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강결과

Search Result 10,46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Health Service Satisfaction at Regular Medical Checkup (정기건강검진 상담만족도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 지방공무원교육원생을 대상으로 -)

  • Park, Mi-Ae;Na, Baeg-Ju;Lee, Moo-Sik;Hong, Jee-Young;Kim, Sang-Ha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778-781
    • /
    • 2009
  • 본 연구는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받는 수검자들이 검진결과에 대한 상담을 받는 것이 건강증진행위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한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검증결과 인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검진 후 교육 및 상담에 대한 만족도 정도는 성별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의 만족도가 높았고, 직렬의 경우 기능직공무원이 만족도가 높았으며, 재직기간이 오래 될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2. 건강검진 시 상담서비스 만족도와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분석결과 만족도 내용에서 '검진결과 설명시 교정해야할 건강 위험에 대한 지적, '검진결과에 따른 건강 상담', '검진 후 결과에 대해 제공하는 상담 및 보건 교육', '검진 후 결과에 관련된 자료나 진료 혹은 상담안내'에서 건강증진행위와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검진결과 설명 시 교정해야 할 건강 위험에 대한 지적'은 식사조절과 건강관리행위, '검진결과에 따른 건강 상담'은 건강관리행위, '검진 후 결과에 대해 제공하는 상담 및 보건 교육'은 신체활동과 심리적 안정, '검진 후 결과에 관련된 자료나 진료 혹은 상담안내'는 건강관리행위와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건강검진서비스 만족도가 낮은 항목의 불만족요인을 분석하여 건강교육 프로그램 계획 시 교육내용에 포함한다면 건강검진서비스 만족도가 상승할 것이며, 건강증진행위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of Health Status types : Using 2008 KNHANES (건강상태 인식유형에 따른 건강행동과의 관련)

  • Ahn, Hye-Lan;Lee, Moo-Sik;Na, Baeg-Ju;Lee, Jin-Yong;Hong, Jee-Young;Choi, Young-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736-739
    • /
    • 2011
  • 이 연구는 스스로 건강상태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건강상태 인식 유형에 따른 건강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 건강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건강한 노후를 맞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2008년 1월부터 12월까지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차년도(2008) 자료원을 사용하였으며, 200개 조사구 약 4600가구의 만1세 이상 9,744명중 만19세 미만을 제외하고 건강설문 및 검진조사에 참여한 4,688 명을 최종대상자로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성별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상태 인식 유형별 분포,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객관적 건강상태와 일반적특성 및 건강행동을 교차분석관적 시에 카이제곱검정을 하였으며, 단변량 분석에서 의미 있는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고 올바른 인식군과 그릇된 인식군으로 나눈 건강상태인식유형을 종속변수로 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실제 객관적인 건강상태를 살펴본 결과, 건강상태를 과대평가하는 사람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건강상태를 올바르게 인식하는 사람보다 그릇되게 인식하는 사람이 더 많았다. 2. 주관적 건강상태를 좋음으로 인식하는 군에서 객관적 건강상태는 여자보다 남자가 건강을 과대평가하였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읍/면지역에서, 결혼상태는 별거 사별 이혼상태에서, 교육수준은 낮아질수록 건강을 그릇되게 인식하여 과대평가하였다. 3. 주관적 건강상태를 나쁨으로 인식하는 군에서 객관적 건강상태는 연령이 낮아질수록 건강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었고, 읍/면지역보다 동지역에서, 미혼일 경우, 교육수준은 높아질수록 건강상태를 그릇되게 인식하여 과소평가하였다. 4. 건강상태 인식 유형별로 건강행동을 살펴본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를 좋음으로 인식하는 군에서는 체중조절, 월간음주, 우울증상경험, 건강검진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고, 주관적 건강상태를 나쁨으로 인식하는 군에서는 현재흡연과 월간음주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5. 주관적 건강상태를 좋음으로 인식한 군에서 객관적 건강상태를 종속변수로한 로지스틱회귀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건강을 과대평가하는 그릇된 인식군으로 될 위험도가 남자보다 여자에서 감소하였고, 70대에 비하여 연령이 낮아질수록 위험도가 감소하였으며, 미혼에 비하여 기혼, 별거 사별 이혼에서 위험도가 증가하였고, 체중조절을 하는 사람이 체중조절을 하지 않은 사람보다 위험도가 높았다. 6. 주관적 건강상태를 나쁨으로 인식한 군에서 객관적 건강상태를 종속변수로한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연령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Living Population and Regional Health Outcome: Focused on Seoul Metropolitan City (생활인구와 지역의 건강결과 간 관계 분석: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 Jegu Kang;Eun Woo Nam;Young-Joo Won;Han-Sol Jang;Kwang-Soo Lee
    •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
    • v.34 no.3
    • /
    • pp.282-292
    • /
    • 2024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health outcomes and the living population, which ma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migration in Seoul. Methods: This study used raw data on cause of death statistics from Statistics Korea's Micro Data Integration Service. To identify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living population, we used living population data provided by Korean Telecom for 25 districts of Seoul. The control variables were based on the four domains of SDoH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economic stability, healthcare access and quality, neighborhood and built environment, and social and community context). Panel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iving population and regional health outcomes. Results: The panel GEE analysis showed that all mortality-related health outcomes (avoidable, preventable, and treatable morta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living population. This indicated that an increase in living popul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ortality-related health outcomes. Conclusion: The identification of a notabl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health outcomes and population density underscores the utility of incorporating living population metrics as key indicators in the development of policies aimed at mitigating health disparities. Moreover, this finding advocates for strategic expansions of local infrastructure,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areas characterized by low living populations.

