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거주자 중심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31초

아파트 거주자의 안전의식이 화재대응성과에 미치는 영향 : 관리사무소의 관리역량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Apartment Residents' Safety Awareness on Fire Respons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ntrol Offices' Control Competence)

  • 김종남;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43-53
    • /
    • 2020
  • 이 연구에서 우리는 아파트 세대 내에 화재발생 시 대피요령에 따른 화재의 불안요인을 낮추며 관리사무소의 관리역량이 안전의식 및 화재대응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아파트 거주자의 안전의식 및 관리주체의 인식이 화재대응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파트 거주자의 안전의식 및 관리주체의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화재대응성과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관리사무소의 관리역량 수준이 높을수록 안전의식 및 관리주체의 인식이 화재대응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관리사무소장의 리더십이 높을수록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만족도도 높은 경향을 보이고 거주자와의 소통하는 자세가 높을수록 화재대응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관리사무소 관리역량은 아파트거주자의 안전의식 및 관리주체의 인식수준이 화재대응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모형의 R2 값의 변화량이 1단계보다 2단계가 증가하였고 3단계에서는 조절변수의 상호작용 항을 추가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조절변수인 관리사무소 관리역량은 아파트거주자의 안전의식 및 관리주체의 인식수준이 화재대응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홈네트워크 주거공간 선호 요소 조사 (A Study on Preference for Home Network Housing)

  • 김제길;윤주호;신승중;류대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6-37
    • /
    • 2011
  • 홈네트워크는 즐겁고, 쾌적하고, 편리하고, 안전한 삶을 위한 정보 인프라로, 초기에는 PC를 중심으로 한 데이터 중심의 서비스에서 시작되어, 사이버 아파트, 주택 자동화등 거주 환경의 변화에 따라 홈오토메이션, 고품질 인터넷 서비스 등의 A/V 기기 중심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중심으로 발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거주자, 비거주자 그리고 전문가의 설문조사를 통한 선호요소 그리고 유비쿼터스 주거환경을 통한 파급효과를 통해 유비쿼터스와 주택을 결합한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주택에 대한 앞으로의 설계에 대해 분석 연구하였다.

장애인 주택개조 빈도 및 중요도 비교분석 -접근로 및 내부공간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Frequency and Importance of Home Renovation for the Disabled -Focused on Accessible Path and Internal Space -)

  • 이규일;안성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7-36
    • /
    • 2016
  • 일반적으로 보급되는 주택 내에서 장애인들은 불편하고 위험한 요소를 감수하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장애인 거주자의 생활방식에 따른 공간요소별 주택개조공사의 내용 및 빈도를 중심으로 문제점을 찾고 각 항목별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한 중요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공간별 장애물을 제시하여 주택개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지체장애인, 뇌병변장애인,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휠체어사용, 좌식생활, 단독보행, 클러치사용, 와상생활, 보조인동반보행 등 6개 생활방식으로 구분하여 주택 내 공간별 개조 공사의 빈도를 분석하였고, 공간적으로는 접근로, 현관, 복도, 거실, 침실의 5개 공간으로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사빈도율과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항목은 거주자의 선호도 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중요도도 높은 것이므로 해당 항목들을 중심으로 우선적으로 주택개조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TOD구현을 위한 주택유형별 거주자의 통행행태 비교 분석 및 시사점도출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vel Behavior of Residents by Housing Types and Implication Deduction for TOD Implementation)

  • 이규진;박관휘;최기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7-38
    • /
    • 2014
  • 최근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 개발을 위한 통합 도시 교통 계획은 중요한 이슈인 바 효과적인 대중교통 중심 도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주택지에서부터 거주민의 통행 특성을 근본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에 기반하여 주택유형별로 거주자의 통행행태를 비교하였고, 특히 주택유형별로 지하철 통행빈도 추정 모형을 구축하여 지하철 통행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 지하철 이용을 증대시키기 위한 요인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버스 분담률이 가장 높은 주택유형은 단독주택(22.8%)이며, 지하철 분담률이 가장 높은 주택유형은 오피스텔(17.5%)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피스텔과 연립주택 거주민의 지하철역까지 평균 도보접근거리는 각 661m, 749m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주택 거주민의 자동차와 자전거 보유대수가 많을수록 지하철 통행이 감소하며, 거주지의 인구밀도가 높으며 지하철 접근성이 양호하고 버스 접근성이 불량할수록 지하철 통행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본 연구를 통해 대중교통의 계획적 요소는 주택 유형지에 따라 차별되어야 함을 통계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결과는 주택유형 거주자의 통행 특성을 고려하는 도시설계에 활용되어질 수 있고, 대중교통 이용의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서도 기술하였다.

