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설작업자

검색결과 416건 처리시간 0.025초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작업장의 조직풍토가 근로자의 안전의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 - 건설현장 근로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limate on Workers' Safety Consciousness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evere Disasters - Focusing on Construction Site Workers -)

  • 이재윤;김동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3-22
    • /
    • 2024
  • 2021년 1월 8일, 「중대재해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법사위를 통과하고 2022년 1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건설현장에서의 안전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으며, 이에 건설현장 근로자들의 안전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작업장의 조직풍토가 근로자들의 안전의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장의 조직풍토 중 조직의 구조성, 자율성 보장과 감독자의 배려 요인이 근로자의 안전의식 향상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현장작업 진행시에 작업의 상황, 내용 등에 따라 일부 작업수행에 대한 권한을 근로자에게 위임하며,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 보상제를 겸비할 것 등의 제언을 제시하였다.

작업관리방식이 작업여건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주단위작업관리방식과 일단위작업관리방식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Work Management Type on Work Condition)

  • 윤병식;유정호;김창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5호
    • /
    • pp.75-83
    • /
    • 2010
  • 건설산업은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단위작업마다 작업자가 작업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수행했는가에 따라 노동생산성은 큰 영향을 받으며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해 작업여건(work condition)이 관리되어야 한다. 작업여건은 자재, 장비, 타 작업간섭, 작업장 안전 등 작업자의 작업수행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서, 작업의 특성에 따라 작업여건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종류는 다양하다. 또한 작업여건들은 현장관리조직의 작업관리 행위 즉 작업관리방식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하지만 작업관리방식이 작업여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은 학계 및 산업차원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인식되고 있지만 이를 정량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노력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건설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작업관리방식이 작업여건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건설현장 위험요소의 관측비율분석에 의한 작업공간의 안전성 확보방안 (Method to Acquire Safety of Work Spaces by Ensuring Proper Ratio of Visibility of Unsafe Factors in Building Construction Sites)

  • 최희복;장명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557-564
    • /
    • 2013
  • 건설현장의 불안전하거나 위험한 요소는 안전사고를 유발한다. 안전한 작업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위험요소에 대한 경고나 주의 표지를 설치하고 있지만 사소한 부주의 등으로 때때로 사고가 발생한다. 현장에 적재된 자재나 작업을 위해 임시 설치된 가설시설물에 의해서 경고나 주의 표지가 가려지는 경우도 있으며, 작업자가 이동함에 따라 가려진 표지를 파악할 수 없는 위험도 존재한다.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GPS나 센서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추적방법이 연구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적재된 자재로 인해 작업자가 위험요소를 볼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CAD를 이용하여 이를 공사계획과정에서 작업자의 시선에서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4D BIM 기반의 건설프로젝트 작업공간 계획 프로세스 (4D BIM based Workspace Planning Process i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 최병주;이현수;박문서;김현수;황성주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75-187
    • /
    • 2013
  • 건설프로젝트에서는 다양한 참여자들이 제한된 공간에서 각자의 작업공간을 차지하며 작업을 수행한다. 작업공간에 대한 부적절한 계획은 건설프로젝트의 생산성 감소, 작업 위험 증가 및 품질 저하 등의 문제로 이어지기 때문에 작업공간은 건설프로젝트에서 고려하여야 할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나 기존의 건설프로젝트 공사 계획 수립을 위한 방법들은 건설프로젝트에서의 작업공간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이지 못한 작업공간 계획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작업공간 간섭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4D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 기반의 작업공간 계획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세스는 각 작업공간의 특성과 공사수행계획을 반영하여 각 액티비티의 작업공간 점유상태를 표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생 가능한 작업공간 간섭을 발견한다. 또한 각 액티비티와 작업공간의 특성 그리고 공사수행계획 등을 고려하여 발견된 작업공간 간섭에 대한 해결책을 도출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관리자는 본 공사 수행 이전에 공사에 필요한 작업공간을 미리 계획함으로써 서로 다른 액티비티 작업공간 사이의 간섭을 예방하고 건설프로젝트에서의 불필요한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건설현장응용을 지원하는 작업자 근력증강 로봇 설계 (Wearable Robot Design for Supporting Construction Application)

  • 김기식;오건택;정재현;김성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09-121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건설현장에서 응용할 수 있는 각종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작업자의 근력증강을 지원하는 로봇을 설계하고 3D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건설프로젝트 정보관리 효율화를 위한 PDA 및 Barcode 적용기술 개발 (An Application of PDA and Barcode Technology for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Management in Construction Projects)

