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기술개발

Search Result 2,72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건설기술-초에너지절약 주택 에코 3$\ell$ 하우스 개발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9 s.218
    • /
    • pp.59-61
    • /
    • 2008
  • 대림산업이 '냉.난방 에너지 소비량 제로'에 도전한다. 대림산업은 대덕연구단지 내 건축환경연구센터에서 개최한 '친환경.저에너지 비전 선포식'에서 오는 2012년 까지 냉.난방 에너지 소비량을 최소화한 ECO-3 House(에코 3$\ell$ 하우스)'를 개발한다고 밝혔다. ECO-3$\ell$ House는 냉.난방 에너지 소비량에 갖아 큰 영향을 미치는 열, 빛, 소음, 공기질 등의 요인들을 제어하는 최고 수준의 친환경.저에너지 건축기술들을 집약시킨 에너지 자립형 주택기술의 결정체이다. 이 기술을 완벽하게 적용할 경우 냉.난방 에너지 소비량 제로를 뛰어 넘어 자체 생산한 전기를 한국전력에 되팔아 냉.난방 에너지 소비량을 마이너스 수준으로 만들 수 있다.

  • PDF

Strategic Action Plan for Construction Knowledge Management (건설 지식의 전략적 계획과 활용)

  • Jung, Young-Soo;Kang, Seung-Hee;Lee, Kyoo-Hy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6 no.5 s.27
    • /
    • pp.166-17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framework for construction knowledge management. Three variables of proposed framework includes knowledge class, strategic business function, and engineering data form. Several different techniques for evaluating the variables are developed in order to develop a strategic action plan for engineering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The proposed framework for an action plan will contribute to develop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related to strategic engineering functions for construction companies.

Implementation Status and Improvement Strategy of the Value Engineering in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국내 건설VE 운영현황과 발전방향)

  • Seo, Yong-Ch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137-144
    • /
    • 2007
  • In the year of 1980 and 2000, the Korean government institutionalized the Value Engineering methodology in the construction phase and the design phase respectively. While design-phase VE have been applied to construction industry actively, which was institutionalized 7 years ago, construction-phase VE have not been applied to industry frequently, although it was institutionalized 25 years ago.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social demands for VE is increasing,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VE should be compatible with the delivery system. And the time of VE study, the operational management of VE study, and the maintenance process of the result of the VE study also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study, a scheme to improve VE methodolog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propos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data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state of VE.

  • PDF

A Development of Service System for Electronic Design·Completion Documents and Drawings on Port Construction (항만건설공사 전자설계·준공도서 서비스 시스템 개발)

  • Jeong, Seong-Yun;Kim, Nam-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269-1270
    • /
    • 2012
  • 설계 준공도서는 건설공사를 시공하거나 유지 관리에서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자료이다. 과거에는 전자설계 준공도서가 단순 보관용으로 사용되어 활용도가 낮았다. 본 연구는 전자설계 준공도서의 활용도를 제고하고 전자설계 준공도서의 적합성 검사, 시스템 등록 서비스 등의 업무처리 시간을 단축시키실 수 있는 전자설계 준공도서 서비스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를 응용하면 항공, 철도 등 다른 건설분야의 전자설계 준공도서 서비스 시스템 개발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evelopment of integrated platform for daily streamflow prediction and assessment of hydrologic cycle improvement (유역 일유출량 산정 및 물순환 개선 평가 플랫폼 개발)

  • Kim, Hyeonjun;Jang, Cheolhee;Mitiku, Dereje;Park, Sang-Hyun;Kim,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5-35
    • /
    • 2017
  • 유역 물순환 개선 기술은 기후변화 및 토지이용변화가 진행 중에 있거나 예상되는 지역에 대하여 강우-유출수를 지연, 저류, 침투시켜 지속가능한 물순환체계를 유지?회복하도록 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기후변화 및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고, 지속가능한 유역 물순환체계를 구축하여 적응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기 위해서는 물순환 개선 기술의 정립 및 개발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 유역 물순환 개선기술은 일부 시가화 지역에 국한되어 있어 유역 규모의 개선 전략을 수립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물순환계의 변화량을 평가하기 위한 모형화 기법 역시 해외에서 개발된 기술을 여과 없이 도입하여 국내의 환경을 충분히 반영하기는 어렵다. 개발된 유역 물순환 개선 및 평가시스템은 기존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개발되고 사업화에 성공한 바 있는 유역 물순환 평가 모형인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을 수정 및 개선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고 적응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실무적인 소프트웨어이다. 침투트렌치, 식생침투트렌치, 습지, 저류지, 빗물탱크 등의 물순환개선시설에 대한 효과를 평가할 수 있도록 개별시설의 제원에 따른 물순환개선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제시한다. 기후변화에 따른 장기간의 유역 물순환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매개변수 기반의 수문해석 보다는 단순환된 개념적 매개변수 기반의 집중형 장기유출 해석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국내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장기 일유출 모형(GR4J, GSM, HBV, SYMHYD, TANK, TPHM 등)을 유역 물순환 개선 평가 플랫폼에 탑재함으로써 소유역의 특성을 반영한 기후변화 적응 일유출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각 모형들의 매개변수는 수동보정 외에도 SCE-UA를 이용한 자동보정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으로 구축하였다. 개발된 유역물순환 개선 및 평가시스템은 실무적 차원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 물순환 개선 기술을 적용하고 평가하는데 있어서 매개변수 입력자료 구축에 따른 자원 소요 시간 및 시스템 개발 비용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켰으며 국외 의존도가 높은 수문 해석모형을 국내 기술로 개발함으로써 기술자립도를 높이고 국내 및 해외의 유역의 성공적인 적용을 통하여 성능을 입증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의 재평가, 개선시설의 정량적 평가 및 하천유역의 수자원관리 실무에 적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