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조대추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17초

건조방법에 따른 건조대추의 성분 변화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Dried Jujube Fruit by Drying Methods)

  • 신승렬;한준표;이숙희;강미정;김광수;이광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1-65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nge in the components according to drying methods of jujube. Raw jujube was dried with five methods such as sun-drying, hot-air drying after pretreated with sunlight, blanching, microwave treatment,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soluble sugar and protein in sun-dried jujube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drying methods. The free sugars of dried jujube were consisted of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And the contents of free sugar was not different by drying methods. The major organic acids of dried jujube were oxalic acid, citric acid and malic acid. The contents of glutamic acid, glycine and alanine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amino acids, and the content of each amino acid was not different by drying methods.

  • PDF

건조 대추의 변형기체포장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f Dry Jujube)

  • 하정욱;이동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65-270
    • /
    • 1997
  • Effect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conditions on quality changes of dry jujube was investigated. Dry jujubes with moisture content of 26.7% were packaged in PET/Al/PE film pouches with modified atmospheres. The tested packages include those with normal air, vacuum, CO2 flushing, N2 flushing and O2 scavenger. Packages were stored at 25$^{\circ}C$ for 6 months, during which ascorbic acid concentration, browning level, titratable acidity and surface color were measured. Generally modified atmosphere packages could improve quality retention of dry jujubes except that vacuum package resulted in large surface color change. CO2-flushed package showed the best quality retention of high ascorbic acid content and low browning during 112 days, but caused high amounts of ascorbic acid destruction and browning in longer storage. In all the modified atmosphere packages titratable acidity reached a maximum followed by decline and subsequent rise, while it increased linearly with time in normal air package. Considering ascorbic acid retention browning level and surface color changes during 112 days, the packages of CO2 flushing and N2 flushing were better than others.

  • PDF

전통 유과의 제조방법 조사 연구 (Survey on traditional Yukwa(oil puffed rice cake) making method in Korea)

  • 신동화;최웅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43-248
    • /
    • 1993
  • 전남북, 경남북, 충남북, 강원도 지역에서 유과를 가정에서 만들어 먹는 사람을 대상으로 미리 만들어진 설문에 의하여 유과 제조방법을 조사한 결과 설문지 151건을 회수, 그 내용을 정리하였다. 유과용 원료는 절대 다수가 찹쌀(96.3%)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제조의 첫 단계로 수침시간은 조사자의 47.5%가 $2{\sim}5$일로서 근래 밝혀진 수침시간보다는 길었고, 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분쇄방법은 주로 떡방아간에서 가루내었고 가루를 반죽하는 데는 쌀가루와 물의 비율이 $2{\sim}4.5{\;}:{\;}1$로 상당히 되게 반죽하였다. 첨가물로는 설문 응답자의 1/3 이상이 술, 콩, 베이킹파우다를 넣고 있으며, 콩과 술을 넣는 빈도가 가장 높았고 전북지역에서 첨가물 종류가 많았다. 반죽의 찌는 시간은 김이 나오기 시작하여 $15{\sim}35$분이 32.3%이었고 충분히라는 경험적 방법(45.1%)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꽈라치기는 반수 이상이 절구통을 이용하였고 나머지는 집에서 쉽게 구하는 용구를 사용하였다. 반데기의 두께는 $2{\sim}3mm$에 크기는 $10{\times}10{\sim}15cm$가 많았고 같은 두께에 크기만이 다른 경우가 다음이었고 호남쪽이 영남쪽보다 큰 경향이었다. 건조방법은 응답자의 82%가 아랫목에서 건조하고 건조 정도는 끊어서 바삭 부서질 정도(44%)로 경험에 의해서 건조 정도를 정하였다. 튀김기름은 77.5%가 대두유를 사용하였고 튀김 용기는 후라이팬(40.8%), 솥(24.5%)를 주로 사용하였다. 튀김매체는 식용 기름 외에 가열 모래(28건), 직화(5건), 가열 자갈(3건) 등이 이용되었고 전북과 경남지역에서 이런 사례가 많이 수집되었다. 집청은 주로 물엿(55.0%)과 조청(20.8%)을 사용하였고 매화(찰벼튀김), 밥풀튀김, 깨를 바르거나 잣, 참깨, 대추 및 밤과 같은 견과류, 곶감, 석이버섯 등으로 모양을 내고 있었다.