Stake식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본 어느 공공 노인복지주택에서의 삶에 관한 연구 (Exploring life in a public welfare housing for older adults using Stake's case study methodology)

  • 김유진
    • 한국노년학
    • /
    • 제40권1호
    • /
    • pp.51-7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 가치 반영 및 노인 주거의 공공성 강화 차원에서 등장한 어느한 공공 노인복지주택에 살고 있는 노인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와 함께 주거 대안으로서 공공 노인복지주택이 어떤 곳인지 살펴보는 것이다. Robert Stake 식의 본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하여 노인 거주자들이 이곳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거주자들간의 관계, 서비스 제공자들과의 관계, 지역사회와의 관계는 어떠한 역동을 보이며, 어떠한 이슈들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거주자 설문, 참여관찰, 76명 노인 및 사무실 직원들과의 면담, 그리고 관련 신문 기사 등의 자료를 중심주제분석 방법과 Stake가 제안한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질문에 맞추어 분석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누가 이곳에서 살고 있는지 살펴보며, 다양한 배경의 노인들이 모여있는 이곳에 어떤 일상이 펼쳐지고 있는지 탐색하였다. 둘째, 노인들의 사회적 관계와 일상을 중심으로 발견된 네 가지 유형의 삶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셋째, 이처럼 다양한 삶의 방식이 이곳에 입주한 주된 이유와 어느 정도 연관이 있음을 살펴보고, 노인들이 이곳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정리하였다. 네 번째와 다섯 번째는 노인들이 제일 많이 공통으로 언급한 두 가지 이슈를 중심으로 거주 노인들 간의 관계, 사무실 관계자와의 관계, 그리고 지역사회와의 관계와 역동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곳이 하나의 살아있는 유기체이며, 각 체계 간의 상호작용이 공공 노인복지주택 내부의 문화뿐 아니라 개별 노인의 삶에 민감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주택 운영과 관리 측의 인식이 노인들의 삶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볼 수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사항을 정리하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이용한 거주자 요구 조사방법에 관한 연구 2 - 거주자의 시각적 측면의 요구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urvey Method of the Residents' Housing Needs Using Interactive Media 2 - Focused on the Visual Needs of Residents -)

  • 김석태;오찬옥;박수빈;양세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97-104
    • /
    • 2007
  • At a time of emphasized need for user-oriented design, methods such as Post Occupancy Evaluation are being used to measure the exact demands of the users. The conventional methods, however, have mostly been conducted based on questionnaires printed on paper, which has posed numerous problems in researches designed to measure the visual demands. Along with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computer media, there have been examples of interactive media applications as a means of improving the existing paper-based research methods. This study is a follow-up to the primary study that unveiled cautious variances of the media. 200 samples of media-based researches were extracted to be used in analysis of in-depth visual demands. 200 housewives from rural Iud development zones, who exercises the most influence in household purchases in these regions where the problem of rate of distribution Is coming under the limelight, were chosen as the subjects.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land development zones of Gimhae-si and Haeundae. At first, the research was prepared as a web-based endeavor but it employed direct research of field personnel in consideration of that this research is in the beginning. This follow-up study deals mainly with the visual demands for which cautious variances were detected in the primary study and includes analysis of mainly ground Plan layout, space coloration, livingroom utilization, and vlsual composition of LDK. Media research had the advantage of zero rate of questionnaire error due to a pre-programmed search routine, and it was possible to ascertain the actual trade-off basis demands of the residents in terms of ground plan layout. In addition, whereas conventional research methods based on still images were susceptible to the preconceptions of the respondents, the interactive media allowed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spatial layout and thus made it possible for all respondents to provide answers under the same conditions.

