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물영향분석

검색결과 818건 처리시간 0.033초

LED램프를 적용한 사무소 건물의 실내조명환경 및 에너지 성능분석 (Interior Light Environment and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nalysis of LED Lamp Installed in Office Building)

  • 김병수;홍원표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77-85
    • /
    • 2010
  • 본 논문은 LED 램프를 사무소 건물에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새로운 통합적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연구 결과이다. 일반적으로 LED 램프는 다른 램프에 비하여 에너지 절감효과가 매우 우수하지만 현재 형광램프보다 낮은 광속과 좁은 광분포 등 아직 사무소 건물에 적용하기는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연구결과 냉난방에너지가 20[%] 증가하고 현재 형광등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90[lm/$m^2$] 이상으로 설계해야 한다. 따라서 LED램프를 사무소 건물에 적용하기 위해서 광에너지, 냉난방에 미치는 영향 및 사무실환경에 미치는 광분포를 통합적으로 해석하였으며 앞으로 이 결과는 LED 램프를 통한 효과적인 에너지절약 환경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확신한다.

점성 및 마찰감쇠가 있는 단자유도 구조물의 등가감쇠비 (Equivalent Damping Ratio of a SDOF Structure Combined with Coulomb and Viscous Damping)

  • 성지영;민경원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449-45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점성 및 감쇠가 있는 단자유도 구조물의 등가감쇠비를 효율적으로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건물에 설치된 마찰감쇠기는 외력의 크기에 따라 정지와 운동의 상태를 반복하여 외부 입력에너지를 소산시키기 때문에 외력과 응답관계가 비선형이다. 마찰감쇠기가 설치된 단자유도 건물은 마찰감쇠기외에 점성감쇠가 동시에 존재하므로 해석적인 정해를 구하기가 어렵다. 등가감쇠비를 산정하기 위해서 첫째, 점성과 마찰감쇠가 있는 단자유도계 건물의 자유진동 정해를 통하여 변위응답과 가속도 응답특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자유진동의 경우 응답이 멈출 때까지 소산에너지식을 이용하여 등가점성감쇠비를 구하였다. 셋째, 조화가진 일 때는 수치해석을 통하여 마찰력비 $F_r$에 따른 응답 특성을 알아보았다. 넷째, 조화가진의 경우 에너지 균형식을 바탕으로 등가점성감쇠비를 유도하였다. 등가점성감쇠비는 변위응답비의 영향을 받으므로 응답을 알아야만 구할 수 있다. 건물 응답의 진동수 특성은 협소영역(narrow band)이므로 고유진동수에 의해 지배된다고 가정하여 등가점성감쇠비를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유도한 자유진동과 조화가진의 등 가점성감쇠비를 이용한 등가선형운동방정식의 해를 비선형 수치해석 한 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 PDF

Co-rotational Plane beam-Dynamic tip load를 이용해 외팔보 진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과 지진 상황 시 건물의 면진 주기 설정

  • 조성배;문별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4회(2015년)
    • /
    • pp.269-273
    • /
    • 2015
  • 처음 에디슨 경진대회를 준비할 때 업로드 되어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보면서 어떤 주제를 선정할 지 고민을 하던 중, 눈에 들어온 프로그램은 서울대학교에서 제작한 Co-rotational Plane beam-Dynamic tip load이란 프로그램이었다. 위 프로그램은 한쪽 단이 고정된 외팔보(cantilever beam)의 끝단에 하중을 시간에 관련된 함수(sin, cos)로 주어 각 절점에서의 변위(X, Y), 속도 그리고 가속도를 알려주는 프로그램이다. 우리는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외팔보 끝단의 진동 형태와 주기가 어떤 요인(단면의 모양, 재료의 성질, 가하는 하중의 진동수 등)에 의해서 변하는지 분석할 수 있었다. 거기서 더 나아가 하중을 실제 지진상황에서의 크기와 유사하게 주고 위 프로그램에서의 보의 거동(진동 주기, 진동 변위 등)을 건물의 거동이라 가정했을 때 면진 주기를 얼마로 설정해야하는지도 알 수 있었다.

