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공사 안전사고

Search Result 229,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Construction work and Safety Management (건설공사의 안전관리방안)

  • Kim, Kyou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77-178
    • /
    • 2022
  • 건설 안전관리는 건설업을 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 나 재해의 발생 원인과 예방을 위한 관리 대책을 수립하여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모든 활동을 말한다건설현장의 안전사고는 근로자에게는 육체적 8정신적 고통과 노동력의 상실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발생하며 기업 입장에서는 생산력의 저하와 비용의 증가=국가로서도 사회 경제적 손실이 발생함으로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안전관리 대책이 반드시 필요하다건설공사가 대형화=복잡화=고층화 및 대규모 지하 굴착과 같은 고난도의 작업이 많아짐에 따라 작업 환경의 특수성과 작업 환경상 높은 위험을 갖게 되었다.

  • PDF

An Analysis of Accidents in the Expressway Structure Construction (고속도로 구조물공사의 안전사고 특성분석)

  • Huh, Woon-Chan;Kim, Young-Ai;Hwang, Uk-Sun;Kim, Yong-Su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1 no.3
    • /
    • pp.97-104
    • /
    • 2010
  • The expressway construction work is being recently diversified even the working environments and the working kinds due to getting large scale, complexity, and high technology. The accidents are increasing according to large scale even in construction equipment and to a rise in high-ground work, thereby being required an effort of reducing accidents. However, it is insufficient in a means of coping with the technically safety management of using specific and scientific method. In order to prevent accident, a specific plan is needed that can apply each in variables to safety management by analyzing the accident types and accident factors with statistical method. Accordingly, this study carried out investigate on accidents for 12 years in the expressway construction work, and aim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n the accident type and conversion disaster-victim number according to factors with occurrence of accidents. Thus, the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research,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ccident type by accident factor,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a cause for occurrence of accident and height with occurrence of accident. Second, among factors by period, the time with occurrence of accident was indicat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onversion disaster-victim number. Among factors by work condition, the cause for occurrence of accident, the height with occurrence of accident, and the type with occurrence of accident were indicat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onversion disaster-victim number. What suggested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in these factors and variables has important significance as a countermeasure for safety management.

안전관리 - 용접공사의 화재.폭발 등 안전사고 예방대책(2)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67
    • /
    • pp.65-71
    • /
    • 2012
  • 지난 8월 13일 서울 종로구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공사현장에서 화재 발생으로 4명이 숨지고 18명이 중경상을 입는 등 많은 인명피해를 냈다. 이처럼 인명피해가 컸던 것은 우레탄 공사를 하던 밀폐공간에서 불이 나면서 발생한 유독가스 때문에 사람들이 제대로 대피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고발생 원인으로 '용접공사' 여부를 놓고 공방을 벌였으나 경찰은 '전기합선'이라는 잠정 결론을 내렸다. 지난 2008년 1월에 발생한 경기도 이천 냉동창고 화재는 40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화재 원인은 냉동배관을 설치하면서 전기 용접을 하기 위해 불을 붙였다가 공기 중에 차 있던 유증기(기름증기)와 만나면서 폭발이 일어난 것이었다. 인화성 액체(유기용제)를 취급하는 건설현장에서는 다량의 유증기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한 조건일 경우 정전기에 의한 화재 폭발 누출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다. 기계설비공사에서 화재, 폭발 위험성이 가장 큰 공사는 용접공사이기에 용접공사를 할 때 화재, 감전의 위험성을 배제한 후 공사에 들어간다. 용접으로 인한 사망사고의 유형으로는 용접 중 추락사고와 더불어 용접 불꽃이 가연성 물질에 옮겨 붙어 화재 발생으로 인한 질식사, 용접작업 중 절연체가 파손된 용접기 홀더 충전부의 접촉으로 인한 감전사 등이 있다. 본지는 용접으로 인한 화재 감전 등의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안전작업 수칙 및 안전수칙 체크리스트, 재해사례를 지난호부터 시리즈로 연재하고 있다.