  • PDF

주요 단기소득 임산물의 전환비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Ratios Between types of Main Non-timber Products)

  • 이상민;강갑수;손철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342-349
    • /
    • 2006
  • 임산물 생산통계 조사요령은 생산자 판매시점에서 품목별 특정 형태를 기준으로 하여 집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생산자 판매형태와 조사기준 형태가 상이하므로 기준형태로 통일하여 집계하기 위해서는 전환비율이 반드시 필요하나, 현재로서는 그 비율이 제시되지 않아 통계자료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한 전환비율을 찾아내고 적용하여 좀 더 현실에 가까운 생산통계를 작성하는 것은 임산물 생산통계 집계에 있어 매우 시급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 연구는 전환비율을 적용할 필요가 있는 주요 단기소득 임산물을 대상으로 통계집계 실태를 파악하고, 실험을 통해 산출된 전환비율을 적용하여 개선된 임산물 생산통계 집계체제를 갖출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상이 되는 10개의 품목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실제로 집계현장에서 경험을 통해 파악하고 있는 고사리, 취나물, 대추, 오미자 등의 건조율은 실험을 통하여 산출된 수치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이러한 건조율 수치가 생산동계 집계에 직접 반영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험을 통하여 제시된 건조율과 가공율을 이용하여 2004년에 집계된 조사대상품목의 생산량을 새롭게 계산해보면 품목의 생산량이 -41%에서 474%까지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환비율은 한 해의 자료에 불과하므로 정확한 비율산출을 위해 장기적인 검증과정을 거쳐야 할 필요가 있다.

울산지역 건조농산물 가공품의 잔류농약 분석 (A Research on the Residual Pesticide Content of Dried Agricultural Products from Ulsan)

  • 김대교;김선화;김수희;최재선;김희정;김영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38-24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울산지역에서 유통되는 건조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150건을 수거하여 잔류농약 분석을 실시하였다. 잔류농약 208항목을 식품공전 다성분 분석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29건(19.3%)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다. 품목별로 분류하면 고추 품목에서 7건, 취나물에서 4건, 곤드레에서 3건, 대추, 무(잎), 가지에서 각 2건, 귤, 부지깽이, 고구마줄기, 여주, 고사리, 무(뿌리), 사과, 감잎차, 고추잎에서 각 1건씩 검출되었다. 검출된 잔류농약을 성분별로 분류하면 살균제성분이 60%, 살충제성분이 23.8%, 살충제, 살비제로 작용하는 성분이 16.3% 검출되어 살균제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가장 많이 검출된 잔류농약은 Tebuconazole, Pyraclostrobin, Difenoconazole, Azoxystrobin이다. 분석결과 2건에서 3항목의 잔류농약이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여 부적합으로 판정되었으나, 위해도 평가결과 0.00002-0.3140%범위로 나타나 모두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건조 식품원료 약용식물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Dried Medicinal Plants used for Food Materials)

  • 유인실;박성규;최영희;승현정;정희정;한성희;이영주;김윤희;김경식;한기영;채영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4-232
    • /
    • 2012
  •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서 유통되는 식품원료 약용식물을 대상으로 식품공전의 다종농약다성분시험법에 의하여 100종 농약을 분석하였다. 사용부위(뿌리 82건, 과일 113건, 피층 29건, 전초 10건, 종자 18건)와 원산지(국산 201건, 수입 60건)로 구분하여 총 30종 261건 시료를 분석하였다. 원산지별 농약 검출율은 국산 20.9%, 수입 13.3%로 국산의 농약 검출율이 높았다. 전체 시료 261건 중 농약 검출율은 19.2%이며, 과일, 뿌리 시료에서만 농약이 검출되었고,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시료는 대추와 천궁 1건씩 이였다. 과일시료의 농약 검출율은 39.8%였고, 농약검출 품목은 대추, 구기자, 복분자, 산수유, 오미자, 귤피였다. 뿌리시료의 농약 검출율은 6.1%였고, 농약 검출 품목은 천궁, 감초, 황기였다. 검출된 농약은 모두 17종으로 과일에서 15종, 뿌리에서 7종 농약이 82회 검출되었다. 검출빈도가 높은 농약은 cypermethrin, chlorpyrifos, cyhalothrin, fenvalerate, bifenthrin 순이였다. 농약이 검출된 시료 중 50%이상이 2종 이상 농약이 동시에 검출되었다. 따라서 식품원료 약용식물 중 국산 과일, 뿌리의 농약 검출율이 높고, 검출 농약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안전관리가 요구된다.