  • PDF

복합건물(D-Cube City) 지역에너지 공급체계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Community Energy Supply System for D-Cube City, Multi Purpose Building)

  • 이태원;김용기;이건우;이기봉;조동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6호
    • /
    • pp.669-674
    • /
    • 2012
  • 최근에 준공된 디큐브시티는 사무용, 상업용, 숙박용 및 관람집회용 등 4개의 시설이 공존하는 복합건물이다. 이 건물에는 필요로 하는 전기와 증기, 온수 및 냉수를 공급하기 위해 구역형 에너지공급시스템(Community energy supply system)이 설치되었다. 다양한 건물설비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의 설치를 검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열병합발전시스템을 비롯하여 7대의 증기보일러, 2대의 중온수보일러와 2대의 흡수식냉동기 및 4대의 터보냉동기 등으로 구성되는 구역형 에너지공급시스템의 최적 운전 및 설계방법을 검토하였다. 결과로서 에너지 수요변화에 따른 구역형 에너지공급시스템의 최적 운전방법과 계절적 운전조건의 변화가 시스템의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또 시설별 규모에 따라 결정되는 에너지 수요가 건물 전체의 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하였다.

격납용기내 소격실에서의 수소혼합 연구

  • 박군철;최용석;이운장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617-622
    • /
    • 1997
  • 격납건물내 소격실에서의 수소혼합 정도를 파악하고 격실내 균일한 혼합을 좌우하는 인자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소규모 혼합실험을 수행했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적으로 수립된 3차원 혼합 모델의 검증을 위하여 3차원 모사가 가능하도록 실험 장치를 구성하였다. 격납용기 내에서 수소 생성의 주원인이 되는 노심으로부터의 수소거동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 실험(실험 A)과 안전주입 탱크 격실에서의 수소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원형 혼합 chamber를 구상했다. 기초실험 A에서는 혼합 chamber내 축 방향으로 대칭적인 오리피스형 장애물을 설치하고 실험했고 안전주입 탱크 격실을 모사한 실험 B는 영광 3&4호기를 바탕으로 축소시켜 안전주입탱크 격실내 존재하는 두충과 안전 주입 탱크 사이의 틀을 통한 혼합체의 거동을 분석했다. 실험결과 오리피스형 장애물을 설치한 기초실험에서는 원형 띠모양의 장애물이 혼합체의 거동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관측됐지만 안전주입탱크격실 실험에서는 격실내 장애물로 존재하는 두충이 혼합체의 거동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이 관측됐다.

  • PDF

산업연관분석법을 이용한 학교 건물에서의 환경영향평가 - 경기지역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t a School Building using Input-output Table -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

  • 최두성;전흥찬;조균형
    • KIEAE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57-62
    • /
    • 2016
  • Purpose: A lot of active researches have addressed the impact of a building on global environment, but most of the researches focus on a residential building and a large office building. Hereupon, this study assessed the impact on environment quantitatively through the analysis of input materials targeting a school building. Method:This study calculated embodied energy of input materials suggested in a construction statement on a school building using the input-output analysis. This study finally carried ou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y applying LCIA DB shown in the preceding researches to the calculated embodied energy. Result: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the environmental impact per unit area(/$m^2$) at a school building was $4.11E-02PE{\cdot}yr$, among which Construction was found to be $3.59E-02PE{\cdot}yr$, being analyzed to account for about 87% of the total environmental impact. Also, as a result of detailed environmental impact, the impact on global warming among the total environmental impact was analyzed to be high, accounting for about 76%.

수치해석을 이용한 초고층 주거건물에서 외풍영향에 의한 외벽 압력 분포 분석 (A Numerical Analysis on the Outside Pressure Distribution by Outdoor Wind Effect in a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 김치완;양순창;안영철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3권10호
    • /
    • pp.639-645
    • /
    • 2011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valuate outdoor wind pressure effect in a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when seasonal wind blow on coast area. The target building consists of 3 tower buildings over 250m in height. For the evaluation of the outdoor wind effect, CFD simulation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s are as follows : 1) In that case of high-rise building, horizontal stream is more affected than vertical stream. 2) In case of summer season northeasterly wind, building pressure distributions are unstable and surface pressures of outside are effected respectively. 3) In case of winter season westerly wind, building preassure differentiations are not so much because of screening effects of the B, and the C buildings. 4) In case of winter season northwesterly wind, front wind affects on the A building directly because of no obstacles.