The Health Behavior Patterns of Some Rural Residents in Korea and Their Association with Health Status and Health Management Practice (일부 농촌주민의 건강행위유형과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실태와의 관련성)

  • Kim, Young-Gab;Kang, Myung-Guen;Ryu, So-Yeon;Kim, Ki-Soon;Kang, Sung-Deuk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9 no.1
    • /
    • pp.43-63
    • /
    • 200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patterns of health behaviors of some rural residents in Korea by sub-grouping them into populations with similar patterns of diet quality, physical activity, alcohol consumption and cigarette smoking, and th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health behavior patterns and health status or health management of them.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722 rural residents above 20 years old on a typical rural district in Korea, and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from the survey data for health planning of a health center. Study questionnaire for this survey was developed from modifying the questionnaire for 'National Nutrition and Health Study' conducted in 1998. To classify health behavior patterns,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And to test the association of health behavior patterns with health status or health managemen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e identified six health behavior typologies : 67.8% of the sample had a good diet quality but showed sedentary activity level(good diet lifestyle) and 10.9% had heavy smoking behavior(smoking lifestyle). Individuals included in fitness lifestyle cluster(6.2%) had high physical activity level and those in drinking life style(2.6%) had had mainly large amount of alcohol. Zero point six percent of sample were included in hedonic lifestyle cluster, who showed poor health behaviors in all. Those included in passive lifestyle(11.9%) had no active health promoting activities but tended to avoid risk taking health behavior such as cigarette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2.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compare with the individuals in good diet lifestyle,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of those in fitness lifestyle showed higher and that of those in smoking lifestyle, drinking lifestyle, hedonic lifestyle, passive lifestyle showed lower than them, retrospectively. 3. Adjusting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status, to compare with the individuals in good diet lifestyle, the proportion of those who had good health management practices in fitness lifestyle was higher, and the proportion of those who had health check in past 2 years was lower than them, retrospectively. Conclusion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 patterns between rural population and national population, which influenced significantly on health status and health management practice of them. We suggested that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m be developed with considering these points.

  • PDF

Influences of Work and Family on the Married Female Workers' Health (기혼 여성노동자의 건강에 미치는 직업특성과 가족특성)