만성질환 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지역사회 건강융합 -세종특별자치시 30-40대를 중심으로- (Community Health Convergence through Analysis of Chronic Disease Influencing Factors -Focusing on 30-40s Adults in Sejong City-)

  • 이미경;조아라;임순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27-135
    • /
    • 2017
  • 본 연구는 세종특별자치시 동, 면 거주자의 만성질환 진단율과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조사되었다. 2013-2015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한 2차 분석 연구로 총 1,067명의 자료가 이용되었고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동 지역 거주자는 만성질환 진단을 받을 확률이 여자보다 남자가 7.34배 높았고, 걷기 일수가 3일 미만인 군이 3일 이상인 군에 비해 2.20배 높았다. 면 지역 거주자는 비 흡연 군 보다 흡연 군이 1.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동지역 거주자와 면지역 거주자에게 차별화된 만성질환 예방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국 도시·농촌 거주자의 정보소비 특성에 관한 연구 -중국 길림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Information Consumption in Urban and Rural Residents -Focusing on China's Jilin Province-)

  • 유혜주;정기영;김형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81-19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주민과 도시 주민 간의 정보 소비의 특성을 조사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길림성에 위치한 15개 도시와 농촌 지역 거주자에 대해 121개의 정보소비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985개의 유효 응답을 SPS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시와 농촌 거주자를 대상으로 연령별, 가구형태 및 성별에 따른 정보소비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연령과 성별, 연령과 가구형태, 가족형태와 성별 사이에 상호작용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도시와 시골 주민들 사이의 정보 서비스 격차를 줄이고 정보 소비의 잠재력을 활용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중국 길림성 주민만을 대상으로 분석했다는 한계가 있으며 향후 조사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한국과 미국 공공 임대아파트 거주자의 이동과 단지 내 활동 - 서울 SH공사 아파트와 미네소타 주 PHA 아파트의 비교를 중심으로 - (The Comparison of Residents' Movement and Activities of Public Rental Apartment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SH Apartments and PHA Apartments -)

  • 신경주;장상옥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1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residents' movement and activities in SH apartment in Yangcheon-Gu, Seoul (SH apartment) and PHA apartment in St. Paul, Minnesota (PHA apartmen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rental housing environment. This study had surveyed 418 residents of SH apartments in Korea and used the secondary data gathered from 1,462 residents of PHA apartments in the United St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riteria of Korean residents in SH apartments when choosing their residences are lower rent payment and shorter waiting time. They seemed to have no other options than public rental housing. On the contrary, American residents in PHA apartment had more option to choose from. Therefore, Korea needs to offer more variety types of residents that can be lead to better satisfaction of low income classes. Most of the SH apartments residents has lived for long-term, in the average of more than 6 years, and wanted to live continually at their current dwelling. PHA residents showed similar tendency. However, long term residency may lead to permanent occupation of the public rental apartment by the same family. Hence, a system which can provide equal residency opportunities to all low-income classes need to be developed. Residents of SH apartment were satisfied with the personal activities but were not satisfied with group activities among residents or regarding resident meetings. However, residents of PHA apartm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management because there is more in-housing-complex activity programs. Therefore, more activity program for a resident should be developed after analysing programs of different apartments and current conditions in Korea. There were some noticeable divergences among residents, based on their age, term of residence and physical, emotional and mental problem, when evaluating in-housing-complex's programs. Thus, these factors are also need to be considered when planning and examining evaluation about the management of rental apartments.

거주자 평가 (POE)를 통한 아파트 주호 실내 계획에 관한 연구 - 대구 지역 아파트 거주자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n Apartment Interior Plans by POE of Residents - Focusing on Residents in Daegu -)

  • 최정원;하미경;제해성;이효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59-171
    • /
    • 2006
  • As the increase in quantity of apartments has been stable, consumers' needs in housing quality become more diverse.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tendency of residents, construction companies has developed brands of apartment buildings with the concepts of LOHAS, well-being, ergonomics, ubiquitous. However, these trends has been focusing on the Capital area, and becoming fixed and typical in the way of delux quality, large-sized houses and a healthful residence. For that reason, this research is about survey on the needs of the local apartment residents, especially in Daegu. This analysis of their preferences will furnish basic data and offer possible interior plans to building companies making inroads into the Daegu apartment market.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questionnaire forms which had been collected for two months(in Aug.-Oct.) of 2005 in Daegu and the amount of the samples is 135. All of them are the residents of the apartments where they moved in after 2000.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include the evaluation of plane composition and practicality, interior finishing and design, and spaces for item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 interior design and finishing materials of apartments in Daegu should be improved and the drainage and uncleanness of bathroom also need to be considered, much like the results of Seoul area. However, regarding the higher age range and life stage, the bedroom 2 needs to be planned for a study and the design of livingroom is prefered to be widely open. Besides, comparing with those in Seoul, the residents in Daegu demand that spaces for things (especially those in secondary kitchen and dress room) be more organized and convenient.