려되지 않아 화재 위험성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높은 층수에 의한 바람의 영향이 증가하여 화재 시 큰 변수로 작용될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초고층에서의 화재 안전과 관련 규정이 추진되고 있으나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며 화재 안전 대책이 강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건축물의 화재 시 외장재와 바람이 화재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2010년 부산에서 발생한 초고층 주상복합건축물의 화재 사고를 FDS를 통해 분석한 결과, 화재 시 풍속을 적용한 경우가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빠른 수직, 수평 화염 확대를 보였으며, 높은 최대 HRR값을 보였다.

  • PDF

Study for the Method to Secure the Safety of Fire-fighters in the Building Damaged by a Fire by Using Fire-resistant Design Theories - Mainly about Suggesting the Process and the Method for a Real-time Safety Evaluation by a Fire-fighter - (화재손상 건축 구조물에서 내화설계 이론을 활용한 소방관 안전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 소방관에 의한 실시간 안전성평가 절차 및 방법의 제안을 중심으로 -)

  • Kwon, Yeongbae;Kwon, In-Kyu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0 no.1
    • /
    • pp.86-95
    • /
    • 2016
  • Weight-bearing building materials are substantially weakened under high temperatures, and this is evident through the collapse of structures once engulfed by fire. Currently, there is no scientific or technological process of evaluating the real-time structural stability of a building whcih is engulfed by flame. There are many building design specifications which aim to reduce the risk of fire, but little consideration given to fire officer safety while operating in a dangerous building. This paper aims to provide direction within building policy in order to ensure the safe evacuation of fire-fighters in case of an impending building collapse. This paper suggests evaluation criteria for buildings which are damaged due to fire, autilizing current information on fire-resistant building design and a fire-resistant capacity.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outflow coefficient in exit and set-up plan for egress safety plan of PBD (성능적 피난안전계획을 위한 출구 유동계수의 조사 및 설정방안 고찰)

  • Seo, Dong-Goo;Kim, Dong-Eun;Hong, Hae-Ri;Hwang, Eun-Kyung;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255-260
    • /
    • 2010
  • 최근 건축물은 초고층화 대형화 지하심층화 되어가고 있다. 한편, 이러한 건축물은 화재시 기존의 건축물 보다 피난안전성의 문제가 대두된다. 이에 따라 국내외에서는 성능적 피난안전계획을 목적으로 PBD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국외에 비하여 그 방법론이 부족하고, 건축물의 피난용량이 부족한 시점에 놓여있다. 이러한 배경을 통하여 본 연구는 재실자 피난행동분석 중 피난계산에 중요한 요인인 출구유동계수를 조사하고, 기존의 국내외 문헌과 비교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종합표준치 1.88인/ms를 도출하였으며, 또한 실태조사의 한계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한 조사기법에 대한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 PDF

KFSA- I에 의한 건물의 화재위험성 평가

  • Lee, Soo-Kyung;Ko, 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91-96
    • /
    • 1997
  • 건축물의 고층화와 그 구조의 다양화, 고밀도화에 따른 실내의 가연물 증가등으로 인한 화재의 잠재적인 위험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건물화재를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건물의 잠재된 화재 위험성을 평가한다는 것은 건축물을 화재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고, 화재를 미연에 예방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이 표준화 되어있지 않고, 정량적 평가를 할 수 있는 방법이 매우 드문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화재 위험성을 정량화 시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함으로써 체계적이고 쉽게 평가 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