  • Park, Soo-Mi;Han, Sung-Hyu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7 no.2
    • /
    • pp.155-175
    • /
    • 2004
  • 이 연구는 여성의 삶의 질에 '일'과 '가족'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여성의 '신체적${\cdot}$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일'과 '가족'의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는 생산직 및 사무직에 종사하는 기혼 여성 902명에 대한 설문지 면접조사결과를 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혼여성노동자의 신체적 건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직업특성${\cdot}$가족특성의 영향력에 변별성이 발견되었다. 가족특성이 기혼여성노동자의 정신건강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 직업특성은 이들의 신체적 건강${\cdot}$정신건강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여성들에게 직업이 갖는 의미가 재해석되어야 함을 암시하였다. 분석결과가 함의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업무스트레스'의 효과처럼 동일한 변수가 성별로 상이한 효과를 미친다는 사실에서 '일'에 대한 성별화된 사회규범이 해체되어야 한다. 둘째, 여성의 연령 증가, 자녀수 증가에 따라 정신건강이 좋아진다는 결과에서 여성에게 '가족'과 '일'의 갈등적 측면 못지않게 지원적 측면이 강화되고 있다. 셋째, 기혼여성노동자의 건강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는 '가정형편' 변수로서, 건강의 계층화 현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저소득층에 대한 각별한 건강복지정책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일부 산업장 생산직 근로자의 예방적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 Kim, Yeong-Ran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
    • v.2
    • /
    • pp.52-59
    • /
    • 1992
  • 본 연구는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필요성 인식 정도와 실천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요인분석하여 산업장의 예방적 건강행위를 이끌기 위한 프로그램의 기틀을 세우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도구는 참고문헌과 선행연구 등을 참조하여 본 연구자가 만든 설문지를 사전 조사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2개 기계제조업체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이였으며 1989년 5월 5일부터 1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탈락 및 기재가 불충분한 질문지를 제외한 284명의 응답자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예방적 건강행위의 필요성 인식정도의 평균은 122.1점으로 매우 높은 점수분포를 나타냈으며, 실천정도의 평균은 87.6점으로 필요성 인식정도 보다는 낮은 실천정도를 나타냈었다. 2)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필요성 인식정도와 실천 정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29개 예방적 건강행위 중 20개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것을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필요성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실천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식정도가 행위에 영향을 미침을 반영하고 있다. 3) 요인분석결과 29개의 예방적 건강행위 항목들은 7가지의 요인으로 범주화되었으며 각 범주들은 요인부하량이 높은 것들을 참고로 하여 보건의료자원활동을 통한 예방적 건강행위, 개인위생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 작업과 관련된 건강행위, 식습관을 통한 예방적 건강행위, 휴식을 통한 예방적 건강행위, 기호습관(금연, 금주)을 통한 예방적 건강행위, 활동을 통한 예방적 건강행위등으로 명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생산직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들은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필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으나, 실천정도는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예방적 건강행위의 필요성 인식정도와 실천정도간의 상관관계에서 29개 항목중 20개 항목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인식정도가 높을 수록 실천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로자의 건강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산업간호사의 역할 중 보건교육에 대한 업무가 보다 중요한 비중으로 수행되어져야 함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볼수 있다.

  • PDF

임상병리 지식-소변검사

  • Choe, Yeong-Sik
    • 건강소식
    • /
    • v.15 no.2 s.147
    • /
    • pp.8-9
    • /
    • 1991
  • 건강검사를 마치고 나면 우리는 당연히 결과서를 받는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 결과서에 써있는 전문용어나 수치가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건강소식’은 이번 호부터 이 수치와 용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해설함으로써 건강파악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Examining Trajectory of Retirees' Physical Health and Its Predictors : The Impact of Retirement Characteristics (중·고령은퇴자 신체건강 변화궤적의 예측요인 : 은퇴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Jeong, Me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75-376
    • /
    • 2017
  • 본 연구는 은퇴 후 신체적 건강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떤 변화양상을 나타내는지, 은퇴 후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은퇴 특성(은퇴시점, 은퇴자발성 여부) 변인이 은퇴 후 신체적 건강의 궤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분석 자료는 국민노후보장패널 3차시(2009년), 4차시(2011년), 5차시(2013년) 종단자료이며, 2,857명을 대상으로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 고령은퇴자의 신체적 건강은 시간의 흐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무조건부 모형을 통해 확인한 결과, 중 고령은퇴자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높은 수준의 ADL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 고령은퇴자의 신체적 건강변화와 관련이 있는 은퇴특성은 무엇인지 조건부 모형을 통해 알아본 결과, 은퇴 특성 변수로는 조기은퇴자일 때, 은퇴가 비자발적일 때, 건강상 이유로 은퇴했을 때 더 높은 ADL 초기값을 보였다. 또한 변화궤적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은퇴특성에서는 어떤 변수도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고, 인구사회학적 변수 중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ADL의 증가속도가 더욱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Health-perception, Health-concerned and Health promote behavior to predict Health promote behavior increasing among adult male (성인남성의 건강증진행동 강화를 예측하기 위한 건강지각과 건강관심 및 건강증진행동의 구조적관계)

