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가정프로그램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21초

가족 가치관, 의사소통, 관계성에 따른 건강가족지원사업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A Study for Program Activities in Healthy Family Support Business: Focused on Family Values, communication, relationships)

  • 이형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6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2호
    • /
    • pp.131-134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 가족의 가치관, 의사소통, 가족관계성 수준에 따라 개설하고자 하는 프로그램 필요도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라는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광역시 서구지역에 거주하는 주민 299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 방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족의 가치관, 의사소통, 가족관계성 수준에서 평균미만집단이 평균이상집단과 비교하여 건강가족지원프로그램에 대한 필요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사업 프로그램은 지역주민의 가족의 가치관, 의사소통, 가족관계성 수준을 반영한 필요도 중심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PDF

문화사업 담당 건강가정사 양성 및 보수교육을 위한 직무와 역량 분석 (An Analysis of the Job and Competency of Healthy Family Supporter for Culture Work)

  • 이윤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85-496
    • /
    • 2011
  • 본 연구는 건강가정 문화사업 담당 건강가정사의 주요 직무를 분석하고 핵심역량과 역량개발영역을 파악하고자 일정 경력 이상의 대상자를 조사한 것이다. 그 결과 문화사업 담당 건강가정사가 인지하는 주요직무 1순위는 프로그램 기획과 가족자원봉사 프로그램 기획으로 거론되었으며, 핵심역량은 의식주 생활문화와 여가문화의 이해, 대인관계 및 사회성 향상 기술,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사고능력, 전문가다운 문제해결 태도로 나타났다. 개발하여야 하는 역량 영역으로는 프로그램 기획과 평가, 보고서 및 평가서 등의 서류 작성 기술,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사고능력, 전문가다운 문제해결 능력인 것으로 나타나 현장에 투입되어야 하는 관련 분야 종사자들의 필수 이수교과목들과 종사자 보수교육 주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프로그램 개발 연구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of Health and Family Support Center)

  • 손명동;박천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9-380
    • /
    • 2014
  • 현대사회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 결혼 출산 양육 노인 부양 등 가정생활과 관련된 각종 사회현상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가족 문제도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건강한 가정생활 영위와 가족의 유지, 발전을 위해 건강가정 기본법이 2004년 2월 9일에 제정되었다. 이 법은 가정의 건강성 향상을 통한 가정문제 발생 예방 및 가정 중심의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기반 마련의 필요성에 따른 것이다.

  • PDF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Programs in Kyungnam Area)

  • 김진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5-37
    • /
    • 2008
  •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adults in relation to healthy family to help identify import issues. Gathered information were then incorporated to education programs for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in four cities in Kyungnam during March 2007. The responses of 213subjects have been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lead to three major findings. Firstly, the surveyed adults regarded positive interaction and domestic family functions as essential activities in healthy families. Secondly, the participants exhibited a very low knowledge-level of the 'Healthy Family Act', and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Finally,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are more likely to specifically participate in educational program and counseling program if it helps them prevent family programs.

건강가정기본법의 실천을 위한 건강가정 사업 및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Family Service Program for the Healthy Family Act)

  • 김경신;이승미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5호
    • /
    • pp.357-37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ervice program for family in order to strengthen the family function and increase the family well-being. The service program for family is based on The Healthy Family Act. For the purpose, researchers prosed the three approach-the type of service program, family life cycle approach, eco-systemic approach-and the specified program example.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건강식생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체계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 Structure of Healthy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the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 김정현;이명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13-126
    • /
    • 2018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건강식생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체계화를 위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식생활 행동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식생활 행동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건강식생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을 체계화 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식생활 행동을 분석한 결과, 아침식사 및 간식 행동에서는 거주환경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다문화가정 어머니 국가와 거주환경에 따라 손씻기 등의 위생 영역과 식사 예절 내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교육 목표 설정을 위한 영역 설정은 안전(위생)-영양-문화 영역으로 도출할 수 있었으며, 영역별 주제는 전체 12주제로 하여 유아는 안전과 위생을 2 주제, 아동의 경우는 안전으로 3 주제, 영양 영역은 유아는 5주제, 아동은 6주제로 설정하였으며, 문화 영역은 동일하게 3 주제로 도출되었다. 전체적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는 12개월을 기준으로 12 주제로 건강식생활 부모교육 주제를 설정하였고, 이에 따른 교육 목표 및 교육 활동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