다소비 식품의 식품첨가물 사용 실태조사 (The Survey on Food Additives in Frequently Consumed Food)

  • 서계원;양용식;조배식;강경리;김종필;김은선;박종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2-148
    • /
    • 2008
  • 2007년 3월부터 11월까지 광주지역에 소재하는 재래시장과 할인마트에서 구입한 건과류 채소류와 건포류 등 94건, 전통 막걸리 판매점 등에서 구입한 탁류 23건, 모두 117건을 구입하여 식품첨가물인 이산화황, 타르색소와 인공감미료를 조사하였다. 건과류 채소류와 건포류 등 94건에서 이산화황을 조사한 결과 17건에서 $11.5{\sim}4,452.3\;mg/kg$이 검출되었으며, 식품공전의 기준을 적용한 결과 건조과실류인 대추채 2건이 각각 2,476.6 mg/kg, 4,452.3 mg/kg이 검출되어 부적합하였고, 중국산 건방울 토마토에서 88.9 mg/kg, 국내산 건호박에서 1,653.7 mg/kg이 검출되어 부적합 판정되었다. 또한, 주류 23건을 구입하여 인공감미료와 타르색소를 검사한 결과, 탁주에서 사용할 수 없는 인공감미료인 삭카진나트륨이 2건에서 0.4 mg/kg, 11.1 mg/kg이 검출되었으며, 합성 착색료로 주류에서 많이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황색5호 등 타르색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미생물(微生物) 살충제(殺蟲劑)의 개발(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제화(製劑化)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icrobial Insecticide -(With special emphasis on formulation)-)

  • 이재구;김기철;김도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2호
    • /
    • pp.123-134
    • /
    • 1979
  • Bacillus thuringiensis Berliner를 이용한 미생물 살충제의 개발을 위하여 연구를 행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제사공장에서 폐기되는 자견수의 냉동 건조물 중에는 조단백질 함량이 51.825%가 함유되어 있으며 기타 무기염류도 다량 함유되어 있어 자견수는 본 세균 배양의 좋은 영양원이 될 수 있다. (2) 현수성으로 보아 가장 양호한 제제는 F-5로서 그 조성은 Cell-Spore-Crystal 혼합을 0.2 g, 200-mesh Kaolin 25 g, New Kalgen NX-150, 2.59 그리고 glycerine 2.5 g을 증류수 8ml의 비율로 혼합하여 80 mesh 입제로 한 것이다. (3) F-5, F-6, 및 F-7의 조성중 다른 것은 전부 같고 다만 Cell-Spore-Crystal 혼합들의 함량이 F-5에서는 0.2 g, F-6에서는 0.4 g, F-7에서는 0.6 g인 점이 다르므로 이들 제제의 물리성은 거의 동일하다. (4) F-5, F-6 및 F-7은 5% 농도에서 무궁화잎 밤나방, 송충, 회양목 명나방 유충 등에 우수한 살충효과를 보였다. (5) 제제의 일 성분으로 $NaHCO_3$를 첨가한 F-8과 F-9는 무궁화잎 밤나방과 송충에 대한 독성 실험에서 $NaHCO_3$를 함유하지 않은 F-6 보다 현저한 독성의 감소를 보여주었다. (6) $(NH_4)_2SO_4$ 0.2%와 glucose 0.8%를 자견수에 용해하여 pH를 7.05로 조정한 배지인 M-3을 사용하여 aeration 시키면서 96시간 배양하였을때 포자수는 최고 $2.97{\times}10^9/ml$에 도달하였다. (7) F-6은 제제후 70일 동안 실온에서 저장시 무궁화잎 밤나방과 송충에 대한 독성이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므로 냉암소에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8) F-6은 야외 살포로 대추나무의 노랑쐐기나방 회양목 명나방유충, 장미의 찔레수염 진딧물 등의 방제에 좋은 효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