  • Kang, Hyun-J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5
    • /
    • pp.2797-2805
    • /
    • 2014
  • This study was to predict health promote behavior reinforcement with investig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perception, health-concerned, and health promote behavior among adult male.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sampled from people who participate in exercise at least more than once a week,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group who participate in exercise 4 times a week had higher health-concerned and health promote behavior than other groups. However the health- perception did not affect on exercise level. In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highly health-perception was diminished the health promote behavior. In particular, when health-concerned came highly, the health promote behavior was increased. Therefore, these results are discussed based on preceding research.

Contents Analysis on the Health Information of Major Daily Newspaper and TV in Korea (우리나라 주요(主要) 일간지(日刊紙) 및 TV 건강정보(健康情報)의 내용분석(內容分析))

  • Lee, Moo-Sik;Lim, Kyn-Kwang;Na, Baeg-Ju;Kim, Keon-Yeop;Yoo, In-So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4-118
    • /
    • 2009
  • 주요 일간지와 KBS 1 9시 뉴스에서 다루고 있는 건강관련 기사의 내용을 분석하여, 건강관련 정보의 경향을 파악하여, 건강 예보제 실시를 위한 현황 분석을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 일간지 건강정보 내용분석 결과요약: 기사 보도 분야에서는 생활건강(47.8%), 사회(14.6%), 종합(7.7%), 국제(4.7%), 경제(1.5%) 순이었고, 3/4분기에서만 국제와 경제 분야가 종합분야 보다 많이 보도 되었으며, 기타 분야가 22.9%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건강정보를 대상 성별별로 분류 하였을 시 남녀 모두에 해당되는 자료가 대다수였고(87.9%), 여성이 대상인 정보(8.0%)가 남성(4.1%)보다 많았으며, 생애 주기별 대상으로 분류 하였을 시에 역시 특별히 구분되지 않은 모든 연령층에 해당 정보가 가장 많았고(60.8%), 성인(19.8%), 학동기 어린이(7.3%), 청소년 (4.9%), 노인(4.9%), 영유아(3.3%) 순이었다. 일간지별 기사의 주제를 조사한 결과 두 일간지의 총합은 병의 원인 및 위험인자(15.5%)가 가장 많이 보도 되었는데, 조선일보는 건강증진, 치료 및 술기, 투약, 기타의 순이었고, 한겨레신문은 건강증진, 행정, 치료 및 술기, 투약 순이었으며 각 주제별로 분기별로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예측성에 관한 내용분석을 보면 예보성은 있는 경우(76.2%)가 없는 경우보다 많았고, 예보성의 정보는 알림성, 예측성, 행사성의 순이었고 예측성의 경우 건강형태가 가장 많았으나 한겨레 신문의 경우 기타에 속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사 ICD-10 체계, 21대 분류로 질병에 관한 기사를 분류한 결과 신생물(14.5%),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13.6%), 정신 및 행동장애(9.5%)의 순이었으며 두 일간지간의 차이를 보였다. 2. TV 뉴스 건강정보 내용분석 결과요약: 건강정보의 대상 특징 성별은 모두 해당되는 경우가 265회 중 238회 (89.8%)로 가장 많았고, 생애주기별 대상으로 보면 모든 연령층에 해당 되는 것이 154회(58.1%)로 가장 많았다. 건강정보의 주제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병의 원인 및 위험인자가 73회(27.5%), 역학(역학조사 및 보도성)이 64회 (24.2%), 행정이 30회(11.3%), 증상 및 호소가 27회(10.2%) 등의 빈도순으로 조사 되었다. 건강정보의 내용의 분야를 보면 대분류로는 질병관리 분야가 102회(38.5%), 보건의료제도 및 행정 분야가 52회(19.6%), 보건행태 및 기타 42회(15.8%), 생활환경분야 39회(14.7%)의 빈도순으로 나타났다. 건강정보 내용을 질병의 분류 ICD-10 체계로 분석한 결과는 특정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48회(26.8%), 소화기계의 질환, 손산, 중독 및 외인에 의한 특정기타 결과, 건강상태 및 보건서비스 접촉에 주는 요인 등의 빈도순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