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작업자

Search Result 41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on Workers' Safety Consciousness, Organizational Trust And Turn-over Intention (건설현장 작업종사자의 안전의식과 조직신뢰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

  • Youn, Yijung;Kim, Okkyu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1 no.3
    • /
    • pp.65-75
    • /
    • 2020
  •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any's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workers'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observance behavior. A survey of 357 workers was conducted and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s a result, the following main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t was found that supervisor's capability, inner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construction safety education, and construction disaster evalua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worker's safety consciousness.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worker's safety conscious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afety observance behavior. Third, it was shown that supervisor's capability, inner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construction safety education, and construction disaster evalua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afety observance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anagement supervisor's ability to handle safety at the work sit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afety management in order to enhance the worker's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observance behavior.

Development of a Parts Evaluation Framework Using a Construction Site Digital Platform (건설현장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 Shin, Yeon-Cheol;Moon, Y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01-102
    • /
    • 2023
  •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전체 산업재해의 약 20~30%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위험성평가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모든 관리자 및 근로자들이 참여하고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근로자들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 개발에 있다. 이를 통해 종합적인 안전관리를 실현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며,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높이고 안전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건설현장에 적합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 프레임워크를 통해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과 안전사고 미연에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가능하다.

  • PDF

근골격계질환의 실태조사: 건설현장을 중심으로

  • Gwon Yeong-Guk;O Yeong-Su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6.04a
    • /
    • pp.195-200
    • /
    • 2006
  • 건설업계는 제조업과 특성이 달라 여러 가지 문제점이 엿보인다. 특히, 건설업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연구 및 지원은 별로 찾아볼 수가 없다. 근골격계 질환의 제조업과 건설업의 비율을 보았을 때 "2004 산업재해분석" 요양자 업종별 분포를 보면 제조업이 3,281명(79.79%)로 건설업의 63명(1.53%)보다 월등히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미국의 사례를 보았을 때, 2007년 업종별 분포를 보면 건설업이 42,867명(26.20%), 제조업이 101,437명(36.23%)로 우리나라에 비해 건설업 근골격계 질환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건설업에서의 근골격계 부담 작업 실태조사 등을 통하면 제도적 문제점이나, 근로자가 몰라서 질병에 이환되는 경우가 아닌가 한다. 건설업 근로자들은 건설업 특성상 근골격계 질환예방을 위한 도구를 거의 사용하지 못하고, 작업의 연속성, 지속성이 떨어지므로 부자연스럽고, 불편한 자세를 작업을 위해 수시로 반복하여 취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건설업체에 중대재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 뿐 만 아니라, 열악한 건설업체의 근로자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에 대한 제도적인 지원과 안전담당자 교육, 근로자에 대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교육(스트레칭, 작업 자세, 동작, 근력강화, 적절한 휴식시간 부여) 등 대책이 절실히 필요하고 하겠다.

  • PDF

Proposal of a Classification System of Checklists for Safety Management of On-Site Workers in Modular Construction (사례분석을 통한 모듈러 건축의 현장 작업자 안전관리 체크리스트의 분류 체계 제안)

  • Jun, Younghun;Kim, Kyoontai;Jeon, Eunbi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2 no.6
    • /
    • pp.120-130
    • /
    • 2021
  • Recently, the government is reinforcing safety management at construction site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construction works, and the safety management plan of workers is an important situation. Meanwhile, modular construction is expected to be gradually expanded to middle and high-rise buildings, but active measures to ensure worker safety are insufficient.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 checklist for preventive worker safety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checklist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workers in the field of modular construction by preceding studies, case analysis, and expert advisory opinions. The classification system consists of large categories of factory manufacturing, transportation, and on-site construction, and the sub-system consists of six sub-classes: foundation work, frame work, modular frame installation work, finishing work, and facility work. Among them, the sub-classification of modular frame installation work consists of 12 unit works, centering on module lifting and assembly module work, which are the main construction processes.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reflects the three main management factors and contents for defined safety management.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fficient safety management at the modular construction site.

Estimation of Appropriate Wage by Development of Wage Survey Framework for Forest Workers (산림사업 작업자 임금실태조사 프레임워크 개발을 통한 적정 노임단가 추정)

  • Hye-in Park;Cham Kim;Sung-Min Cho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12 no.2
    • /
    • pp.217-229
    • /
    • 2023
  • Forest projects often apply construction industry labor rates, without considering the demanding work conditions and labor intensity unique to forest operations, resulting in workplace issu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forest operations' characteristics and wage survey methods in other fields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surveying the wages of forest workers. The developed framework was tested through direct surveys conducted with all forest operation companies. Survey items included actual wages by occupation, identification and removal of outliers using quartile deviation, and occupation-based wage calcula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 appropriate wages for 2022 were as follows: KRW 163,376 for general workers, KRW 221,407 for special workers, KRW 250,045 for work leaders, and KRW 239,863 for wood cutters. These figures were 16.27% higher than those derived from the standard construction wage survey. The developed framework was validated by comparing the appropriate wages with both the standard construction wage survey and the forestry workers' wa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wages calculated using the developed framework were 4.5% more similar to the forestry workers' wag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standard construction wage survey. Consequently, the standard construction wage survey was deemed unsuitable for forest projects. To ensure efficient forest operations, it is imperative to conduct wage surveys using the developed framework over multiple years to accumulate sufficient data.

