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설부산물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23초

산업부산물을 다량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발현 특성 검토 (Compressive Strength Generation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a Large Amount of Industrial Byproduct)

  • 김용로;송영찬;박종호;정용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67-7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을 다량으로 사용하는 콘크리트의 건설현장의 구조체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혼화재를 다량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발현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일반강도 영역을 대상으로 하여 단위결합재량($310{\sim}410kg/m^3$), 혼화재 치환율(70~90%), 단위수량($140{\sim}150kg/m^3$) 및 양생온도에 따른 압축강도 발현 특성을 검토하였으며, 실제 부재에서의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2,000{\times}2,000{\times}2,000mm$ 크기의 모의부재를 제작한 후, 수화발열 특성 및 압축강도 발현 특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검토한 산업부산물을 다량 사용한 콘크리트의 경우 대기온도 평균 약 $13^{\circ}C$ 이상의 양생온도 조건에서는 재령 28일에서 24MPa 이상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건설현장에서 골조용 콘크리트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LCD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High-strength Concrete Using LCD Industrial Waste)

  • 김동진;박승희;최성;한양수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650-657
    • /
    • 2021
  • 광물질 혼화재를 자극하는 알칼리 활성화제는 고가의 소재이지만, 고 알칼리 성분의 산업부산물 대체하기 위해서는 제품성과 경제성을 모두 만족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50MPa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에 GGBFS의 알칼리 활성 반응을 위한 목적으로 LCD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알칼리 산업부산물(LW)을 사용하였다. LW을 혼입한 콘크리트는 작업성이 다소 저하되었으나, 압축강도가 증진되는 특징이 있었다. ACI 209.2R-08 압축강도 모델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LW 혼입에 따른 강도계수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콘크리트의 내구성능 시험에서도 염화물 침투 저항성 및 탄산화 저항성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단열온도 상승시험 결과에서는 LW를 혼입하면 초기 수화열이 빨라지는 효과가 있으나, 최종 단열온도상승량은 LW의 혼입 유, 무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석탄 부산물인 경석을 잔골재로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oncrete Using Coal-By-product as Fine Aggregate)

  • 양인환;정승태;박근우;최경민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53-62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석탄 부산물인 경석을 잔골재로 사용하여 제작한 콘크리트의 강도 및 물성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석탄 부산물 골재 함유량과 플라이애시 함유량을 실험변수로 고려하였다. 천연 잔골재의 50 %와 100 %(부피 기준)를 석탄 부산물로 치환하였고 물-바인더 비는 0.38로 고정하였다. 또한, 일부 배합은 OPC 바인더의 30 %를 플라이애시로 치환하여 콘크리트 시편을 제작하였다. 단위질량, 압축강도, 쪼갬인장강도 및 휨인장강도를 실험을 진행하고 실험결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플라이애시 바인더가 함유되고 천연 잔골재 대비 석탄 부산물 골재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콘크리트 단위질량, 압축강도, 쪼갬인장강도 및 휨인장강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미세구조 실험인 TGA와 SEM 실험을 진행하여 구간별 열중량분석과 ITZ를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