  • PDF

안전관리 - 용접공사 중 화재.폭발 등 안전사고 예방대책(1)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66
    • /
    • pp.49-57
    • /
    • 2012
  • 지난 8월 13일 서울 종로구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공사현장에서 화재 발생으로 4명이 숨지고 18명이 중경상을 입는 등 많은 인명피해를 냈다. 이처럼 인명피해가 컸던 것은 우레탄 공사를 하던 밀폐공간에서 불이 나면서 발생한 유독가스 때문에 사람들이 제대로 대피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고발생 원인으로 '용접공사' 여부를 놓고 공방을 벌였으나 경찰은 '전기합선'이라는 잠정 결론을 내렸다. 지난 2008년 1월에 발생한 경기도 이천 냉동창고 화재는 40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화재 원인은 냉동배관을 설치하면서 전기 용접을 하기 위해 불을 붙였다가 이것이 공기 중에 차 있던 유증기(기름증기)와 만나면서 폭발이 일어난 것이었다. 올 여름처럼 기온이 높고 건조한 날이 지속되면서 인화성 액체(유기용제)를 취급하는 건설현장에서는 다량의 유증기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한 조건에서 정전기에 의한 화재 폭발 누출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기계설비공사에서 화재, 폭발 위험성이 가장 큰 공사는 용접공사이기에 용접공사를 할 때 화재, 감전의 위험성을 배제한 후 공사에 들어간다. 용접으로 인한 사망사고의 유형으로는 용접 중 추락사고와 더불어 용접 불꽃이 가연성 물질에 옮겨 붙어 화재 발생으로 인한 질식사, 용접작업 중 절연체가 파손된 용접기 홀더 충전부의 접촉으로 인한 감전사 등이 있다. 본지는 용접으로 인한 화재 감전 등의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안전작업 수칙 및 안전수칙 체크리스트, 재해사례를 시리즈로 연재한다.

  • PDF

A Study on the Sensitive Factors Influencing Acha Accident Using Bayesian Network (Bayesian Network를이용한 아차사고에 영향을 주는 민감요인에 관한연구)

  • Kim, Sang-Hyun;Shin, Yeon-Cheol;Moon, You-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62-163
    • /
    • 2022
  • 기술발전에 따라 건설현장은 스마트 안전관리기술을 활용한 안전관리의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22.1.27)이후 50인 이상 사망사고는87건(96명)으로 전년 동기109건(111명)대비22건(20.2%), 15명(13.5%)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국토교통부,2022). 반면에 단순비교지만 일본0.14%, 미국0.37%, 영국0.03%에 비해 한국의 재해율이 높으므로 다양한 안전관리활동의 과제가 남아 있다. 이에 아차사고 유형이 건설현장 특성간의 민감도모델 제시를 기반으로 근본적인 재해관리가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이루기 위해 국토교통부의 아차사고 발굴데이터를 분석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공사기간, 공사규모, 신체부위 등의 요인간의 아차사고 민감성요인에 대하여 Bayesian Network를 이용하여 아차사고에 영향을 주는 모델링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견실시공 정착을 위한 제도 개선

  • Kim, Gyu-Chun
    •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
    • s.18
    • /
    • pp.11-15
    • /
    • 1995
  • '92.7. 신행주대교 사고 이후 '건설공사 부실방지대책'을 수립하여 관련 제도를 정비하고 건설현장에 대한 불시 점검으로 견실시공 분위기 정착에 노력하여 왔다. 그러나 그동안 정부의 부실방지와 안전확보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크고 작은 부실이 계속되고 있으며, 삼풍백화점 붕괴와 같은 대형사고에 대한 불안심리가 사라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추진한 제도개선사항이 일선현장에 정착되도록 최선을 다하는 한편, 이해집단간의 의견차이로 추진하지 못한 사항도 과감히 개선할 계획이며, 앞으로 우리 건설업계도 건설시장 개방에 따라 국ㆍ내외 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견실ㆍ안전시공과 기술개발 및 업종전문화를 목표로 하고 품질경영을 최우선으로 실시하여 건설공사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확고히 다져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f Methods on Safety Checklist Improvement and Integrated Operation with Schedule for Construction Accident Prevention (건설공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체크리스트 개선과 공정관리와의 연계운영 방법)