지하건설과 작업환경

  • Nam, Gi-Cheon
    •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
    • v.1 no.2
    • /
    • pp.45-50
    • /
    • 1991
  • 지하건설의 확충과 함께 터널 굴착기술의 향상과, 각종 공사용 기계의 개발, 도입에 의해 효율화도 진전되고, 능률과 안전면에서도 최근 큰 발전이 이루어져 대규모 터널공사와 지하공사의 건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지하건설에 관련된 작업자의 건강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아지고, 건설공사현장에 있어서는 이러한 작업환경, 건강장해의 방지대책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 PDF

A Study on Accuracy Analysis and Application of Postion Tracking Technique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in Underground Space Construction Field (지하공간 건설시공현장에서의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위치추적기술 정확도 분석 및 활용 연구)

  • Seol, Moonhyung;Jang, Yonggu;Son, Myungchan;Kang, Injoo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4 no.8
    • /
    • pp.45-51
    • /
    • 2013
  • In the construction site of underground buildings which have severe environment such as dust, noise, vibration, the technology of rescue the builders in the construction site when accident occurs by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builders and express the mission of supervisor smoothly. In this study, in order to acqui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ilders in the construction site of underground buildings by using MEMS INS and air pressure sensor, we firstly performed the field test in construction site, analyzed the location and the elevation accuracy based on the detected results, and then verified its practicality and rationality after all. As a result, we could acquire worker's position-accuracy within 10m in horizontal direction and 4m in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we could judge availability in construction fields of underground structure.

Task-Visual Information Map to Develop AR Navigators of Construction Equipment (건설장비 AR 네비게이터 개발을 위한 작업-시각정보 맵 도출)

  • Song, Sujin;Kang, Hojun;Kim, Hanbeen;Moon, Taenam;Shin, Do Hyoung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7 no.3
    • /
    • pp.116-124
    • /
    • 2016
  • Work efficiency of earth work which is one of the main works occurring in construction site mainly depends on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 operators of earth work equipment. Consequently, the skill of individual operators of earth work equipment can significantly affect overall construction schedules. Many invisible areas inevitably exist in construction site because of the nature of construction site where occlusions occur from structures being built, installed or moving equipment, moving workers, etc. The lack of visual information regarding tasks critically impedes the effective performance of operators of earth work equipment. AR (Augmented Reality) is a computer technology that superimposes virtual objects onto the real world scene. This characteristic of AR may address the lack of visual informations in earth work process, thus helping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operators of earth work equi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task-visual information map that identifies visual informations required in tasks of earth work and which of the tasks are suitable for AR technology. This study focuses on visual informations in tasks of earth work with excavators. The map was created based on the investigations on the problems of each task of earth work with excavators and visual informations required to address the problems. Through the map, four visual informations were found to be suitable for AR technology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excavator operator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 systems for excavators can be developed more effectively.

건설 재해의 발생 원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승록;김종석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 no.2
    • /
    • pp.1-9
    • /
    • 1997
  • 최근들어 사업장에서의 안전 설비를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자금과 안전관리 수준을 높여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제도 개선등에 의하여 산재 예방의 중요성이 불구하고 전체의 사업장중, 건설 재해의 현황은 좀처럼 줄어들지 않은 상황에 있다. 이는 작업장의 장기근속 긱간에 따른 작업자의 수보다는 건설 현장에서의 단기 작업자의 수요를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이유도 있지만, 건설 재해를 살펴보면 일반적인 재해가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이는 제도적인 보완과 작업자의 안전교육을 통한 재해의 위험성을 알리는데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고 할 수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건설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방법인 노동부의 산업 재해분석자료를 통하여 일반적인 재해 현황, 재해의 발생 원인 및 특성을 분석하여 건설업에서 반복되어지는 재해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재해는 연속적인 반복으로서, 우리 나라의 재해는 과거나 현재가 별 차이가 없다. 이는 재해의 불감증에서 나타난 결과이므로, 이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정부 및 노사 모두가 대비책에 대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어지며 , 산업재해의 통계자료또한 정확한 기초자료를 사용할 수 있게끔 할 수 있는 제도적인 방침이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 PDF

An Analysis on the Factors of Risk Behavior of Foreign Workers in Construction SitesSites (건설현장 외국인 작업자의 위험행동 요인에 관한 분석)

  • Choi, Hyu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11-21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일대 2곳의 대형 아파트 현장의 외국인 작업자 165부의 유효 설문지를 바탕으로 외국인 작업자들의 습관적 행위, 공격성, 상황회피, 심리불안 요인이 위험행동과 안전사고 위험지수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가설검증을 통해 습관적 행위, 공격성, 상황회피 및 심리불안 요인은 위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관적 행위 요인은 안전사고 위험지수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격성, 상황회피, 심리불안 요인은 안전사고 위험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위험작업 행동은 안전사고 위험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적인 성향과 연관이 있는 습관적 행위, 공격성, 상황회피 및 심리불안의 상태가 위험작업으로 발전할 수 있고, 이러한 위험작업행동은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외국인 건설현장 작업자의 증가로 인한 안전사고의 증가 문제는 외국인 작업자 때문이기 보다는 외국인 작업자 개인의 성향에 초점을 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며, 각 사업장에 직접 투입된 외국인근로자의 성향분석과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도출하면 사고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