  • 오세욱;김영석;이준복;김한수;성낙원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553-558
    • /
    • 2003
  • 건설 프로젝트에서 단위작업별로 발생하는 노무자의 작업정보와 실적물량 정보는 다양한 건설정보로서 가공될 수 있고 해당 프로젝트의 성과측정 및 경영분석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DA 및 바코드 기술을 활용하여 단위작업 중심의 노무자 작업정보 및 실적물량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가공하여 노무, 생산성, 공정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건설 프로젝트 정보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스템은 건설 프로젝트의 정보관리에 있어 중요한 실적자료로서 해당 프로젝트의 성과 측정 및 향후 유사 프로젝트의 공사계획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건설현장의 리프트 탑승장 출입문 이용자 안전지침 개발

  • 최순주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27-332
    • /
    • 2003
  • 고층빌딩공사에서 설치·사용하는 리프트는 근로자의 수직이동과 건설자재의 수직운반에 이용하는 편리한 건설장비이다. 리프트를 이용하는 근로자들은 리프트 탑승 대기장 및 그 주변작업에 투입되는 근로자는 탑승을 위한 리프트의 호출, 주변작업, 탑승을 위한 대기과정에서 추락·협착·충돌 등의 재해가 발생할 위험성이 잠재하고 있으며, 실제 많은 재해가 발생하고 있어 동종재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리프트의 기계적 장치나 전기적 장치에 의한 연동설비는 제외한다.(중략)

  • PDF

시스템비계의 현장적용 확대 연구로 품질 및 안전제고 (Enhanced Quality and Safety by Expanding Field Application of System Scaffolding)

  • 정우돈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1-232
    • /
    • 2022
  • 건설 현장이나 일반 제조업 현장은 작업자의 고소 위치에서의 작업시, 필요한 특정 장소로의 접근을 위한 임시 구조물을 설치하는데 이를 가설비계라고 한다. 이러한 가설비계는 작업자의 안전 통행과 작업을 위한 받침대 역할, 장비나 공구, 자재를 임시 적치하기 위한 장소로 활용되는데 일반 건축물과 중후장대한 조선소 블록 제작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가설설비라는 특성으로 비계와 관련된 연구가 부진하고 사업적으로 참여하는 사업주 또한 진출을 가볍게 생각하고 있으며 해당 공사에 임하는 작업자의 산업으로의 진입문턱도 낮은 등으로 시공 품질이 떨어질 우려가 매우 높다. 또한 설치후에는 품질검사가 어려워 작업자의 숙련도나 진정성 등에 의한 주관적 작업 결과물이 설치된 시설물을 사용하는 주변 작업자에게는 불안전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작업자의 숙련도나 주관적 판단에 의한 가설 구조물 설치를 회피하여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연구되어 왔는데 이것이 시스템비계이다. 이러한 시스템비계에 대한 사용성을 확대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등의 정부기관에서는 여러 가지 제약과 동시에 장려정책을 제시하고 있으나 공적 발주나 일부 대기업그룹 외의 중소 현장에는 그 확산 속도가 높지않은 편이다.

  • PDF

SaaS기반의 건설공정전송 및 안전관리 시스템 (SaaS-based construction process transfer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 김의룡;정수성;김영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35-737
    • /
    • 2015
  • 본 논문은 SaaS(Software as a Service) 기반의 건설공정전송 및 안전관리 시스템을 건설작업에 활용하여 공정관리와 안전관리에 적용함으로써 초고속 무선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는 다양한 유형의 건설 공정에 대한 일정 및 결과와 안전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수단을 확보할 수 있고 공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관리 체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작업자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감독관으로 작업을 지시받고 작업의 현황과 결과를 보고한다. 또한 비상상황 시 감독관에게 보고를 즉시 할수 있으며 일정시간 이상 스마트 폰 진동 발생이 없는 경우 작업자에게 위험 상황을 체크하게 된다. 감독관의 경우 수립된 공정별 업무를 지시하고 결과를 확인하며 현장 작업자 위험 상황의 조치명령을 내리고 미흡한 부분을 제시함으로써 만족되는 결과를 얻게 된다. 또한 소프트웨어(서버)의 경우 작업에 관련된 모든 자료를 저장하고 회원관리 및 보안을 담당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