  • Yang Yong-Cheol;Choi Hoon;Kim Jae-J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5 no.2 s.18
    • /
    • pp.123-135
    • /
    • 2004
  • Construction accident have been increasing in despite of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education in construction site. This study surveyed safety organization, education, safety management, scheduling, safety checklist with construction firms in order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A improved method is suggested that safety checklist is supplemented with various safety materials and then stored as database. Furthermore, safety checklists are connected and operated with schedule in ender to more efficiently prevent construction accidents.

A Study on the need to strengthen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of private construction contractors (건설공사 민간 발주자의 안전보건활동 강화 필요성에 관한 고찰)

  • Keun-Kyu Lee;Min-Je Choi;Guy-Sun Cho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9 no.2
    • /
    • pp.69-75
    • /
    • 2024
  • Korea has entered the ranks of advanced countries in terms of economic size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However, its industrial accident fatality rate remains among the lowest in OECD countries, and recent incidents such as various building collapses have resulted in numerous deaths of workers or citizens, reminiscent of accidents in developing countries. According to the 2022 Industrial Accident Status Analysis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out of the 874 fatalities in work-related accidents in 2022 across all industries, 402 wer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46% of all fatalities. 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industry's fatality rate stands at 1.61,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verall industry fatality rate of 0.43, indicating its severity. Construction ranks highest in terms of fatality rates, with mining at 12.18 and fishing at 1.80. When categorizing construction projects into private and public, private projects show significantly higher figures in terms of contracts, contract amounts, accident numbers, and fatalities compared to public projects. However, unlike public agencies, many private clients lack adequate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and lack established safety and health systems. This study aims to raise awareness among private clients about the need to establish safety and health systems and enhance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and to discuss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of advanced safety and health practices among private clients.

Development of a Demolition Construction Risk Assessment Manual (해체공사 위험성평가 매뉴얼 개발 연구)

  • Hyung, Sung-Han;Jang, Won-Jun;Lee, Moon-Bae;Moon, Y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93-94
    • /
    • 2023
  • 해체공사는 작업의 특성상 단기간에 이루어지며, 해체공사 현장에 투입되는 근로자는 일용직 근로자가 대부분으로 안전사고의 비율이 높다. 사업장 위험성 평가에 관한 지침에는 위험성 평가시 근로자를 참여토록 하고 있으나 해체현장의 특성상 근로자가 참여한다고 하여도 위험요소를 파악할 역량이 부족할 따름이다. 또한 기존의 해체공사 안전관리 매뉴얼은 구조안전성 확보를 위한 매뉴얼로 해체 근로자의 안전을 위한 매뉴얼은 없는 실정으로,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위험성 평가 매뉴얼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의 해체 및 철거공사의 사고사례를 분석하였으며, 해체 및 철거 사고시 발생한 주요 위험요소를 도출하여 작업 공종별로 유해·위험요인의 파악을 손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해체 현장 규모에 따라 대규모 현장은 빈도·강도법, 중·소규모 현장은 체크리스트법을 활용하여 위험성을 결정하고 감소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구성하였다. 잔여 위험에 대해서는 관리카드를 만들어 해체공사 완료시까지 관리하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Application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Technology into Railway Construction (철도건설공사에 적합한 스마트 건설안전기술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

  • Sungwon Jung;Taekeun Oh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1
    • /
    • pp.483-488
    • /
    • 2024
  • Railroad construction requires a lot of budget, manpower, and equipment, and as a result, many accidents occur. Although efforts are being made at the national level to reduce the accidents at railway construction sites, the occupational accident rate is not showing a downward trend. Various efforts are needed to reduce accidents, the application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technology will be effective. However, if smart construction safety technology is introduced indiscriminately without analysis, duplicate investment may occur, which may lead to a waste of budget for railway construc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s accident cases at railroad construction sites through a survey of stakeholders and proposes smart construction safety technologies to be effective for those accident 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