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거주평형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2초

거주평형에 따른 소비자 홈 패션 구매 행동 및 선호도 연구 (A Study on Consumers Home Fashion Buying Behavior and Preferences Based on Housing Size)

  • 김칠순;박수연
    • 복식문화연구
    • /
    • 제13권1호
    • /
    • pp.34-4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buying behavior and home fashion preferences based on housing size. The target consumers were Korean women, aged 20~40s who reside in the Seoul & Kyunggido areas.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650 women. However, only 60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SPSS program on the frequency, Chi-square test, cluster analysis, 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onsidering factors for purchasing such as brand, trends coordinating existing furnishings with new products and functionali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ousing size. The buyers who reside in bigger size homes. over 40 pyung place higher value on brand name, trends. or coordinating existing furnishing with new products than residents in smaller units. However, women who live in smaller units place higher value on functionality when purchasing home fashion products. Considering factors such as brand, trend, and materials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gmented age group; 40~49 age group considered brand, trend, and materials more than 20~29 age group. The group who are highly interested in home fashion considered design/color, rand, coordination, and functionality than the group who are low interested in home fashion. 2. Residents in over 40 pyung homes buy home fashion products at department stores, while residents in less than 39 pyung homes buy them at discounted store. 3. Respondents preferred solid colors more than patterns. However, they favored character pattern for textile bedding products for their children. 4. there is also a statistical difference in preferences for types of window treatments between large ad small housing sizes. Residents living in over 40 pyung preferred tie-back/cottage curtain, while residents living in less than 29 pyung preferred Roman shade style.

  • PDF

아파트 평형별 신발장의 내부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Footwear Cabinet according to the Size of Apartment)

  • 오혜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5-12
    • /
    • 1999
  • 본 연구는 편형별 아파트의 신발장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여 향후 아파트 분양 시 제공되는 신발장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디자인 제안을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현재 아파트 신발장의 사용실태, 거주자 만족도, 실측을 통한 신발장의 규모 및 내부구성 등을 파악하였고, 이를 근거로 각 평형별 신발장을 제안하였다. 제안의 초점은 우선 각 수납물품의 종류에 따라 가구의 내부 구성을 달리한 유니트를 개발한 후 이를 모듈화 한다는 것이다. 모듈의 단위는 거주자들의 불만요인을 분석하는 한편 일반적인 신발외 길이, 폭, 높이에 의거하였으며 이를 가족의 수나 수납물품의 양 그리고 아파트 규모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여로 각 평형에 따라 일반적인 신발장의 규모를 설정하고 필요한 유니트를 선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희망평형에 따른 아파트 단위주거 계획요소에 관한 거주자의 태도 (Residential Preference for Planning Components in High-Rise Condominium)

  • 김효정;이현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5-18
    • /
    • 2004
  • The study focused on residents' preference for planning components according to preferred size of high-rise condominiums. After being examined not only a brief chronological review of spatial composition and planning components in high-rise condominiums but also residents' attitudes toward and preference for current planning components, this research developed a wide range of planning component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The main surve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needs of residents for planning components in relation to high-rise condominiums. Descriptive and factor analysis were utilized to find out the residents' different preference for planning compon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residents were very aware of healthy housing, environmental friendly housing and digitally equipped housing, and their preference was different according to preferred size of condominium housing. In other words, residents preferring condominium housing with 99m$^2$ or smaller considered features of safety and healthy housing as important, those with between 102.3m$^2$ to 115.5m$^2$ recognized experiential space, and those with 118.8m$^2$ or larger regarded features of housing management and storage as important. It is suggested that the needs and wants of residents for housing have been various to be customized.

  • PDF

지역 거주 노인의 활동 체력과 신체 활동수준의 관련성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level on functional fitness in community-residing older adults)

  • 신소희;김용안;김현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625-634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의 신체 활동(physical activity; PA) 수준과 활동 체력(functional fitness; FF) 변인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피검자(남성:1,645명; 여성:2,394명)의 PA 수준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FF는 상·하지 근력, 민첩성 및 동적 평형성, 유연성, 유산소성 능력, 협응력, 그리고 신체 구성 등 체력 영역을 대표하는 6항목으로 측정, 평가하였다. 피검자는 신체 활동 권장기준에 따라 권장량보다 낮은 그룹(low physical activity; LPA)과 권장량 기준을 충족하는 그룹(PA)으로 나누었고, PA 그룹은 다시 강도 수준에 따라 중강도 그룹(MIPA)과 고강도 그룹(HIPA)으로 분류하였다. 권장량 수준을 충족하는 피검자는 48%였고, 이들은 모든 항목에서 LPA보다 성적이 높았다(p<.001). HIPA 그룹은 MIPA 그룹보다 민첩성 및 동적 평형성, 협응력, 그리고 하지 근력(여성)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결론적으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이 활동 체력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건강을 위해 권장하고 있는 신체 활동량을 충족시켜야 하며, 특히 낙상 관련 체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강도가 높은 신체 활동을 할 필요가 있다.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특성 분석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Mobility by Life-Cycle)

  • 최열;김영민;조승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3D호
    • /
    • pp.313-321
    • /
    • 2010
  • 본 연구는 부산시의 주택순환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가구의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특성을 분석하였는데, 설문조사는 부산시 거주 만 40세 이상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결혼 이후 현재까지의 주거이동에 대한 주거경력을 조사하였다. 통계자료 분석의 결과와 설문조사 결과는 모든 항목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설문대상자들이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을 살펴보면, 주택유형은 아파트가 절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택의 점유형태는 자가소유이며, 주택규모는 30평형대, 거주기간은 6년 이상 10년 미만이다. 주택자금마련 방법은 저축과 은행대출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데, 현재 가구의 소득만으로는 자가소유의 희망주택을 마련하는 것이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주택금융을 활용하여 내집마련을 하는 주거문화는 임대료를 지불하고 임차소유를 하는 외국과는 다소 다른 우리의 주거문화이다. 그러나 주거만족도의 측면에서 주거이동은 주택규모를 확장시키고 점유형태를 변화시켰기 때문에 주거이동으로 인해 대부분의 가구가 주거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현재의 주거에 대해 매우 높은 만족감을 보인다.