도시치역의 침수해석을 위한 XP-SWMM 모형 적용성 평가 (Assessment of Flood Inundation Analysis Applicability of XP-SWMM Model in Urban Area)

  • 유영욱;박기두;송태정;정영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302-302
    • /
    • 2020
  • 최근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한 홍수피해 규모가 대형화 추세를 보이며, 그에 따른 도시침수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도시침수로 인한 피해는 파손보다는 침수가 대부분이고, 도시의 규모가 클수록 침수의 비중이 크게 나타난다. 그로 인한 피해는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 이외에 여러 가지 피해를 유발하며 도시기능 마비가 일어난다. 이러한 도시지역의 침수피해는 넓은 불투수층으로 인해 홍수 도달시간이 감소하고,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건물, 이외에 하수 관망에 미치는 영향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하여 침수해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XP-SWMM 모형으로 도시지역의 불투수층의 면적비율, 건물의 영향 등을 고려하여 침수해석을 하고자 하였다. 또한 XP-SWMM 모형의 2차원 TUFLOW엔진을 기반으로 하는 2D 지표 유출 계산을 이용하여 대상 지역의 침수 취약지역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송도국제도시 개발이 이루어진 인천광역시 연수구를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도시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XP-SWMM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대상지역의 도시침수 피해를 입은 강우사상을 선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고, 유출량 및 침수면적을 산정하여 침수흔적도와 비교 및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지역 하수도 관거의 성능 및 도시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여러 강우 빈도를 이용해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지역 및 침수면적 등 침수피해를 예측하여 수해 예방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사료용 맥류의 맥종별 건물수량에 대한 식물체 부위별 기여도 (Contribution Rate of Plant Parts to Dry Matter Yields in Winter Forage Crops)

  • 권영업;박형호;백성범;박광근;김정곤;이재은;서종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92-298
    • /
    • 2010
  • 총체 담근먹이용 조사료로 이용되고 있는 맥종들의 출수 후 생육시기별 전체건물수량에 대한 식물체 각 부위별 기여도를 분석하여 생산성이 우수한 조사료용 맥류 품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 후 생육시기별 건물생산에 대한 부위별 건물중의 기여도 변화 유형은 맥종에 따라 부위별 기여기간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보리는 귀리와 밀은 호밀 및 트리 티케일과 각각 동일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2. 보리와 귀리는 출수 후 20일 이후부터 전체 건물수량에 대한 부위별 기여도가 줄기에서 이삭으로 변화되는 반면 밀, 호밀, 트리티케일은 출수 후 30일 이후부터 이삭의 기여도가 줄기의 기여도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전 맥종에서 줄기 건물중과 이삭 건물중이 출수 후 전 기간에 걸쳐 전체 건물수량에 있어서 주도적인 기여를 한 반면 잎 건물중의 기여도는 출수 후 10일 이후에는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었고 줄기 건물중에 대한 기여도는 초장보다 수수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생산성이 우수한 담근먹이용 품종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각 맥종 공히 새육후기에 전체건물수량에 대한 이삭 건물중의 기여도가 높은 특성을 고려하면 이삭의 등숙이 빠르고 이삭무게가 무거운 수중형 품종이 수량성 및 이용성제고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인공지반용 식재용토의 배합이 목본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veral Soil Medias on the Plant Growth in Artificial Planting Ground)

  • 이은엽;문석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8-24
    • /
    • 1999
  • 본 연구는 인공지반의 녹화에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자연토양, 개량토양, 인공토양에 따른 식물의 생육상태를 밝히기 위해 몇 가지 토양을 배합조성하고 이에 따른 목본식물(자산홍)의 생장상태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먼저 토양종류에 따른 목본식물의 생장인자 간에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하부의 생장은 공극량 등이 중요하게 관여하고 있으며, 지상부의 경우는 전질소비가 생장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재료중 자연토양(밭흙)은 지상의 생장(수고, 엽수, 엽폭, 절화수)과 지상부의 건물중, 지하부의 건물중 모두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토양(버미큘라이트)은 지상의 생장(수고, 엽수, 엽폭, 절화수 등)은 좋지 않았으나 상대적으로 지하부의 건물중이 월등히 높았으며 이러한 지하부의 우수한 생육에 기인하여 총건물중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인공토양인 버미큘라이트의 경우 지닌 양분이 미약하여 지상의 생육상태는 양호하지 못했으나 통기성 및 투수성 등이 좋아 지하부의 생육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밭흙을 주재료로 한 개량토양 중 버미큘라이트와 훈탄을 배합한 처리구는 지상부, 지하부 모두 중간정도의 생장상태를 나타냈다. 부숙톱밥을 혼합한 개량토양의 경우 총건물중은 인공토양(버미큘라이트) 다음으로 높았으며 나머지 수고, 엽수, 엽폭, 절화수 및 지상부의 건물중 등 지상부의 생장상태는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기물 재료 중에서도 훈탄보다는 부숙톱밥이 들어간 배합토에서 생육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