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 정보

검색결과 3,535건 처리시간 0.027초

건강 정보 추구가 유방암 검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건강신념모형과 자율적 동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Info Seeking on Breast Cancer Screening Intention: Focusing on HBM and Autonomous Motives)

  • 구윤희;노기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381-1387
    • /
    • 2018
  • 본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여성암 발병률 1위로 꼽히는 유방암 검진을 활성화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인식 개선 방안을 살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유방암 관련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건강신념모형(HBM)을 활용하였다. 질병 위험 지각, 질병 예방 행동 평가가 질병 관련 정보 추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러한 정보 추구 행동이 결과적으로 유방암 건강 검진 의도를 강화할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여기에 개인의 가치와 관심에 의한 스스로의 행위 조절을 뜻하는 '자율적 동기'를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방암을 위험하다고 지각할수록 유방암과 관련한 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찾고 있었다. 유방암 검진을 수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익을 높게 지각할수록 관련 정보를 추구하는 행동 역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스스로의 행위 조절에 적극적일수록, 즉 자율적 동기가 높을수록 유방암 관련 정보 추구 행동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정보 추구 행동은 다시 건강 검진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유방암 관련 정보를 많이 찾아볼수록 검진을 하겠다는 의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 이지은;이서영;노현경;이은주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6호
    • /
    • pp.1427-1438
    • /
    • 2015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년 여성의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과 건강증진행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K도와 D광역시 1개에 거주하는 40~64세의 중년 여성으로 편의추출 방식으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중년 여성의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은 13점 만점에 $4.75{\pm}2.98$점, 건강증진행위는 5점 만점에 $2.30{\pm}0.55$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과 건강증진행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으며,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은 연령, 교육수준 등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의료정보 이해능력이 향상될수록 건강증진행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과이다. 따라서 중년 여성을 위한 맞춤식 교육프로그램 및 의료정보 이해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개인건강정보의 2차이용 보호에 관한 국내외 법안 연구 (Research on the Domestic and Foreign Legislation about Secondary Use Protection for Personal Health Information)

  • 박한나;정부금;이동훈;정교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51-260
    • /
    • 2010
  • 의료서비스와 IT 기술간의 융합으로 환자 개인의 건강정보가 전자의무기록(EHR)의 보급과 함께 빠르게 전자화되고 있다. 이와 함께 유헬스사회에 접어들면서 전자화 된 환자의 건강기록들을 진료 이외의 공중보건 및 의학 분야의 연구,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2차이용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개인건강정보의 2차이용으로 의학 분야의 발전의 매우 유익한 일이지만 부주의하게 개인의 건강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환자 개인의 프라이버시 손상이 발생, 더불어 2차이용융 통한 연구나 서비스 발전에도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개인건강정보를 이용한 2차적 이용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나 논의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인건강정보의 2차이용과 관련하여 국내외의 법안들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앞으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고 더불어 의료분야 서비스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