주택평형별 거주자들의 정보화 이용 패턴 차별성 분석 : 주택관리공단의 영구.국민 임대주택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Discrimination of the Information Usage Pattern by Pyeong-type Tenants: Focused on Tenants between Kohom's Permanent and Temporary Public Rental Housing)

  • 고종문;김신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5권1호
    • /
    • pp.117-130
    • /
    • 2007
  •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re exists discrimination of the information usage pattern between tenants of permanent and temporary public rental housing in Korea. Moreover, we focus to examine on that matters between two groups, $7{\sim}12$ pyeongs and $11{\sim}24$ pyeongs that indicate permanent and temporary public rental housing respectively. The results derived in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exist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using computer, internet,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on the other hand, insignificance in using satellite communication and telephone between them. The implication of this results shows that as widen income gap, also widen gaps in using computer and internet between them. Thus government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should focus to make narrow income gap to diminish information gap between those groups.

  • PDF

아파트 거주자의 욕실에 대한 의식.만족.요수 -30평형대 아파트를 중심으로- (The dweller's consciousness, satisfaction and demands on bathroom in 30s pyung apartments)

  • 이영심;신경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43-53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study for a desirable bathroom planning of the 30s pyung apartment. The survey was performed to the housewives of 30s pyung apartments in Seoul. The purpose of the survey was to examine the dweller's consciousness, satisfaction, and demands on bathroom in 30s pyung apartments, and to give useful information on bathroom planning of 30s pyung apartment. Some details shoul be considered in bathroom planning of 30s pyung spartments. It seems that the bathrooms of bath unit and extra sink and a toilet stool are the most approriate type in 30s pyung apartment among present bathroom types. It is suitable that the bathroom is close to bedroom and the bathroom door faces the wall. There is much meed for a showercurtain and more comfortable toilet stool.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noise of toilet stool and reinforce the soundproofing fuction in bathroom. And the function of ventilation, drainage, and insulation should be improved for better bathroom enivron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findings for apartment bathroom planning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PDF

고급연립주택의 평면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or Plan in Luxurious Row-Houses)

  • 라윤주;오혜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209-216
    • /
    • 2001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빌라'로 통칭되는 고급연립주택의 사례조사를 통해 그 평면의 특성을 파악해 보는 것이 목적으로 1980년에서 2001년까지 서울과 분당지역에 건설된 지상 4층 이하, 연면적 660$m^2$ 이사인 연립주택 중 전용면적 50평 이상의 고급연립주택을 대상으로 하여 분양자료와 건축, 주택, 인테리어 관련잡지, 인터넷에서 평면 135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급연립주택의 평면 특성은 평형이 대형화 될수록 개 실의 수가 증가하기 보다는 새로운 기능의 공간이 거주자의 개성에 맞게 구성되며, 복층형 구조의 평면유형이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 시도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고급연립주택의 공동공간의 특성은 구성방식에 있어 거실분리형(L-DK)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평형이 커질수록 개방형은 거의 보이지 않고 거실분리형, 부엌분리형의 순으로 공간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고급연립주택의 부부전용공간의 특성은 안방의 기능 분화가 시작된 80년대부터 현재까지 안방-드레스룸-욕실-부부침실의 공간구성이 일반화되었다는 것이다. 넷째, 고급연립주택의 가사작업공간의 특성은 주부의 작업효율을 높이고 수납공간의 확보를 위해 다용도실의 가사실을 하나의 개실로 구성하여 부엌과 인접하여 배치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고급연립주택의 출입공간의 특성은 현관진입형, 마당진입형, 부출입구진입형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현관진입 형에서 현관문에 중문이 이중으로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 PDF

운동 형태에 따른 노인 여성들의 건강관련 체력의 변화 (The changes of health-related fitness for the elderly women depend on the types of exercise)

  • 윤병곤;박찬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728-1737
    • /
    • 2020
  • 본 연구는 운동 형태에 따른 여성 노인들의 건강관련체력 변화를 규명하여 만성질환을 관리하고 상해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는 운동을 선택하는데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B 광역시에 거주하는 72-78세의 노인여성을 통제그룹 10명, 유산소 운동그룹 10명, 저항 운동그룹 10명, 복합 운동그룹 10명으로 분류하여 8주간 주 3회, 50분/회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 강도는 모든 운동그룹에 동일하게 RPE 11-13으로 설정하였다. 하지근력, 동적평형성, 정적평형성, 그리고 민첩성은 모든 운동 그룹에서 운동 후 유의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나, 심폐지구력은 유산소 운동 그룹과 복합운동그룹에서만 운동 후 향상된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여성 노인들에게 운동 강도가 같다면 어떠한 운동 형태든지 일상생활과 관련된 체력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복합 운동이 노인들에게 보다 적합한 운동 형태라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